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환경운동연합 “맹꽁이 서식 확인, 습지 복원해 자연성 회복해야” 

저류지 조성을 위해 지반조사 일환으로 습지 지역에 굴삭기와 시추작업을 위한 공사장비 등을 투입한 모습. 사진=제주환경운동연합. 
저류지 조성을 위해 지반조사 일환으로 습지 지역에 굴삭기와 시추작업을 위한 공사장비 등을 투입한 모습. 사진=제주환경운동연합. 

제주시가 조천읍 와흘리에 추진 중인 저류지건설사업과 관련, 해당 습지에 멸종위기종 맹꽁이 서식이 확인되는 등 환경파괴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제주환경운동연합은 29일 성명을 내고 “제주시는 습지를 훼손하는 저류지 건설계획을 중단해야 한다. 해당 습지에는 멸종위기종 맹꽁이 서식이 확인됐다”며 “습지를 복원해 자연성을 회복하고 지역주민의 친수, 휴식공간으로 활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환경파괴 논란이 인 사업은 제주시가 와흘리의 침수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지난해 행정안전부 예산지원을 받아 추진 중인 저류지 건설사업이다.

제주환경운동연합은 “이번에 제주시가 저류지로 조성하려는 입지는 전형적인 제주의 자연습지 지역이다. 습지를 훼손해 저류지를 건설하겠다는 계획인 셈”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습지가 분포하는 토지 소유자는 와흘리 마을회 소유인 것으로 확인된다. 예정지 주변 마을 주민들에 따르면 해당 습지는 ‘대못’ 또는 ‘대물’이라 불리며 과거에는 주민들이 음용수로 이용하기도 했다고 한다”고 주장했다.

또 “현장 확인 결과 습지는 제주지역 자연습지 특성처럼 암반지대 위에 형성된 것으로 보인다”며 “몇 해 전 이곳에 토사를 야적했다가 옮기긴 했지만 이로 인해 일부 습지 지역은 토사가 덮여 육화 현상이 진행되고 있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하지만 남아 있는 습지 지역은 수생식물들이 넓게 분포하고 있어 습지 복원사업을 진행한다면 예전의 모습을 찾는 데는 어려움이 없어 보인다”고 피력했다.

 ‘대못’ 또는 ‘대물’이라 불리는 제주시 조천읍 와흘리 습지. 사진=제주환경운동연합.<br>
‘대못’ 또는 ‘대물’이라 불리는 제주시 조천읍 와흘리 습지. 사진=제주환경운동연합.
‘대못’ 또는 ‘대물’이라 불리는 제주시 조천읍 와흘리 습지. 사진=제주환경운동연합.
‘대못’ 또는 ‘대물’이라 불리는 제주시 조천읍 와흘리 습지. 사진=제주환경운동연합.

제주환경운동연합은 “주민들 말에 따르면 지금까지도 멸종위기종인 맹꽁이가 이곳에 서식·산란 한다고 했다”며 “최근 장마 기간에도 비 오는 날에는 맹꽁이 울음소리가 끊이지 않았다고 했다”고 말했다. 

또 “실제로 인근 비닐하우스에서 이동 중에 시설물에 갇힌 맹꽁이를 확인하기도 했다. 이처럼 역사·문화적으로나 생태적으로 보전가치가 있는 습지를 보전해야 할 행정당국이 오히려 이를 없애려는 것은 이해하기 어려운 일”이라고 꼬집었다.

이어 “환경운동연합은 지난 4월 저류지 조성 입지 선정 부적절성을 지적, 다른 대안을 찾아달라 요구했고 이곳이 습지 지역인 것은 인지하지 못했다며, 이제라도 습지임을 알게 됐으니 입지를 변경하겠다는 의사를 밝혔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하지만 지난 12일 제주시는 저류지 조성을 위한 지반조사 일환으로 습지 지역에 굴삭기와 시추작업을 위한 공사장비 등을 투입했다”며 “저류지 조성을 위한 대체부지를 찾아봤으나 확보가 어려워 계획대로 습지를 없애 저류지를 만들 계획이라고 했다”고 말했다.

제주환경운동연합은 “이에 우리 단체와 주변 저류지 예정지 주민들의 반발이 있자 제주시는 일단 사전공사를 중단한 상태”라며 “이후 제주시는 주민설명회를 열고 인근 공유지를 저류지로 조성할 수 있는지 검토 중이라고 했다”고 밝혔다. 

이어 “하지만 지역 주민들은 제주시가 여전히 기존 계획을 포기하지 않은 것 같다고 말했다. 와흘 마을회와 토지 매각 논의가 확정되면 이곳에 저류지 공사를 강행할 수 있다고 했다는 내용이다”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제주시의 반환경적 행정을 우려하지 않을 수 없다. 법정보호종으로 지정된 멸종위기생물이 서식하고 있는데도 개의치 않고 습지 훼손을 하겠다는 것”이라며 “더군다나 이 습지는 ‘조천읍 람사르습지도시’지역에 포함된 곳”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또 “최근 제주시는 조천읍 람사르습지도시 효율적 운영 관리를 위해 지역관리위원회를 새롭게 출범, 지역 습지 보전 활동을 전개하고 주민의 습지보전 인식증진에도 노력하겠다고 했다”며 “하지만 앞뒤가 다른 행보를 보이며 신뢰를 떨어뜨리고 있다”고 비판했다.

제주환경운동연합은 “제주시는 지금이라도 습지를 파괴해 저류지를 조성하려는 계획을 당장 중단해야 한다”며 “해당 습지에 대한 관리실태를 점검하고, 습지 복원사업을 진행해 주민들이 생태적 친수공간과 마을 내 휴식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이번 기회를 통해 도내에 무분별하게 조성되는 저류지 공사에 대해서도 그 필요성과 효과성을 검증하길 바란다”고 밝혔다.

사진=제주환경운동연합.<br>
‘대못’ 또는 ‘대물’이라 불리는 제주시 조천읍 와흘리 습지. 사진=제주환경운동연합.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