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 풍력사업 대기업→도민·향토기업 주도 전환…공사가 지구선정 및 인허가 절차 이행

1.jpg
▲ 지난 8월31일 표선면 가시리 풍력발전단지를 방문한 원희룡 제주지사(맨 왼쪽), 남경필 경기도지사(가운데), 이성구 제주에너지공사 사장(오른쪽에서 두 번째).ⓒ제주의소리 DB
그 동안 대기업 위주로 추진됐던 제주의 풍력개발 사업이 도민과 향토기업 주도 방식으로 전환된다.

제주에너지공사는 풍력개발 지구 선정뿐 아니라 인허가 절차까지 이행, 사실상 풍력사업에 대한 전권을 행사하게 돼 자체 역량강화가 시급한 과제로 떠올랐다.

제주도는 2일 ‘탄소 없는 섬’(Carbon Free Island 제주 by 2030) 실현을 위해 도내 전력수요 전체를 풍력 중심의 신재생에너지로 대체하는 ‘공공주도의 풍력개발 투자활성화 계획’을 확정, 발표했다.

풍력개발 투자활성화 전략은 △공공주도 및 친환경 개발에 따른 주민수용성 제고 △풍력 연관 산업 및 전문인력 육성 △전력기반 시설 확충 등 크게 3방향으로 진행된다.

사업의 중심에는 제주에너지공사가 있다.

에너지공사가 풍력개발 지구 선정과 인·허가 절차를 이행하고, 공모(경쟁)를 통한 민간기업의 참여를 이끌어나갈 방침이다.

육상풍력의 경우 대규모 개발을 제한하되 마을회, 향토기업 및 에너지공사가 개발에 참여하도록 할 계획이다. 이는 지금까지 대기업 위주의 풍력개발을 도민과 지역에 기반을 둔 향토기업에게 우선 기회를 부여하겠다는 의미다. 목표 잔량은 150㎿다.

해상풍력의 경우는 막대한 사업비 조달을 위해 공기업·민간기업 등의 투자를 유치하고, 제주에너지공사도 참여하는 개발방식으로 추진키로 했다. 현재 추진 중인 해상풍력이 298㎿인 점을 감안하면 2030년까지 1600㎿ 개발이 가능하다.

풍력발전기는 국내 제조 산업과 제주지역 유지보수(관리) 전문기업 육성을 위해 실증을 거친 국내산 풍력발전기를 우선 적용할 방침이다.

안정적인 전력 공급이 이뤄질 수 있는 전력계통 접속 한계용량을 키우고, 관련 인프라도 대폭 확충한다.

2030년까지 풍력발전설비 235만㎾를 설치하기 위해 단지별 출력제어시스템 구축, 일정규모의 BESS(배터리를 이용한 에너지 저장장치) 설치를 의무화한다. 또 도내에서 생산된 전력을 내륙으로 역송전할 수 있는 양방향 해저연계선을 2022년까지 앞당겨 설치할 수 있도록 중앙정부와 협의해나가기로 했다.

박홍배 경제산업국장은 “2030년까지 도내 총 전력사용량을 113억㎾h로 전망하고 육상풍력 45만㎾, 해상풍력 190만㎾ 등 총 235만㎾를 개발, 전력수요의 58%를 공급함으로써 제주도를 전기에너지 자립은 물론 세계적인 청정에너지 모범도시로 조성하겠다”고 말했다.

제주도는 ‘공공주도의 풍력개발 투자활성화 계획’을 확정하기까지 지난 2월부터 5회의 전문가 토론, 2회의 도민토론회, 유관기관 협의 등 다양한 의견수렴 과정을 거쳤다.

한편 도내 풍력발전 사업은 1998년 전국 최초로 행원풍력발전단지(1200㎾, 2기) 조성을 시작으로 59.7만㎾(184기)를 운영 또는 개발 중에 있다. 지난해 기준 도내 전력사용량 46억㎾h중 신재생에너지로 2.99억㎾h(6.5%)를 대체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2011년 이후 풍력발전 사업이 민간 위주로 진행되면서 대기업의 투자와 수익의 도외 유출, 무분별한 개발과 경관훼손 논란이 커지면서 제주의 바람은 공공자원이고 그로 인한 수익은 지역으로 환원돼야 한다는 도민사회의 목소리가 높은 실정이다.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