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jpg
'기지 공사로 연산호 훼손' 인정...문화재청 권고로 2019년까지 복원, 강정 "로드맵부터" 

군 당국이 제주해군기지 공사 과정에서 강정 앞바다에 서식하는 연산호가 훼손된 사실을 인정하고 문화재청 권고에 따라 2019년까지 복원작업을 진행하기로 했다.

해군본부는 2016년 12월부터 2019년 12월까지 3억4000만원을 투입해 제주해군기지 남방파제 남쪽 수심 25m 지점에 테트라포드 12기를 투하, 연산호 복원을 추진중이다.

해당 지점은 대형 크루즈선이 정박하는 남방파제 바깥쪽이다. 서방파제 인근에 위치한 강정등대와는 약 250m 떨어져 있다.

해군은 기지 건설 과정에서 문화재청의 현상변경 허가조건에 따라 2011년부터 연산호 군락에 대한 모니터링을 수행했다. 당시 조사에서는 ‘큰 변화가 없다’는 취지의 결과가 나왔다.

'셀프 검증'에 강정마을회와 환경단체는 반발했다. 객관적 조사를 주문했다. 해군은 후속 조치로 성균관대에 의뢰해 2014년 11월부터 2015년 12월까지 실태 조사를 진행했다.

그 결과 50% 이상의 지표생물군에서 상대적인 감소가 발생했다. 분홍바다맨드라미의 감소가 두드러졌다. 강정등대 해역은 2009년 16종에서 2015년 10종으로 크게 줄었다.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야생생물II급인 밤수지맨드라미와 검붉은수지맨드라미, 자색수지맨드라미는 자취를 감췄다. 문화재청 지정 천연기념물인 해송류 감소도 눈에 띄었다.

2.jpg
조사 결과를 토대로 해군은 공식적으로 연산호 훼손을 인정했다. 이에 문화재청은 지난해 12월30일 훼손이 심한 강정등대 인근 해역을 지목하고 복원사업을 주문했다.

해군은 굴패각과 현무암, 로프 등이 붙은 테트라포드를 통해 산호초가 살 수 있는 서식환경을 인위적으로 조성했다. 일반 테크라포드 3기도 인근 해역에 투하됐다.

해군본부는 2017년부터 2019년까지 3년간 반기별로 1차례씩 총 6차례 잠수부들을 투입해 복원진행 과정을 확인하기로 했다.

해군 관계자는 “연산호 군락지 훼손과 은폐 주장은 사실과 다르다”며 “관련 법규에 따라 공사를 진행했고, 이 과정에서 일부 훼손이 확인돼 인공복원에 나선 것”이라고 해명했다.

이어 “분기별로 사후환경영향평가를 실시하고 이를 관련 부처와 공유할 것”이라며 “해군은 해상 환경을 보존하기 위해 적극 노력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강정마을회와 제주연산호조사TFT 등은 인공복원에 앞서 보전에 관한 로드맵 작성과 민간 전문가 참여가 있어야 한다며 여전히 반발하고 있다.

강정마을회는 “해군의 복원사업이 제대로 추진될 수 있을지 검증된 바는 없다. 해군기지에 대한 구체적 관리 없이 세계 최대 연산호 군락지를 복원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밝혔다.

이어 “지금이라도 환경부는 멸종위기 산호충류의 훼손과 보전에 관한 로드맵을 작성해야 한다”며 “강정마을회가 참여하는 중장기적인 보전 계획을 수립하자”고 제안했다.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