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서귀포시 강정마을. 지금은 제주해군기지 건설 갈등으로 인해 마을공동체가 깨져버린 아픔의 땅이지만, 오래전부터 물 좋고 사람 좋아 제주섬에서도 으뜸이라며 일강정(一江汀)으로 불렸다. 그런 강정이 고려때는 몽골 황제가 피난궁전을 지었던 곳이라는 주장이 역사학계에 등장했다. 300여 년 전 제주목사 송정규에 의해 처음 제기된 일명 ‘강정동 대궐터’는 각종 문헌과 발굴조사를 통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앞서 해군기지 건설 부지에서 청동기, 철기시대 유물이 다수 발견돼 강정지역의 역사적 가치가 부각된 상황에서, 몽골 황제의 대궐터는 역사적인 관점에서 강정을 주목해야 할 새로운 이유가 될 가능성이 높다. 실제 강정 제주해군기지 부지와 대궐터 발굴조사 구역은 1km도 떨어져 있지 않다. 이 같은 내용은 김일우 박사가 지난 7월 23일 한국사학보에 발표한 논문 ‘제주 강정동 대궐터 유적의 역사적 성격-고려시대 몽골의 제주지배기와 관련하여’에 수록됐다. [제주의소리]는 해당 논문을 매주 수요일과 금요일 2차례 씩 나눠 총 7번에 걸쳐 연재한다. #표시된 각주 내용은 원고 하단에 별도의 설명을 달았다. [편집자] 


▶글 싣는 순서 
①머리말
②제주 지역의 '대궐터'와 그 성격
③13~14세기 제주의 서남부 지역과 조영공사 (1)
④13~14세기 제주의 서남부 지역과 조영공사 (2)
⑤강정동 '대궐터' 관련 사서기록 및 유적 (1)
⑥강정동 '대궐터' 관련 사서기록 및 유적 (2)
⑦맺음말


[제주 강정동 대궐터 유적] ①머리말 / 김일우 (사)제주역사문화나눔연구소장


1212a.jpg
▲ 강정동 '대궐터' 발굴조사대상지 위치 및 주변유적 분포도(국토지리정보원 1/25,000 참조) 사진제공=제주문화유산연구원, (사)제주역사문화나눔연구소. ⓒ제주의소리

강정동 ‘대궐터’는 의외로 300여 년 전부터 주목받았다._#1 ‘대궐터’란 지명은 속칭과 구전을 통해 제주 지역의 여러 곳에서 찾아볼 수 있는데, 유독 강정동 대궐터 경우만이 사서의 기록을 통해서도 확인되고 있는 것이다. 그것도 무려 300여 년 전부터 비롯했다.

오늘날, 강정동 대궐터는 그 위치가 서귀포시 강정동 4263번지 일대에 해당함은 밝혀졌으나, 지명 유래 및 역사적 성격에 대해서는 베일에 싸여 있었다._#2 그래서 올해 들어와 강정동 대궐터 일대 지역 1415㎡(428여 평)에 걸쳐 발굴조사도 이뤄졌다._#3 이 조사는 강정동 대궐터에 해당하는 지역 가운데 극히 일부에 걸쳐 행해졌으나, 이곳의 역사적 성격을 밝히는데 매우 주요하고 결정적인 단서를 제공했다고 본다. 이는 14~15세기에 걸쳐 축조된 건물지의 존재를 밝히는 성과를 거두었음을 말함이다. 그럼에도, 이번 발굴조사 성과만으로는 강정동 대궐터 유적의 역사적 성격을 규명하는 데는 역부족이라고 아니 할 수 없다.

한편 제주 지역은 ‘대궐터’라는 지명이 곳곳에 산재하고 있다. 이 지명은 속칭과 구전, 혹은 기록을 통해 전해지고 있음과 아울러, 이들 지명을 지닌 각 지역은 대체적으로 동질적 유적의 성격을 띠고 있는 곳이기도 하다. 그런 만큼, 강정동 대궐터 유적의 역사적 성격은 ‘대궐터’라 불리는 다른 곳과의 비교를 통해서도 유추해볼 수 있는 것이다.

