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서귀포시 강정마을. 지금은 제주해군기지 건설 갈등으로 인해 마을공동체가 깨져버린 아픔의 땅이지만, 오래전부터 물 좋고 사람 좋아 제주섬에서도 으뜸이라며 일강정(一江汀)으로 불렸다. 그런 강정이 고려때는 몽골 황제가 피난궁전을 지었던 곳이라는 주장이 역사학계에 등장했다. 300여 년 전 제주목사 송정규에 의해 처음 제기된 일명 ‘강정동 대궐터’는 각종 문헌과 발굴조사를 통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앞서 해군기지 건설 부지에서 청동기, 철기시대 유물이 다수 발견돼 강정지역의 역사적 가치가 부각된 상황에서, 몽골 황제의 대궐터는 역사적인 관점에서 강정을 주목해야 할 새로운 이유가 될 가능성이 높다. 실제 강정 제주해군기지 부지와 대궐터 발굴조사 구역은 1km도 떨어져 있지 않다. 이 같은 내용은 김일우 박사가 지난 7월 23일 한국사학보에 발표한 논문 ‘제주 강정동 대궐터 유적의 역사적 성격-고려시대 몽골의 제주지배기와 관련하여’에 수록됐다. [제주의소리]는 해당 논문을 매주 수요일과 금요일 2차례 씩 나눠 총 7번에 걸쳐 연재한다. #표시된 각주 내용은 원고 하단에 별도의 설명을 달았다. [편집자] 


▶글 싣는 순서 
①머리말
②제주 지역의 '대궐터'와 그 성격
③13~14세기 제주의 서남부 지역과 조영공사 (1)
④13~14세기 제주의 서남부 지역과 조영공사 (2)
⑤강정동 '대궐터' 관련 사서기록 및 유적 (1)
⑥강정동 '대궐터' 관련 사서기록 및 유적 (2)
⑦맺음말


[제주 강정동 대궐터 유적] ③13~14세기 제주의 서남부 지역과 조영공사 (1)
/ 김일우 (사)제주역사문화나눔연구소장

13세기부터 14세기 후반 무렵은 몽골의 시대라 할 수 있다. 몽골은 13세기 초반부터 발흥하기 시작해 중국 대륙과 고려 및 안남(安南) 지역 등의 동아시아를 비롯해 유라시아 지역에 걸쳐 100여 년 동안 몽골제국 중심의 세계질서를 형성했다. 이때 몽골은 유사 이래 단일국가로서 최대의 판도를 이뤘다고 한다. 이후 원・명(元・明)교체기를 거치면서 14세기 후반 무렵 몽골의 시대가 붕괴되고 명 중심의 동아시아 국제질서로 재편됐다. 이러는 동안 제주는 몽골의 직할령으로 편입되고, 몽골 황실의 왕족과 그 일족의 상당수가 유배 오는 등 격변을 겪었다._#14 이와 관련해 제주사회의 중심추도 서남부 지역 쪽으로 옮겨졌던 한편, 제주의 서남부권에 대규모 조영공사도 여러 차례 이루어졌다. 이렇게 된 데는 몽골이 제주의 서남부 지역에 눈독을 들인데서 비롯했다고 보인다.

몽골의 제주지배기 때는 제주의 서남부권이 제주사회의 중심지로 부상했다고 할 수 있는데, 그곳이 구체적으로 어디였는지를 먼저 살펴보도록 하겠다.

제주의 지역별 구분의식을 보자면, 한라산을 경계로 삼아 산북(山北)과 산남(山南), 이어 산남을 다시 서쪽과 동쪽 편으로 나눈다. 이는 조선시대 태종 16년(1416) 제주의 군현개편이 이뤄질 때 산북 지역은 제주목(濟州牧), 산남의 서쪽과 동쪽을 각각 대정현(大靜縣)과 정의현(旌義縣)으로 편제했던 사실과도 관련됐다._#15 이들 3개 읍의 지역적 분포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현재 제주도(濟州島)의 행정구역 분포도를 제시하면 다음의 <그림 1>과 같다.

