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급진단]③ ‘내우외환’ 제주에너지공사, 한동‧평대 해상풍력도 ‘결단’ 필요

제주에너지공사가 심상치 않다. 풍력의 공공자원화와 신재생에너지의 체계적 개발을 위해 2012년 7월1일 설립된 제주에너지공사. 그러나 조직 수장이 잇따라 불명예 퇴진하고, 조직 내부에선 옥상옥 또는 하극상 비판도 제기된다. 급기야 공사 안팎에선 사장과 임원들의 무능·무소신, 기강해이 지적도 따갑다. 경영환경이 급변하는 속에서 사업추진도 제대로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 연속 보도로 제주에너지공사를 긴급진단한다. [편집자주]

제주에너지공사가 ‘양호’라는 공기업평가에도 불구하고, 직원들의 줄사표가 이어지는 등 내부 대수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높다.   

외형적 성과와 달리, 도민 에너지 공기업으로서의 ‘공공형 풍력발전’은 헛구호에 가깝고, 향후 경영전망도 밝지 않다는 것이 조직 안팎의 중론이다. 

제주에너지공사의 지난 2년간 경영실적은 양호한 수준이다. 행안부의 지방공기업 평가도 꾸준히 나아져 제주지역 공기업 중 상위를 차지하기도 했다.

2015년 8억1200만원이었던 당기순이익은 2017년 22억3600만원, 2018년 32억2300만원으로 3년 만에 꾸준히 성장했다.

당기순이익이 늘면서 2016년 '마등급'에 머물렀던 행안부 경영평가가 2017년과 2018년은 '나등급'(우수)으로 크게 나아졌다. 

그러나 겉으로 보이는 이 같은 성적표에도 불구하고, 내부사정을 잘 아는 조직 안팎의 핵심관계자들은 에너지공사 앞날이 결코 밝지만은 않다는 평가가 나오는 이유는 무엇 때문일까? 

# 직원 줄사표, 내부 분열, CEO 중도하차

에너지공사는 차우진 제1대 사장부터 이성구 2대 사장, 중도하차를 선언한 현 김태익 3대 사장에까지 모두 임기를 채우지 못할 만큼 부침과 우여곡절이 많았다.

여기에 현재 3급 본부장이 인사와 감사, 조직과 사업을 모두 장악할 수 있는 기형적 구조가 굳어지면서 조직 내부적으로 갈등과 분열 양상까지 보이고 있다.

[제주의소리] 취재 결과 에너지공사는 지난해에만 5명의 정규직원이 줄줄이 퇴사한 것으로 확인됐다. 

에너지공사 측은 “보수 수준과 복리후생이 더 높은 유사 공공기관이나 에너지관련 기업으로 이직한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그러나 [제주의소리]가 만난 퇴직자 A씨는 “임금수준 문제보다는 회사 분위기가 가장 큰 문제였다”며 “누가 사장인줄 모를 정도다. 조직의 실권은 사장이 아닌 특정인에게 집중되어 있다. 밉보이거나 찍히면 누구라도 남아있기 힘든 회사”라고 토로했다. 

A씨는 이어 “저 말고 퇴사한 동료들도 비슷한 생각이다. 일을 하다보면 서로 의견이 다를 수도 있는데 특정인이나 그를 추종하는 일부 간부직원과 마찰이 생길까봐 일을 하지 않는 게 차라리 낫다는 이야기가 공공연한 사실”이라며 “직원간 분열을 조장하는 분위기가 팽배해 공기업으로서 비전이 없는 조직 같았다”고 퇴사 배경을 밝혔다. 

실제로 이 같은 직원들 줄사표는 도의회에서도 문제 삼기도 했다. 

올해 2월 열렸던 제369회 제주도의회 임시회에서 에너지공사를 관할하는 농수축경제위에서 고용호 위원장과 강충룡 의원이 직원들의 잇단 사표 문제를 질책했다. 

