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에너지포럼, 2020년 셧다운 77회 19.5GWh...2022년 254GWh로 급증 ‘대책 마련 절실’

제주에서 신재생에너지 증가에 따른 출력 제한이 해마다 급증하면서 향후 2년간 손실 규모가 330억원에 달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27일 제주국제컨벤션센터 영주홀에서 열린 제주에너지포럼 토론회에서 참석자들은 제주에서 발생하는 출력 제한이 향후 전국에서 재연될 수 있다며 우려를 표했다.

제주는 2012년 ‘탄소없는 섬(Carbon Free Island)’ 비전 발표후 신재생에너지 개발에 집중했다. 2009년 9%에 불과했던 도내 신재생에너지 발전설비 비중은 2020년 16.2%로 급상승했다.

반면 생산한 전력을 저장하거나 송출하지 못해 강제로 발전을 중단시키는 셧다운(shut down)이 속출했다. 신재생에너지의 기후 의존도가 높아 공급과 수요의 불일치가 발생했기 때문이다.  

풍력발전기의 경우 대부분 에너지저장시스템인 ESS(Energy Storage System) 능력이 낮아 발전과 동시에 전기를 소비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공급이 높으면 과부하를 피할 수 없다.

실제 연도별 셧다운 횟수와 제어량은 2015년 3회(152MWh)에서 2017년 14회(1300MWh), 2019년 46회(9223MWh)에서 2020년에는 77회(1만9449MWh)로 해마다 급증했다.

지난해 출력제한 규모는 19.5GWh(기가와트)다. 이는 도내 전세 신재생에너지 발전량의 3.3%에 달한다. 금액으로 따지면 30억원에 해당하는 규모다.

전문가들은 출력제한이 올해 181GWh에서 2022년에는 254GWh으로 더 늘어 약 330억원의 손실이 발생할 것으로 내다봤다. 제3차 해저연계선이 들어서도 출력제한을 피하기는 어렵다.

2020년 12월말 기준 도내 공급 전력의 54%는 화력과 액화천연가스(LNG)를 활용한 발전기가 담당하고 있다. 29.8%는 해저연계선을 이용해 육지에서 전기를 끌어다 쓰고 있다.

나머지 16%를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설이 생산하고 있다. 도내 1216개 신재생 발전시설에서 생산하는 전력량은 690.2MW다. 이중 태양광이 1182곳 368.6MW로 절반 이상을 차지한다.

최근 들어 태양광 시설 급증으로 출력제한 위기가 더 높아지자, 산업통상자원부는 제주도와 전력거래소, 에너지공단 등이 참여하는 협의체를 꾸려 전국적인 대응책을 세우기로 했다.

이를 통해 제주에 분산형 에너지 시스템을 마련하고 계통안정화를 위한 공공 에너지저장장치(ESS)도 구축하기로 했다. 효율적 관리를 위해 재생에너지 통합관제 시스템도 갖추기로 했다.

제1연계선(제주~해남)과 제2연계선(제주~진도)을 통해 과잉 전력을 육지로 보내는 역송 실험도 추진한다. 2023년까지 양반향 전력 공급이 가능한 제3연계선 구축에도 속도를 내기로 했다.

강승진 한국산업기술대학교 교수가 27일 오후 3시 제주국제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제주에너지포럼 발족식에서 '제9차 에너지기본계획과 제주에너지 전환'을 주제로 기조강연을 하고 있다. ⓒ제주의소리
강승진 한국산업기술대학교 교수가 27일 오후 3시 제주국제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제주에너지포럼 발족식에서 '제9차 에너지기본계획과 제주에너지 전환'을 주제로 기조강연을 하고 있다. ⓒ제주의소리

강승진 한국산업기술대학교 교수는 “발전기 출력을 줄여 재생에너지 수용량을 늘리고 발전량이 많은 시간도 조정해 운영시간을 재조정하는 등 출력제한을 최소화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경훈 산업통상자원부 분산에너지과장은 “신재생에너지 증가는 계통 내 안정성 저하로 주파수 급변동을 일으킨다”며 “실시간 충전과 방전이 가능한 ESS구축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출력제어 외에도 잉여전력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분산에너지 정책이 필요하다”며 “재생에너지 통합관제시스템 등 선제적인 인프라를 제주에서 먼저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제주에너지포럼 공동대표를 맡은 위성곤 국회의원은 제주에서 불거지는 신재생에너지 문제가 향후 전국으로 확산될 수 있다며 제주를 국내 1호 분산특구로 지정할 것을 주문했다.

위 의원은 “에너지 사업과 관련해 다양한 분야의 기업 진출과 밴처 지원이 필요하다”며 “제주를 분산 에너지 특구로 지정해 이 같은 정책 실현이 가능하도록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분산 에너지 특구로 지정되면 기존 에너지를 통합해 전력시장 등에 거래하는 통합발전소(VPP) 제도 등을 실증할 수 있다. 생산자와 소비자가 전기를 거래하는 전력거래 특례도 가능해진다.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