2asar1a.jpg
▲ <그림 1> 제주도의 제주시와 서귀포시 관내 동(洞)과 읍면 지역 구분도. 제공=(사)제주역사문화나눔연구소. ⓒ제주의소리

조선시대 제주목의 읍성은 제주시 19개 행정동 지역 가운데 삼도・이도・일도동 일대, 대정현의 읍성은 대정읍의 인성・보성・안성리 일대, 정의현의 읍성은 성산읍 고성리를 거쳐 표선면의 성읍리 일대에 들어섰다. 이로부터 제주 지역은 삼읍의 3개 문화권으로 대별해 보는 의식이 싹트기 시작했고, 그것이 점차적으로 강화돼 나아갔다. 그래서 오늘날에 와서도 제주 사람의 지연(地緣)과 관련해서는 산북출신, 산남의 대정・정의출신으로 각각 구분해 따질 정도에 이르기도 했다.

한편 <그림 1>의 서귀포시 12개 행정동 지역 가운데 중간지대의 ①과 ② 일대는 조선시대 때 대정현과 정의현의 경계가 접하는 곳이기도 하다. 이때는 오늘날 서귀포시 22개 법정동 가운데 하나인 법환동 일대와 강정동 동쪽 일대, 그 북쪽 소재의 오름 ‘고근산’ 일대를 경계로 서쪽 지역은 대정현, 동쪽 지역은 정의현의 관내가 되었는데, 시기에 따라 그 경계가 넘나들기도 했다. 그래도 제주의 서남부는 한라산 이남 지역으로, <그림 1>의 서귀포시 12개 행정동 지역의 중간지대로부터 대정읍에 이르는 서쪽 지역 일대를 일컫는 편이다. 이들 서남부권의 경우는 몽골이 제주 삼별초를 정벌해 제주 지역을 직할령으로 삼은 원종 14년(1273) 보다 앞선 원종 9년(1268) 이래부터 주목했다고 보인다.

몽골은 원종 9년에 사신을 고려에 보냈는데, 이들은 남송(南宋)과 일본정벌을 위해 직접 흑산도(黑山島)와 일본 주변의 해로를 살펴본 뒤, 본국으로 돌아갔다._#16 이때 몽골 사신은 제주 주변의 해로에도 유의했을 것이다. 사실, 몽골 황제 쿠빌라이의 경우도 '탐라(耽羅)'의 바닷길로 남송과 일본에 가기가 매우 쉽다는 이야기를 듣고, 원종 10년에 제주 등의 주변 도로를 자세히 살펴보기 위해 사신을 파견했던 적이 있었다._#17 

몽골이 남송과 일본정벌을 위해 제주의 바닷길을 주목했을 때, 그 구체적 위치는 제주의 서남부 지역과 그곳 해로였을 것이다._#18 이는 12~13세기 경 남송 때 중국 화남(華南)지방 등에서 일본 큐슈(九州), 혹은 제주를 기착지로 삼아 항해하다 침몰한 배에 실렸던 것으로 추정되는 중국 도자기・대접 등의 파편유물이 근래 제주의 서쪽 한경면 신창리 주변 해저유적에서 나왔던 사실에서도 엿볼 수 있다._#19 <그림 1>의 ⑦ 홍로천(洪爐川)도 바다와 잇닿는 하천인데, 제주 지역에서 원(元)나라에 조회할 때 순풍을 기다리는 곳이라고 했다._#20

