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로 가는 제주] ① 우주산업, 전례 없는 미래성장 가능성 내포
지자체별 산업 유치 사활...제주, 민간기업 주도 성장계획 부각

민선8기 제주도정이 우주산업 유치전에 본격 뛰어들었다. 우주산업의 미래 성장가능성을 둔 세계적인 추세와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 의지에 기인한 도전이지만, 무엇보다 제주가 지닌 천혜의 이점을 활용하겠다는 자신감이 실렸다. 민간 주도의 '제주형 스페이스X'를 구현하겠다는 포부와는 달리 후발주자로서의 부담과 선결 과제도 만만치 않다. [제주의소리]는 제주 우주산업 도전의 배경과 당위성, 추후 계획 등을 세 차례에 걸쳐 다룬다. /편집자 주

인류 역사에 있어 우주는 미지의 대상이자 동경의 대상이었다. 과학기술 발전이 비약적인 성장을 이룬 오늘날까지도 우주는 미완의 과제다. 역설적으로 우주산업은 무궁무진한 가능성을 지닌 시장이기도 하다.

전세계 열강들은 앞다퉈 우주산업에 대한 투자를 늘리고 있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발표한 '국가 우주산업 수준평가' 보고서에 따르면 2021년 기준 전 세계 우주개발 예산 규모는 약 925억달러, 한화로 약 121조원에 달한다. 미국(546억달러), 중국(103억달러), 일본(42억달러), 프랑스(40억달러), 러시아(36억달러) 등에 이어 한국의 우주개발 투자는 6억7900만달러로 세계 10위권이다.

우리나라는 1993년 과학위성으로 우주개발에 대한 투자를 시작해 2001년부터 발사체에 대해 투자했고, 2013년 최초 우주발사체인 나로호 발사에 성공했다. 나로호가 러시아 기술 엔진으로 발사됐다면, 2022년 누리호는 순수 국내 기술만으로 발사에 성공한 걸출한 성과를 이룩했다.

나로호·누리호 발사 성공의 감격은 국민들의 가슴에 생생하게 남아있다. 한국 우주개발의 산실이 된 나로우주센터가 위치한 전남 고흥군 '외나로도'가 일약 관광명소로 발돋움한 것은 당연한 수순이었다.

우주산업 개발에 대한 정부의 의지도 여느 때와 달리 무르익었다.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해 11월 '미래 우주경제 로드맵'을 선포하며 2045년까지의 정책방향을 제시했다.

5년 내 달을 향해 날아갈 수 있는 우주발사체 엔진을 독자 개발해 2032년에는 달에서 자원을 채굴하고, 광복 100주년인 2045년에는 화성에 착륙한다는 계획을 제시했다.

윤 대통령은 "우주 기술은 최첨단 기술의 집약체이자, 기존 산업을 부흥시키고 신산업을 탄생시키는 동력"이라면서 "세계 5대 우주기술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해 누리호 보다 강력한 차세대 발사체를 개발하고, 발사체와 위성의 핵심 부품에 대한 기술 자립을 이룰 것"이라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국무총리 산하 국가우주위원회를 격상시켜 위원장을 자임했다.

지난해 11월 28일 '미래 우주경제 로드맵'을 선포하는 윤석열 대통령. 사진-대통령실<br>
지난해 11월 28일 '미래 우주경제 로드맵'을 선포하는 윤석열 대통령. 사진-대통령실

정부의 투자 의지와는 별개로 국가 주도로 다뤄지던 우주산업은 최근 휴대폰단말기, 내비게이션, OTT 등 위성방송통신 분야의 수요가 늘어남에 따라 민간기업의 투자 규모가 커지는 흐름이다.

전세계 상업용 발사체 시장은 2011~2020년 570억달러 규모에서 2021~2030년 860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발사 위성 또한 3816기에서 1만7041기로 급증할 것으로 분석된다.

실제 우리나라의 경우도 우주산업에 종사하는 기업체의 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2010년 61곳에 불과했던 기업체의 수는 2015년 300곳까지 늘었고, 2020년에는 389곳에 이르렀다.

가이드라인이 없던 우주분야의 경우 연구기관에 의존하는 경향이 있었지만, 정부의 우주개발 정책이 점차 민간주도로 전환되고 있어 급격한 변화가 예상된다.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에 더해 신산업 수요에 대한 증가, 인프라 확충 등의 호재가 맞물리며 우주산업 유치를 위한 각 지방자치단체의 유치경쟁도 가속화되고 있다. 

현 단계에서 앞서있는 곳은 누리호 발사 성공에 빛난 전라남도 고흥을 비롯해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자리잡은 대전, 우주항공청 설립 부지로 잠정 결정된 경상남도 사천 등이다.

정부는 우주개발진흥법에 따라 삼각형을 그리고 있는 이 세 지역을 '우주산업 핵심 클러스터'로 선정했다. 고흥은 '발사체 특화지구', 대전은 '연구·인재개발 특화지구', 사천은 '위성제조 특화지구'다.

2021년 우주산업실태조사로 분류된 지역별 우주산업 현황. 사진-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제주도 역시 각 지자체의 '우주경쟁'의 한복판에 뛰어들었다. 우주산업의 미래 성장 가능성을 감안하면 피할 수 없는 도전이었다.

오영훈 제주도지사는 지난 2월 1일 우주산업 비전을 발표하며 "우주산업을 육성하고 우주 꿈나무를 키워내며 우주로 경제 영토를 확장하는 일은 결코 꿈이 아니다. 우주산업은 제주가 반드시 해야하는, 제주가 가장 잘 할 수 있는 일"이라며 "제주의 가치와 경제 영토는 섬이라는 공간적 한계를 넘어 창대한 우주로 뻗어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후발주자로 분류되는 제주는 틈새시장을 노려 민간기업 주도의 '소형 위성'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다. 정부의 지원과는 상관 없이 민간 소형 큐브위성을 쏘아 올리겠다는 청사진을 제시했다.

이 과정에서 제주도는 전세계에서 가장 거대한 규모로 우주산업에 투자하고 있는 미국의 '스페이스X'를 언급했다. 

테슬라의 창업주인 일론 머스크가 설립한 스페이스X는 세계 최초로 상용우주선 발사, 발사체 수직 이착륙, 우주비행사 정거장 도킹 등에 성공하는 등 우주산업의 선구자로 꼽힌다. 제주도는 이른바 '제주형 스페이스X'를 유치·육성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우주산업은 전세계적으로 기술 혁신이 산업 전반에 걸쳐 두드러지고 있다. 점차 비용 절감과 효율성을 중시하고 있는 업계의 특성상 빠른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우주산업에 있어 제주가 지닌 지리적 이점을 비롯해 제주특별법 등의 제도개선 등의 메리트를 살리는 것이 중요한 과제가 될 전망이다.

* ‘우주로 가는 제주’ 기획 취재는 제주도의 취재지원과 협조로 진행되었습니다.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