우선 강충룡 의원은 당시 김태익 사장에 대해 “직원이 점차 줄어드는 이유가 뭐냐? 제주도가 예산을 투입해 양성한 인력인데 그런 인력들이 다른 데로 빠져나가는 것은 심각한 문제로 받아들여야 한다”고 꼬집었다. 

이날 고용호 위원장 역시 “왜 직원들 이탈이 이렇게 심하냐? 매일 구박하는 것 아니냐? 그렇지 않고서야 왜 이탈이 이렇게 심할 수 있나?”고 강하게 질책한 바 있다. 

고 위원장은 또, “다른 데로 직원들을 뺏기는 것은 인력관리를 제대로 못한 때문”이라는 취지로 출석한 김태익 사장을 강도 높게 채근하기도 했다. 

# 한동‧평대 해상풍력 지지부진 

향후 경영여건도 녹록치 않다. 풍력발전 전기단가의 하락이라는 외적 요인과 한동‧평대 해상풍력개발사업 등 지지부진한 핵심사업 등 내적 요인까지 그야말로 내우외환이다. 

우선은 그간 에너지공사 순익의 대부분을 차지했던 풍력발전 전기단가가 내년부터 하락한다는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에너지공사는 제주지역 화력발전 단가에 따라 풍력발전 전기를 한전에 판매해 왔다. 하지만 삼양과 한림발전소가 LNG 복합발전소가 되면서 전기 단가가 낮아진다.

한전에 판매하는 풍력발전 전기단가가 낮아지면 그만큼 에너지공사 순익도 줄어들게 된다. 

4년 동안 끌어왔던 '한동‧평대 해상풍력 개발사업'도 결론을 내야할 때다. 

한동‧평대 해상풍력 개발사업은 2015년 제주에너지공사를 사업 시행예정자로, 한동·평대리 해역에 사업비 4746억원을 투입해 연간 32만3415㎿h 규모의 풍력발전시설을 조성하는 사업이다.

에너지공사는 한동‧평대 해상풍력사업과 관련해 지난해 2월20일 우여곡절 끝에 사업 지정고시를 받았다. 

한동-평대해상풍력 개발 사업을 위해 에너지공사는 조례개정을 통해 수권자본금을 기존 1000억원에서 5000억원으로 5배 늘렸고, 제주도로부터 637억원 규모의 현물출자를 받았다. 

그러나 제주에너지공사가 한동‧평대해상풍력사업을 단독으로 추진하기엔 역부족이다. 사업비 4700억원을 모두 투자할 여력이 없기 때문이다.

사업자 공모를 해야 하는데 지방공기업이 특수목적법인(SPC)를 설립해 투자할 경우 자본금의 10% 밖에 할 수밖에 없다. 

에너지공사는 기존 자본금에 현물출자를 받아도 자본금이 1300억 원 밖에 안된다. 사업자 공모를 통해 SPC를 만들더라도 에너지공사의 지분 참여는 130억으로 전체 지분이 5~7% 수준에 그친다. 

사실상 한동‧평대해상풍력 개발사업이 근원적으로 공공형이 될 수없는 구조라는 지적은 이 때문이다. 공공형 풍력발전은 자칫 '헛구호'가 되고, 민간 사업자만 배불리는 특혜 논란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게 된다는 지적이 높다. 

에너지공사는 조만간 임원추천위원회를 구성, 4대 사장 공모 절차를 밟게 된다. 새로운 사장은 조직 내부를 추스르고, 경영상태도 반석에 올려놓아야 한다.

수천억원이 투입되는 해상풍력 발전사업도 사업 추진여부를 냉정하게 판단해야 한다. 구조적 한계로 자칫 허울에 그칠 ‘공공형 풍력발전사업’에 목을 걸 필요는 없다는 지적에 귀 기울여야 한다. 

에너지공사 조례에는 '풍력발전' 뿐만 아니라 집단에너지 사업, 에너지시설 건설 및 운영사업 등도 할 수 있다. 사업다각화도 필요한 시점이다. 내우외환의 에너지공사는 이래저래 대수술이 필요하다.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