제주 서남부의 해로가 중국 대륙・고려 지역을 잇는 바닷길로 자주 이용됐다는 점은 기록을 통해서도 뒷받침된다. 곧, 중국의 닝뽀〔明州〕지역 송나라 상인이 동북쪽으로 항해해 흑산도를 거쳐, 군산도(群山島, 조선시대 말까지 섬)에 다다르고, 이후에는 연안을 따라 북쪽으로 나아가 태안반도에 이른 다음, 강화도를 거쳐 예성강 하류에 위치한 해외 무역선의 최종 정박지 벽란도에 7일 걸려 도착하는 바닷길을 활발하게 이용했던 사실이 확인되고 있는 것이다._#21 이에 제주의 서남부 지역과 그곳 해로가 남송과 일본 및 원 지역을 잇는 바닷길의 요충지에 해당했고, 그 때문에 몽골이 제주의 서남부권에 주목했다고 할 수 있다. 고려왕실도 몽골 사신이 남송 정벌의 해로 등을 살펴보았을 때 제주의 서남부 지역과 그곳 해로에 주목했음을 당연히 알았을 것이다.

한편, 여태 드러나는 제주 법화사 관련 자료를 보았을 때, 분명히 알 수 있는 것은 법화사가 원종 10년(1269)부터 충렬왕 5년(1279) 사이에 다시 지어진 적이 있었음과 아울러, 그 사찰의 위치가 <그림 1>의 ③ 하원동 1071-1번지 일대에 자리했다는 사실 등이다(<그림 2> ⑪)._#22 즉, 법화사의 중창은 몽골이 제주에 관심을 두기 시작하다가, 제주 삼별초를 고려와 연합해 평정한 다음, 여기를 자신의 직할령으로 삼았던 초창기 무렵에 이루어졌던 것이다. 특히, 법화사의 위치는 가장 가까운 서쪽 해안가 대포동의 대포(大浦)로부터 내륙 쪽으로 4㎞ 정도 밖에 떨어져 있지 않다._#23 대포는 중국과의 교류에 이용되었던 연유로 ‘당포(唐浦)’라 일컬어졌다는 구전도 지닌 포구이다. 법화사는 원종 9년(1268) 전후 무렵 몽골이 남송과 일본정벌의 전초기지로서 제주를 경영하고자 할 때, 가장 주목했던 제주의 서남부권에 자리잡은 사찰이었던 것이다.

1dasdasd.jpg
▲ 법화사지 발굴현장. 사진제공=(사)제주역사문화나눔연구소, 제주사정립사업추진협의회. ⓒ제주의소리

법화사의 중창 과정과 그 위상을 보자면, 중창의 시작은 고려왕실의 착안으로 비롯됐으나, 본격적인 추진과 마무리는 몽골의 주도 하에 이뤄졌다. 애초, 고려 왕정은 국가 평화와 왕권강화를 위해 원 황제 쿠빌라이의 호의를 끌어내고자 원종 10년(1269)부터 황제의 원찰과 같은 사찰의 조성을 위해 법화사 중창을 계획・추진했으나,_#24 삼별초의 제주진입 등으로 지지부진했을 것이다. 반면, 제주가 원종 14년(1273) 몽골의 직할령으로 편입된 이후에는 몽골이 자신의 제주경영을 보다 더 효과적으로 도모하려는 의도에서 법화사 중창을 이어 받은 뒤, 본격적으로 추진해 나아가 충렬왕 5년(1279) 마무리 지었던 것으로 보인다. 특히, 법화사가 고려왕실과 몽골황실이 같이 신봉하던 관음신앙에 기초한 사찰이었음과 동시에, 남송과 일본을 잇는 바닷길의 요충지인 제주 서남부의 해안지대로부터 가까운 곳에 자리잡았다는 지리적인 위치가 법화사 중창을 일으키는데 결정적으로 작용했을 것이다.

