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환경연합, 6일 성명 발표 “해양생태계 조사 촉구, 생물종다양성 영향 검토 우선”

제주 추자도 앞바다에 추진되는 세게 최대 3GW급 해상풍력발전 설치 예상도. ⓒ제주의소리
제주 추자도 앞바다에 추진되는 세게 최대 3GW급 해상풍력발전 설치 예상도. ⓒ제주의소리

최근 논란이 확산되고 있는 제주 추자도 해역의 세계최대규모 해상풍력발전사업과 관련, 환경단체가 ‘해양생태계 피해 우려’를 제기하고 나섰다.

제주환경운동연합은 6일 성명을 내고 추자도 해상풍력사업은 주민 갈등은 물론 해양생태계 피해가 우려된다고 반대 입장을 천명했다. 

㈜추진과 ㈜에퀴노르사우스코리아후풍 등은 각각 추자도 동쪽과 서쪽 해역에 1.5GW(1500MW)씩 총 3GW급(3000MW)의 세계최대 규모 해상풍력발전사업을 계획하고 있다.

사업계획이 알려지면서 추자도 주민들의 찬반 갈등이 본격화된 것은 물론, 전기사업허가의 주체가 제주도인지 산업통상자원부인지는 물론 생산된 전기의 송전선로가 지나갈 전라남도 진도군까지 사업논의에서 제외된 것에 진도군이 공개적으로 반발하며 문제가 커지는 모양새다. 

제주환경연합은 “추자면 주민들 간의 갈등도 커지고 있다”며 “다양한 주체간의 논란이 확산되는 상황에서 정작 환경적인 문제에 대해서는 전혀 거론되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제주환경연합은 “이번 사업 과정에 환경적 문제가 없는지 특히 생물에 대해 직접적인 피해가 발생하지 않을 것인지를 전문가 등에 자문한 결과 철새 등의 조류피해와 해양포유류 중 고래류의 피해가 발생할 가능성이 제기됐다”며 “조류피해의 경우 추자도는 봄과 가을 철새의 이동 중간 기착지로 이용되고 있다는 점에서 큰 피해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고 우려했다.

현재까지 추자도에는 210종의 새가 기록되어 있고 이중 철새는 여름철새 35종, 겨울철새 55종 등 90종에 이르는 철새가 추자도를 거쳐 계절에 따라 남북으로 이동하거나 추자도에서 서식하고 있다.

특히 이들 철새 중에는 법종보호종도 다수 확인되는데 천연기념물만 하더라도 황조롱이, 붉은배새매, 호사도요, 두견이, 소쩍새, 솔부엉이 등 7종이 확인되며 멸종위기야생생물 2급인 철새도 새호리기, 매, 물수리, 벌매, 솔개, 조롱이, 새매, 참매, 큰말똥가리, 알락꼬리마도요, 흑비둘기, 팔색조, 섬개개비, 검은머리촉새, 무당새 등 14종이 확인되고 있다. 

제주환경연합은 “추자도 인근 사수도는 여름철새인 흑비둘기의 서식지로 추자도 양쪽을 둘러싸는 형태로 대규모 풍력발전기가 들어설 경우 서식에 상당한 방해를 받을 것”이라며 “갑자기 대규모 풍력발전단지가 개발되어 중간기착지를 이용하지 못하게 되었을 때 성공적으로 이동하는 것에 상당히 큰 위협이 된다”고 주장했다. 

또 제주환경연합은 “해양포유류 특히 고래류의 피해도 무시할 수 없는 상황”이라며 “추자도는 쿠로시오해류에서 파생한 제주난류가 통과하는 지역으로 이주 과정에서 남쪽과 북쪽을 오가는 다양한 고래류가 통과할 가능성이 높은 수역”이라고 밝혔다. 

특히 추자도 인근 해역은 남해안과 제주도 사이의 바다로, 매년 황금어장이 형성될 만큼 해양생태계가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는 곳이다. 해양포유류 출현과 서식 가능성이 큰 곳으로 예측되고 있는 지역이기도 하다.

제주환경연합은 “하지만 이 수역에 대해서는 그 어떠한 조사도 이뤄진 바 없어 이에 대한 면밀한 조사의 필요성이 늘 제기되는 수역이기도 하다”라며, 해상풍력발전 추진에 앞서 해양생태계 조사가 선행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제주환경연합은 “추자도 인근 해역에서 국제적인 보호종인 대형 고래류가 이곳을 통과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며 “남해안에서는 이미 향고래, 꼬마향고래, 범고래, 긴수염고래, 브라이드고래 등의 좌초 사례들이 보고되고 있는데 이를 종합해보면 제주난류가 흐르는 추자도 권역이 다양한 고래의 주요 이동통로로서 역할을 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고도 주장했다.

실제로 추자도는 육안으로 상괭이가 상시 목격되는 등 상괭이의 서식지로써의 역할도 조사가 필요한 곳이다. 이와 관련한 해양생태계 조사가 전제되지 않고 대규모 해상풍력발전 사업을 추진하는 것은 그 자체가 문제라고 이 단체는 강력히 문제 제기했다. 

끝으로 제주환경연합은 “정부나 제주도는 당장 사업허가권의 문제를 떠나 해당 수역의 해양포유류와 조류의 피해에 대한 보다 명확한 조사를 선행해야 한다”며 “재생에너지로의 전환이 피할 수 없는 당면한 과제임을 부정할 사람은 그 누구도 없다. 다만 재생에너지로의 전환이 탄소흡수원으로써 중요한 기능을 하고 있는 생태계와 생물종다양성에 상당한 부하를 동반하는 것이라면 재검토돼야 마땅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