주택 분양 3039호→1206호 급락
착공 물량 7491호→3365 반토막

주택 가격 상승과 미분양 사태가 장기화되면서 지난해 제주지역 건설업계의 주요 지표가 동반 폭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제주특별자치도와 한국은행 제주본부에 따르면 지난해 제주에서 준공된 주택은 4570호로 전년 대비 15.9% 늘었지만 분양은 1206호로 60.3%나 감소했다.

저조한 분양 실적은 고분양가 영향이 컸다. 지난해 말 기준 제주지역 민간아파트 평균 분양가격은 3.3㎡당 2574만원으로 서울 다음으로 높았다. 전국 평균은 1736만원이다.

그 여파로 주택 미분양은 2499호로 늘었다. 지역별로는 제주시 1528호, 서귀포시 971호다. 전체의 69%인 1735호는 읍·면 지역에 몰려 있다.

큰 손으로 불리는 수도권 중심의 투자자들도 떠나면서 외지인 주택거래 건수도 1년 사이 2286건에서 1498건으로 34.5%나 감소했다.

곳곳에 미분양이 불거지면서 주택 인허가와 착공 물량도 큰 폭으로 줄었다. 지난해 착공 실적은 3365호로 전년도 7491호의 절반 수준에도 미치지 못했다.

건축주와 건설사들도 사업 추진을 미루면서 2022년 1만건을 웃돌던 인허가 건수가 지난해에는 7330호로 28.2%나 줄어들었다.

건설 부진 탓이 시행사를 중심으로 유동성 위기설도 나돌고 있다. 실제 미분양 사태와 금융 비용 상승 영향으로 자금 압박을 받는 업체도 생겨나고 있다.

주택 개발이 시들해지면서 도내 건물 착공 면적도 107만㎡로 전년도 177만㎡와 비교해 39.6% 감소했다. 레미콘 출하량도 190.6만㎥에서 189.9㎥로 줄어들었다.

한국은행은 고분양가에 따른 수요 부진에도 불구하고 높은 땅값과 자재 가격 탓에 분양가 하락이 제한적일 수 있다고 전망했다. 

다만 신규 주택 물량이 줄면서 미분양 물량 처리에는 도움될 수 있다. 문제는 상당수 물량이 읍·면지역에 위치해 자연 감소가 빠르게 이뤄질 지는 미지수다.

미분양 사태가 장기화 될 경우 시공사의 유동성이 악화되고 시행사의 신규사업도 위축돼 건설사의 수주가 감소하는 악순환으로 이어질 수 있다.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