결국 법화사 중창은 고려와 원의 국가적 필요성이 중첩되어 이뤄졌으나, 중창 이후의 법화사는 고려보다 더 원에 가까운 사찰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밖에 없었다고 보인다._#25 사실, 중창 이후 법화사는 원 황실의 원찰임과 동시에, 제주에 거주한 상당수의 몽골족이 찾아왔었던 종교적 안식처였을 것이다. 그러던 중, 제주가 한때 고려에 환속되었던 충렬왕 20년(1294)~충렬왕 26년(1300)에 고려의 비보사찰로도 지정됐고, 이후에도 그 위상을 계속 유지해 나아갔다. 아울러, 몽골이 제주를 지배하는 100여 년 동안 일어난 제주사회의 변화 및 동향과도 맞물려 법화사는 몽골족뿐만 아니고, 그와 혼인한 제주여성 및 그 사이 태어나 반(半)몽골족화된 제주민으로 구성된 몽골족 가족, 또한 토착주민도 함께 종교적 안식처로 찾는 곳이 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에 법화사의 위상은 복합적이고 상당히 높았다고 하겠다.

1aaafcz.jpg
▲ 법화사지 출토 명문기와. 사진제공=(사)제주역사문화나눔연구소, 제주사정립사업추진협의회. ⓒ제주의소리
1azzzvvaad1.jpg
▲ 법화사지 기와보도. 사진제공=(사)제주역사문화나눔연구소, 국립제주박물관. ⓒ제주의소리

게다가, 법화사는 사찰로서 지녔던 자신의 위상을 매개로 몽골의 제주사회 지배를 뒷받침하는 관아와 같은 기능도 지녔다고 보인다. 그리고 원(元)의 ‘양공(良工)’이 주조한 미타삼존동불(彌陀三尊銅佛)이 안치되어 있었는데,_#26 이는 몽골 황제 순제가 원 멸망 직전 제주에 피난궁전 조영을 추진할 때 보냈던 재화와 보물의 일부로 보기도 한다._#27 이에 법화사 경내, 혹은 사령지(寺領地)에는 후술하고 있는 황제 순제의 피난궁전 터도 자리잡았을 것이다. 이렇게 된 데는 법화사 일대에 몽골의 중심적 세력기반이 존재했으며, 공민왕대(1352~1374) 이르러서는 제주사회의 중심지역과 권력의 중심부가 이미 제주 서남부 지역으로 옮아갔다는 점도 크게 작용했다고 할 수 있다. 이는 공민왕 23년(1374) 최영(崔瑩)장군의 제주정벌을 통해서도 엿볼 수 있다._#28

제주 몽골족의 세력기반은 공민왕 23년(1374) 최영장군이 대규모 정예군을 이끌고 제주에 들어와 몽골족 목호세력(牧胡勢力)을 평정함에 결정적으로 붕괴됐다. 이때는 몽골이 세운 동・서아막의 목장 가운데 제주의 서남부 지역, 곧 현재의 한경면 고산리 일대에 자리잡은 서아막의 목호세력이 제주사회의 주도권을 장악했다. 또한 최영장군의 대규모 정예군이 상륙지점으로 택하고, 목호세력의 수뇌부가 기병(騎兵) 3000여 명과 수많은 보병을 거느려 포진했던 곳도 제주의 서쪽 현 한림읍 명월포(明月浦) 일대였다. 한 달 여간 주야로 벌어진 최영장군과 목호세력의 전투도 처음 명월포에서 벌어진 뒤, 줄곧 목호세력이 점점 더 서남부 지역 쪽으로 밀려가는 상태에서 전개됐다. 목호 수뇌부가 피신했다가 최후를 맞이한 곳도 법화사 언덕에서 내다보이는 서귀포시 법환동 앞 바다에 위치한 범섬이었다. 그리고 범섬은 목호세력의 최고위층이 자신의 처자식을 앞서 피신케 했던 곳이기도 하다._#29 이로 볼 때, 서아막이 제주의 동남부 성산읍 수산평 일대의 동아막 보다 더욱 번성했고, 목호가 지닌 세력기반의 주축이었을 몽골족과 아울러, 이들과 제주여성 사이에 태어난 반몽골족화의 제주민 등이 주로 제주의 서남부 지역에 거주했던 것 같다. 그런 만큼,『명태조실록(明太祖實錄)』권75, 태조 5년 7월조에 몽골족 ‘부락(部落)’이라 일컫는 마을도 제주 서남부 지역에 자리잡았을 것이다. 

