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없음-1.jpg
▲ 제주포럼 현장에서 스마트 시티 조성에 대한 발표를 하는 황경수 제주대 교수.

[제주포럼] 제주 스마트 시티 조성 방향은? 제주에 세계스마트시티본부 설립 제안

‘탄소없는 섬 제주 2030(Carbon Free Island Jeju by 2030)’을 추진하는 제주에서는 손쉽게 전기차를 볼 수 있다. 전기차 보급과 연계해 제주 스마트 시티 조성도 가시화되는 상황에서 진정한 스마트 시티 조성을 위해서는 결국 지역주민들의 삶이 중요하다는 제언이 나왔다. 

‘아시아의 미래 비전 공유’를 주제로 제주국제컨벤션센터(ICC)에서 열리고 있는 제12회 제주포럼 이틀째인 1일 오후 4시50분 제주연구원이 마련한 ‘제주 스마트 시티 조성 방향’ 세션이 열렸다. 

변병설 인하대 교수가 좌장을 맡은 세션에는 황경수 제주대 교수, 김태경 경기연구원 연구위원, 문영준 한국교통연구원 교통기술연구소장, 서교 서울대 교수, 최남희 한국교통대학 교수, 정재근 UN거버넌스센터 원장, 최정석 중부대 교수가 참여했다. 

어디서나 온라인을 통해 IT 등 기술을 활용할 수 있는 미래형 도시를 뜻하는 스마트 시티. 스마트폰이 상용화된 현재 스마트 시티 기반 조성을 위해 세계 각국이 고민하고 있다.  

세계적으로 전기차 보급에 앞장서는 제주의 경우 가장 먼저 스마트 시티에 도달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기조연설에 나선 황경수 교수는 “시민참여가 진정한 스마트 시티 조성을 만든다”고 주장했다. 화려한 기술을 우선적으로 도입해나가는 것이 아니라, 주민들이 원하는 방향의 기술을 만들어내야 한다는 제언이다. 

황 교수는 “지역 주민들의 삶을 보장해주는 (스마트 시티 관련) 개발이 필요하다. 기술적 스마트 시티 조성이 아니라 지역 주민이 원하는 것을 기본적으로 충족시켜주면서 추가적인 부분을 정책적으로 도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행정 부서간 경계가 있지만, 모호한 측면도 있다. 부서간 경계를 아우르고,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추진단을 만들어 서로 소통할 수 있는 창구를 만들어야 한다”고 조언했다. 

그는 “개인적으로 기술, 과학 등 발전보다는 지역 주민이 편하고, 약자들과 후손들도 편하게 이용할 수 있는 시스템이 중요하다”며 “제주에 자율주행자동차가 도입됐을 때 ‘운전자가 없으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논란이 아니라 ‘교통 약자들의 이동성 제약을 스마트 시티가 보완해준다’는 인식 전환도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특별자치를 하고 있는 제주의 경우 인·허가 제도를 정비해 국가 시스템을 바꾸는데 노력하고 있다. 제주는 스마트 시티와 깊이 연관돼야 한다. 또 스스로 학습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성공하기 힘들 것”이라고 충고했다. 

아울러 “제주포럼 자리를 통해 제주에 세계스마트시티본부를 만드는 것은 어떨지 제안한다. 전 세계 사람들이 제주에서 스마트 시티를 연구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해주는 것”이라며 “조례도 뒤따라야 한다. 오픈 플랫폼을 만들어 제주에서 스마트 시티 기술 ‘씨앗’이 자랄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