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대 김하영 교수팀, 암진단 시약 신물질 MFA 개발, 특허출원

제주도 특산식물인 솔비나무 줄기로부터 항암제로 활용할 수 있는 신물질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중앙대학교 약학대학 김하형 교수팀은 11일 “제주도 특산식물인 솔비나무로부터 의약학 연구용 시약과 암진단 시약, 항암제로 활용할 수 있는 신물질인 ''마키아 파우리에이 어글루티닌(MFA)''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김 교수에 따르면 MFA는 질병 특히 암세포에서 확인되는 시알산과 선택적으로 강하게 결합해 암세포 관련 연구용 시약으로의 가능성과 우수성이 확인됐다.

김 교수는 이 신물질을 세포의 암화에 따른 특이구조를 인식하는 진단시약으로 개발하고 있으며, 유방암·피부암·간암에 대한 항암효과가 확인돼 항암 후보 물질로 연구개발 중에 있다고 밝혔다.

연구진은 또 현재 임상에서 사용되고 있는 항암제의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항암제와 MFA와의 화학적 결합체를 제작, 이를 암세포만을 사멸시키는 의약품 전달체로서의 미사일 요법에도 활용할 예정이다.

▲ 제주의 특산식물인 솔비나무 줄기에서 항암물질로 활용되는 신물질이 개발됐다.
김 교수팀이 이번에 개발한 신물질은 식물유래 신물질 연구에 관한 국제학술지 Plant Science 2004년 12월호에 게재됐으며, 국내외에 특허출원을 했다. 국내외 학회(국제렉틴학회, 대한약학회, 한국생화학 분자생물학회 등)에서 그 효과를 인정받아 앞으로 의약학 관련연구에도 파급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연구팀은 MFA의 상용화를 위해 현재 국내외 바이오 관련회사와 기술협약 체결중에 있다. 우선은 막대한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는 항암제 개발 및 임상실험에 들어가기 앞서 연구용 시약의 용도로 2005년쯤 상용화해 전 세계 관련 시장에 수출할 계획이다.

현재 암 연구시약으로 널리 쓰이고 있는 렉틴은 1g당 2억원에 공급되고 있으며 이번에 개발된 MFA는 기존 렉틴보다 성능이 우수해 1.5∼2배인 1g당 3억∼4억원에 공급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 MFA를 이용한 암 연구시약이 상용화되면 이 분야에서만 최소 연간 300억∼400억원의 시장을 창출할 수 있다고 김 교수는 설명했다.

 한라산 1500m 이하 낙엽활렵수림에 자생하는 솔비나무

‘솔비나무’는 콩과에 해당하는 낙엽활엽수로서 제주도 특산식물 중에 하나로 알려진 식물이다. 자생지는 한라산 1,500m 이하의 낙엽활엽수림에 자생하며, 횡단 도로변이나 어리목 광장에서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본디 솔비나무는 양수로서 비교적 건조한 지역에 자생하지만 논고악의 경우는 독특하다.
논고악에서는 이 나무가 얼마나 생존력이 강한지를 한눈에 알 수 있다. 축축한 곳은 물론 습지 내에서도 송이고랭이와 함께 군락을 이루는 것이다.

솔비나무는 꽃의 좋이 화목류로서 조경수로 재배해 볼만하다. 자생상태에서 습지와 건지를 가리지 않는 것 또한 장점이다.

특히 여름철에 고운 꽃이 피는 것은 다른 나무에서는 좀처럼 볼 수 없는 현상이다. 솔비나무를 주변에 심으면 녹음의 계절에 흐드러진 꽃을 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벌과 나비를 모을 수 있을 것이다.

꽃은 7~8월에 흰색으로 피고 잎은 서로 엇갈려 새깃 모양이다. 열매는 콩 꼬투리 처럼 달린다. 유사종인 다릅나무와 흡사하지만 소엽이 작고 많은 것이 다르고 다릅나무는 제주도에 자생하지 않는다.

 [출처 : 제주자생식물동우회]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