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 중앙위, 8년 활동 총 집대성 한 백서 '화해와 상생'발간

▲ 제주4.3위원회 백서 「화해와 상생」.ⓒ제주의소리
제주4.3사건의 실체적 접근을 위해 최전선에 섰던 ‘제주4.3사건 진상규명 및 희생자 명예회복위원회’(이하 4.3위원회)가 향후 제주4.3의 과제로 역사적 평가보완 및 추가 진상조사, 평화재단의 내실 있는 운영 을 꼽았다.

‘제주4.3특별법’에 따라 지난 2000년 발족한 4.3위원회의 지난 8년간 활동상황을 종합 정리한 백서 「화해와 상생」이 발간됐다.

이번에 발간된 4.3위원회 백서는 위원회의 구성과 운영, 진상규명, 희생자 및 유족심사, 위령·유해발굴·기념사업, 위원회 활동 성과와 과제 등 5장으로 구성됐다. 또 부록으로 희생자 결정 명단, 주요 활동일지 등까지 담아 총 602쪽으로 편찬됐다.

백서는 4.3위원회의 활동을 세 가지 측면에서 요약 정리됐다.

맨 먼저 금기시됐던 4.3에 대한 기억을 ‘진상보고서’를 통해 공식화시켰으며, 이 법정 보고서에서 국가 공권력에 의한 인권유린을 파헤침으로써 역사상 처음으로 정부 사과를 이끌어 낸 점을 기술하고 있다.

또한 엄격한 심사를 통해 1만3564명에 대한 희생자 결정과 4.3특별법 개정으로 추가 신고된 3176명의 희생자 및 유족에 대한 심사와 희생자 유해 발굴 등을 진행하고 있고, 제주4.3평화공원 조성, 4.3평화기념관 개관, 암매장지 유해 발굴, 유적지 복원, 4.3평화재단 출범 등 활발하게 추진된 명예회복 후속사업에 대해 자세히 기술하고 있다.

백서는 또 책 말미에 마을별 피해상황을 한 눈에 볼 수 있도록 ‘제주4.3희생자 지도’를 비롯해 58건의 도표와 지도, 155장의 사진을 배치, 시각적 효과를 최대한 살렸다.

▲ 제주4.3희생자 지도. 4.3중앙위로부터 4.3희생자로 결정된 1만3564명 중 본적지가 파악되지 않은 125명을 제외한 1만3439명을 마을별로 표기해 작성했다. 4.3당시 어느 마을 하나 피해를 당하지 않은 곳이 없을 정도로 참혹했음을 보여주고 있다. '화해와 상생-제주4.3위원회 백서' 중에서.
특히 이러한 성과를 얻기까지 겪어야 했던 이념 논쟁 등의 진통과 시행착오, 쟁점사항 등을 소상히 밝혀 과거사 정립에 전형적인 모델을 창출했다는 평가와 주목을 받고 있다.

백서는 이와 함께 4.3특별법 제정과 개정과정에서의 쟁점, 진상조사보고서 작성 및 심의과정의 진통, 희생자 심사기준을 정하는 과정의 논란, 위태로웠던 수형자 심사 등의 활동을 파노라마처럼 기록했으며, 보수단체의 반대를 뚫고 개관된 4.3평화기념관 전시내용도 소상히 소개하고 있다.

4.3위원회는 백서를 통해 앞으로의 과제로 △역사적 평가 보완과 행방불명 희생 실태, 진압작전의 지휘체계 규명 등을 위한 추가 진상조사 △추모기념일 지정 및 유족 생계비 지원, 3단계 평화공원 조성, 발굴된 유해 후속조치 방안 △시험대에 오른 4.3평화재단의 내실있는 운영 등 3가지를 꼽았다.

제주4.3위원회 위원장인 한승수 국무총리는 발간사를 통해 “우리 위원회의 역사적 의미와 임무를 되새기고 앞으로 풀어나갈 과제를 함께 살펴보려 했다”면서 “노력의 결과가 또 다른 논쟁의 시작이 아닌 새 시대를 향한 화해와 발전의 밀알이 되길 바라면서 백서의 제호를 ‘화해와 상생’으로 정했다”고 밝혔다. <제주의소리>

<좌용철 기자 / 저작권자ⓒ제주의소리. 무단전재_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