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일 오전 마지막 이사회...31일자 법인 해산 의결
기관통합 사실상 마무리...4월1일 통합TP 업무개시

▲ (재)제주지식산업진흥원이 입주한 벤처마루. <제주의 소리 DB>
제주 IT산업 발전에 한 획을 그은 (재)제주지식산업진흥원이 10년의 발자취를 뒤로하고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됐다.

(재)제주지식산업진흥원은 17일 오전11시 법인 해산을 위한 마지막 이사회를 개최한다. 

이날 이사회에선 오는 31일자로 법인을 해산하는 사항을 의결하고, 청산인을 선임한다. 이후 청산인이 해산을 위한 법적 절차를 진행한다. 

법인 재산은 다음달 1일 출범하는 통합 (재)제주테크노파크(제주TP)로 귀속된다.

앞서 제주도의회는 지난달 제주TP와 지식산업진흥원의 조직, 기능, 업무 등을 한데 묶는 통합조례(제주테크노파크 설립 및 운영 조례 개정안)를 가결했다.

이 조례는 지식산업진흥원에서 수행해온 사업을 신설하고, 지식산업진흥원 설립.운영 조례안을 폐지하는게 골자.

지역 ICT기업 진흥을 모토로 2001년 11월 개원한 지식산업진흥원은  그동안 R&D, 마케팅, 지적재산권 등의 분야에서 기업지원기관으로서 많은 역할을 했다.

텔레매틱스 시범도시(2004년)와 스마트그리드 실증단지 유치는 대표적인 사업이다. 제주 ICT산업의 변화를 가져온 텔레매틱스 시범도시 사업은 도내 기업의 자체적인 기술축적으로 이어졌고, 결과적으로 ICT산업 기반을 구축하는 시발점이 됐다.

통방융합 분야 특화센터인 모바일통신방송 컨버전스 센터를 유치함으로써 관련 기술 개발과 서비스 발굴에 속도를 더했다.

제주도와 손잡고 성사시킨 스마트그리드 실증단지 유치는 제주를 전국적으로 앞서가는 친환경 녹색도시의 꿈을 부풀게했다. 특히 대단위 시범사업의 잇따른 유치와 정부 예산 확보는 지역 업계의 파이를 키우는 요소로 작용했다

이런 노력에 힘입어 ICT업계의 외형도 크게 성장했다.

2003년 641억원이었던 총매출이 지난해 3691억원으로 5배이상 늘어났고, 고용인원은 1530명에서 3564명으로 갑절 이상 증가했다. 기업수는 251개에서 301개로 불어났다.

점차 몸집을 키우던 지식산업진흥원은 2009년 12월 제주벤처마루 준공과 함께 사무실을 이곳으로 옮기면서 제2의 진흥기를 맞았다. 

지식산업진흥원의 전신은 2000년 3월 문을 연 제주소프트웨어지원센터. 이 때부터 치면 지식산업진흥원의 역사는 만 11년인 셈이다.

지식산업진흥원이 운명의 갈림길에 놓인 것은 정부의 지역전략진흥사업. 지식경제부가 TP통합을 안하면 IT분야 지원을 할 수 없다며 사실상 통합을 강제했다.

통합에 쐐기를 박은 것은 민선5기 제주도지사직 인수위. 인수위는 지난해 6월30일 활동을 마무리하면서 내놓은 보고서를 통해 두 기관의 통합을 강력하게 주문했다.

이 때부터 지식산업진흥원을 향한 전방위적 압박이 가해진 것으로 전해졌다. 2002년 11월11일 초대 원장으로 취임했고, 10년역사를 통틀어 유일한 원장으로 남게 된 김인환 원장이 퇴임한 것도 비슷한 시기(2010년 12월27일)였다.

그는 지역 IT산업의 초석을 다지고, 중앙 예산 확보에 탁월한 능력을 발휘했다는 평가를 받았지만 '대세' 앞에선 어쩔 수 없었다.

지식산업진흥원이 이날 해산 이사회를 열면 두 기관의 통합을 위한 절차는 사실상 마무리된다.

제주TP가 이튿날인 18일 오후 소집하는 이사회에선 통합에 따른 직제개편 등의 내용이 담긴 운영규정 제.개정, 정관 개정 승인이 예정됐다. 이미 지경부와 조율을 거친 사안이다. 또 지식산업진흥원 기본재산 편입, 직원 승계 등의 실무적 절차는 4월1일 업무개시에 맞춰 진행된다.

기관 통합에 따라 종전 지식산업진흥원이 사용했던 벤처마루는 사실상 제주TP 본부동(棟)으로서의 기능을 하게 될 전망이다.

IT, BT를 아우르는 공통부서, 즉 기업지원단과 정책기획단, 평가단, 원장실, 행정실이 이곳으로 옮길 예정이다. <제주의소리>

<김성진 기자 / 저작권자ⓒ제주의소리. 무단전재_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