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 용역, 데이터도 없이 수익강화방안만 제시…공공시설 ‘적자논쟁’ 우려

제주 세계평화의 섬을 상징적으로 보여 줄 제주국제평화센터에 대한 제주도의 기본 인식에 문제가 있는 게 아니냐는 지적이 일고 있다.

국가사업으로 추진해야 할 제주국제평화센터를 지방사업으로 스스로 격하시키고 수익성 확보를 위해 개관도 하기 전부터 수익시설 추가설치가 제안되는 등 제주국제평화센터가 평화의 섬 인프라인지, 아니면 수익시설인지에 대한 논란에 휩싸이고 있다.

제주도는 오는 10월 국제평화센터 개관에 앞둬 제주대 ‘관광과 경영경제연구소’에 의뢰해 ‘제주국제평화센터 관리운영방안에 관한 조사·연구’ 보고서를 제출받아 12일 이를 공개했다.

제주도는 국제평화센터는 정상들의 방문을 기념하는 평화교육 및 전시차원의 ‘공공성’과 관람객의 흥미를 끌 수 있도록 관광자원화가 가능한 ‘수익성’ 측면을 동시에 갖고 있는 전시기념관으로 양자의 적절한 조화가 관리운영의 ‘키포인트’라고 밝혔다.

용역진은 국제평화센터 관리주체와 관련해 공공성과 전문성, 경제성, 안정성 등 6개 항목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평화센터의 활성화보다 ‘수익창출을 최우선적인 목표’로 설정하고, 이를 위해 자치단체가 출연한 공공성격의 법인, 즉 제주국제컨벤션센터 또는 제주도지방개발공사에 위탁 운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결론을 내렸다.

또 개관 첫해인 2005년에 2억5430만원 수익이 발생하는 것을 시작으로 2006년에는 10억8399만원, 그리고 2011년에 가서는 14억5242만원의 수익이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했다.

입장객은 제주를 찾는 관광객의 4%(도민은 10%)를 설정, 2005년에는 20만4084명, 2011년에는 29만6038명을 책정했으며, 입장요금은 1인당 4000원으로 가정했다.

반면 평화센터 운영에 소요되는 비용은 인건비와 시설위탁관리비, 보수비 등을 포함해 2005년 기준 10억653만원으로, 2009년까지 향후 5년간 지속적인 적자가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했다.

용역진은 이 같은 적자를 흑자로 전환하기 위해 평화센터의 핵심시설인 정상들의 밀랍인형 20기 외에 외국의 유명배우나 한류열풍을 모을 수 있는 국내외 인기연예인의 밀랍인형을 추가로 제작 설치할 경우 관람객 추가 유치가 가능해 흑자로 전환할 수 있다면서 밀랍인형을 추가로 제작할 것을 제안했다.  

용역진은 3가지 시나리오를 제시한 후 현재와 같은 상태의 방안(시나리오1)은 향후 5년간 지속적인 적자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익성을 크게 개선할 수 있는 방안(시나리오 3)은 공간배치문제와 현재 논의 중인 (가칭)동북아평화연구소와의 관계 설정도 필요한 만큼 지금 추진하기 보다는 충분한 검토를 거친 후 중장기적으로 추진하는 게 바람직 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시나리오 3은 밀랍인형을 추가로 제작하는 것 외에 4D IMAX 영화관을 설치하는 방안이 포함됐다.

이에 따라 용역진은 밀납인형을 추가로 제작하는 대안(시나리오2)를 제시해 밀랍인형을 추가로 제작해 전시할 경우 관광객을 추가로 유치해 흑자발생이 예상된다며 이를 바람직한 대안으로 제시했다.
 
용역진은 밀랍인형을 추가로 제작할 경우 평화센터내 기념품매장 수익이 1인당 413원에서 620원으로 50% 더 벌고, 기타 수익은 1인당 330원에서 990원으로 300% 수준으로 끌어 올릴 수 밝혔다.

그러나 용역진의 이 같은 분석은 이를 검증할 수 있는 구체적인 데이터를 제시하지 않고 있어 수익성 분석의 타당성 논란이 일고 있다.

수익성을 강화하기 위한 핵심시설인 밀랍인형을 추가로 제작한다고만 했을 뿐 현재 20개에서 추가 몇 개를 더 제작해 얼마의 비용이 소요될 것인지가 제시돼 있지 않으며, 추가로 제작한다고 가정했을 경우 입장객이 관광객과 도민이 각 1% 포인트씩 증가한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왜 기념품매장 수익이 1인당 413원에서 620원으로 50% 더 벌고, 기타 수익은 1인당 330원에서 990원으로 300% 수준으로 끌어 올릴 수 있는지에 대한 근거를 밝히지 않고 있다.

즉 백데이터를 제시하지 못하고 있어 이같은 추정이 단지 용역진의 ‘추정’인 게 아니냐는 지적이 일고 있다.

이날 보고서를 설명한 제주대 관광과 경영경제연구소측 역시 “밀랍인형을 추가로 제작할 경우 관광객이 추가로 들어올 수 있다는 것을 가정한 것으로 수익이 왜 그렇게 되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데이터를 갖고 있지는 않다”고 인정했다.

이 같은 백데이터가 문제가 되는 것은 국제평화센터의 핵심시설인 밀랍인형 제작에 대해서는 그동안 수차례 논란 끝에 해외유명배우나 한류스타를 배제해 평화센터의 공공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전시소위원회의 결론을 다시 번복하는 것이어서 또 다른 논란을 예고하고 있다. 

제주도가 국제평화센터에 수익성을 보장해 줄 수 있는 객관적인 데이터도 제시하지 못한 용역결과를 근거로 논란대상인 인기스타 밀랍인형을 평화센터에 추가로 설치하는 게 바람직 하느냐는 논쟁이 다시 휩싸일 가능성도 예고하고 있다.

이와 함께 제주도가 평화센터에 대해 지나치게 수익성을 강조함으로써 평화센터가 관광인프라시설인 제주국제컨벤션센터처럼 ‘적자·흑자 논쟁’에 빠질 가능성마저 예상되고 있다.

또한 제주 세계평화의 섬이 이달 중으로 지정되고, 오는 6월 국내외 적으로 공식선포 돼 그 상징적 역할을 담당하게 될 제주국제평화센터가 국가차원이 아닌 지방정부차원에서 공공성과 함께 수익성차원에서 접근하는 게 바람직하냐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다.

특히 현재 정부(동북아시대위원회)차원에서 세계평화의 섬 지정이후 제주에 (가칭) 동북아평화연구소 또는 남북군축센터 설치를 구상하는 구상과 맞물려 국제평화센터 운영 및 관리방안을 국가차원으로 끌어올리는 게 마땅하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제주도 관계자는 이에 대해 “도 차원에서 국가의 지원을 받는 방안을 고민하지 않는 것은 아니”라면서 “내부적으로 동북아평화연구소와 같은 국가기관을 유치해 국비지원을 받는 방안을 진행하되 이게 안될 경우에 대비하는 차원에서 이 같은 방안을 고민하게 된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