▲ 제주 목호와 최영장군의 전적지 범섬과 '배염줄이' 사진제공=(사)제주역사문화나눔연구소 ⓒ제주의소리


▲각주

#14
고려시대 몽골의 제주지배기에 대해서는『고려시대 탐라사연구』(김일우, 2000, 신서원) 259~385쪽 참조. 이와 관련한 본고의 논의도 위의 책에서 밝힌 내용에 의존해 서술한 편이다.


#15
김일우, 2007, 「고려시대와 조선초기 제주도(濟州島) 지역의 행정단위 변천」,『한국중세사연구』23, 308~312쪽.


#16
『고려사』권26, 세가 원종 9년 10・11・12조.

#17
『원사(元史)』권208, 열전 외이(外夷) 1 탐라 지원(至元) 6년 7월, 

#18
김일우, 2002,「고려후기 제주 법화사(法華寺)의 중창과 그 위상」,『한국사연구』 119, 37쪽.

#19
이청규・강창화, 1998,「신창리 해저유물 산포지」,『북제주군의 문화유적(Ⅰ)』, 북제주군・제주대학교박물관, 91~94쪽.

#20
『신증동국여지승람』 권38, 정의현 산천조.

#21
『고려도경(高麗圖經)』권39, 해도(海道) ;「통강남절강상박의)通江南浙江商舶議」,『북학의(北學議)』외편 ; 전해종, 1974,「대송외교의 성격」,『한국사』4, 국사편찬위원회, 338쪽.

#22
제주대학교박물관・서귀포시, 1992,『법화사지』(제주대학교조사보고 10집).
서귀포시・제주대학교박물관, 1997,『법화사지』(제주대학교조사보고 19집).

#23
서귀포시・제주대학교박물관, 1997, 앞의 보고서, 27~29쪽.

#24
원종 2년(1261) 태자 심(諶, 훗날의 충렬왕)이 세조가 자신의 황제 즉위에 반발한 아리발가(阿里孛哥)를 쳐 제압한 것을 하례(賀禮)드리는 사신으로 갔을 때 표(表)를 올려 그동안 고려왕실에서는 황제의 무운(武運)을 위해 불사를 열었던 사실을 알렸다(『고려사』권25, 세가, 원종 2년 4월). 이는 외교문서에 흔히 쓰이는 수사적 표현이 아니고 실제적으로 행해졌던 일로 보인다. 이것이 결국에는 제주 법화사 중창으로 나아갔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원종대는 고려 왕실이 황제와 우호적 관계를 맺음으로써 국가의 평화를 유지하는 한편, 그를  통해 왕권을 회복하려는데 노력을 기울이고 있었던 때이다(김일우, 2002, 앞의 논문, 32~43쪽). 

#25
김일우, 2002, 앞의 논문, 43~54쪽.

#26
『태종실록(太宗實錄)』권11, 태종 6년 4월 경진.

#27
오카다 히데히로(岡田英弘), 1958,「원 순제와 탐라도(元の順帝と耽羅島)」,『아시아문화연구론총(アジア文化硏究論叢)』1, 국제기독교대학(國際基督敎大學), 60쪽.

#28
김일우, 2000, 앞의 책, 380~384쪽.

#29
『고려사』권113, 열전 최영전.

※ 필자 김일우 (사)제주역사문화나눔연구소장의 대표 논저.
158368_178902_0610.png

2000,『고려시대 탐라사연구』, 신서원
2002,「고려후기 제주 법화사의 중창과 그 위상」, 『한국사연구』119 
2003,「고려후기 제주・몽골의 만남과 제주사회의 변화」,『한국사학보』15.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