특히, 강정동 대궐터의 경우는 300여 년 전과 170여 년 전의 사서에 올라가 있거니와, 거기에 해설 성격의 글도 따라 붙고 있다. 이 가운데「해외문견록」수록 홍로궁기조에는 강정동 대궐터의 건물지가 14세기 후반 무렵의 역사적 사실과 관련을 맺고 있다는 내용도 확인된다.

12qsad.jpg
▲ 해외문견록의 홍로궁기 서술 부분. 해외문견록은 조선시대 송정규가 제주목사 재직기간 저술했다. 그는 숙종 30년(1704) 제주목사로 와 2년 동안 재직했다. 사진제공=제주문화유산연구원, (사)제주역사문화나눔연구소. ⓒ제주의소리
1adsad1a.jpg
▲ 강정동 '대궐터' 발굴조사 대상지의 조사 이후 전경. 사진제공=제주문화유산연구원, (사)제주역사문화나눔연구소.ⓒ제주의소리

「해외문견록」은 조선시대 송정규가 제주목사 재직기간 저술했다._#4 그는 숙종 30년(1704) 제주목사로 와 2년 동안 재직하면서 제주의 옛 일을 수집하고, 풍속도 기록해 탐라지(耽羅誌) 등도 썼음이 확인된다. 그의「해외문견록」에는 16개의 기사가 실려 있다. 그 가운데 마지막 홍로궁기조는 홍로현(洪爐縣) 내에 ‘대궐터(大闕基)’란 곳이 있는데, 이는 몽골 황제 순제의 피난궁전이 조영됐던 곳임을 밝히는 내용으로 이뤄졌다.

송정규의 경우는 300여 년 전에 강정동 대궐터를 13세기 후반~14세기 후반, 곧 몽골의 제주지배기와 관련된 유적으로 보는 자신의 견해를 제시했던 것이다. 2015년의 발굴조사를 통해서도 강정동 대궐터는 14~15세기에 걸쳐 조성된 건물지의 존재와 부속시설의 축조가 드러났다. 이밖에도 송정규의 논의는 오늘날의 제주역사・고고학적 연구성과에 비춰볼 때 주목할 만한 사실일 듯싶다. 그런 만큼, 강정동 대궐터는 관련사서의 기록을 엄밀히 검토하는 한편, 이를 제주역사・고고학적 연구성과와 접목해 바라볼 필요가 있다고 본다.


▲각주

#1
송정규(宋廷奎, 1656~1710), 1706년 경 저술,「해외견문록(海外聞見錄)」수록 홍로궁기조(洪爐宮基條).
이원조(李元祚, 1792~1871), 1843년 경 찬,『탐라지초본(耽羅誌草本)』권4, 대정(大靜) 고분조(古墳條), 왕자묘(王子墓).

#2
그동안 강정동 대궐터 유적의 역사적 성격을 다룬 논문 형태의 글은 <원순제(元順帝)의 피난궁전지(避難宮殿址)와 백백태자(伯伯太子)의 묘(墓)>『김태능(金泰能), 1967,『제주도 31』가 유일하다. 여기에서는 강정동 대궐터가 조선시대 가래촌 소재 방호소(防護所)의 관아 흔적이거나, 혹은 명(明)이 고려 공양왕 때 제주로 유배 보낸 몽골왕족 애안첩목아(愛顔帖木兒, 아얀테무르) 등의 주거지 흔적일지도 알 수 없다고 했다. 이후 제주도내 각종 자료집에는 강정동 대궐터에 대해 김태능의 의견을 선택적으로 취하거나, 또는 이원조의『탐라지초본』에 나오고 있는 것처럼 ‘탁라왕(乇羅王)’이 도읍했던 곳 등으로 설명하고 있다.

#3
제주문화유산연구원, 2015,「제주 강정동 대궐터유적 문화재 발굴조사 간략보고서」.

#4
김용태, 2011,「표해록(漂海錄)의 전통에서 본『해외견문록(海外聞見錄)』의 위상과 가치」,「한국한문학연구」48.


158368_178902_0610.png
※ 필자 김일우 (사)제주역사문화나눔연구소장의 대표 논저.

2000,『고려시대 탐라사연구』, 신서원
2002,「고려후기 제주 법화사의 중창과 그 위상」, 『한국사연구』119
2003,「고려후기 제주・몽골의 만남과 제주사회의 변화」,『한국사학보』15.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