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도간 경쟁 우위 선점-신성장 동력 채택 '이중 포석'

16일 나온 '제주형 3D 융합산업 육성계획'은 지난4월 지식경제부의 3D산업 발전전략에서 비롯됐다.

당시 지경부는 일자리 창출 전략의 하나로 3D 산업을 집중 육성하겠다는 구상을 처음 공개했다. 세계적으로도 3D 기술과 산업은 태동단계에 있어 국내 시장을 조기에 형성하고, 기술개발을 통해 해외시장을 선점해야 한다는 판단이 깔렸다.

이 구상에 기반해 한달쯤 뒤 3D산업 통합기술로드맵 초안이 나왔고, 현재 기획재정부에서 초안을 놓고 예비타당성 조사를 벌이고 있다. 조사 결과는 이달말께 나온다.

타당성 조사가 끝나면 통합기술로드맵 확정, 마스터플랜 수립 용역 등의 절차가 진행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 다음엔 공모를 거쳐 어느 시.도가 제안한 사업을 정부 추진 계획에 반영할지 결정된다. 공모 시기는 내년 하반기가 될 것으로 예측된다.

따라서 제주형 3D융합사업 육성계획은 이같은 정부의 프로세스를 감안해 다른 시도와의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한 성격이 짙다. 대경권(대구경북), 광주권 등 초광역경제권과 연계를 꾀하는 것도 같은 맥락이다. 대경권의 IT융합 기반, 광주권의 광융합 기반, 제주도의 에너지.마이스 융합을 아울러 시너지 효과를 거두겠다는 것이다.

함께 가되 대경권과 광주권은 기술력이 앞서 있기 때문에 기술 개발에 치중하고, 제주는 풍부한 3D 소재를 제공하겠다는게 제주도의 복안이다.

제주도 관계자는 "제주에는 1만8000의 신(神), 바다, 동굴, 세계자연유산, 스마트그리드 등 3D산업의 소재로 삼을 만한 아이템이 무궁무진하다"고 말했다. 

제주도는 이미 이들 지역과 정례적인 협의 채널을 가동해 공조를 강화하고 있다.

제주도가 파악한 전국 동향에 따르면 ▲서울(서비스 및 콘텐츠) ▲경기(3D활용 엔터테인먼트) ▲강원권(3D 애니메이션) 충남권(3D 콘텐츠) ▲부산권(3D영화/체험관) ▲대경-광주(3D 융합산업) 등이 3D를 지역특화 전략으로 삼고 있다.

특히 대경-광주권은 2012년부터 2016년까지 6000억원을 투입하는 3D 융합산업을, 전남-경북은 같은기간 3400억원을 투자하는 '실감미디어산업 R&D 기반 사업'을 각각 계획하고 있다.

제주형 3D 융합산업 육성계획에 나온 투입 예산은 지경부 공모 채택을 전제로 한 측면이 강하다. 전체 사업비 1000억원 가운데 국비가 700억원으로 잡혀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제주도는 정부에서 이 계획을 반영하지 않더라도 자체적으로 3D 융합산업 육성에 적극 나선다는 내부 방침을 세웠다.

차세대 신성장 동력을 확보해야 한다는 명제 외에 3D 융합산업에 승부를 걸어도 승산이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

제주도 관계자는 "제주는 우수한 환경, 독특한 문화유산 말고도 특별자치도 특별법이 있기 때문에 3D 융합산업 육성에 최적의 조건을 갖췄다"면서 "3D 융합산업 발전 구상을 구체화하기 위해 내년에 자체 용역을 실시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제주의소리>

<김성진 기자 / 저작권자ⓒ제주의소리. 무단전재_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