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일 오후 제주도청 한라홀에서 열린 '제주도 15분도시 제주플랜 워킹그룹'. 사진=제주특별자치도 ⓒ제주의소리
14일 오후 제주도청 한라홀에서 열린 '제주도 15분도시 제주플랜 워킹그룹'. 사진=제주특별자치도 ⓒ제주의소리

민선8기 오영훈 제주도정의 핵심 정책인 '15분 도시 제주' 구현을 위한 본격적인 행보에 돌입한다. 15분 도시 조성을 위한 향후 10년 간의 마스터플랜을 주 목표로, 단기적으로는 이를 도입하기 위한 시범지구 수립을 병행키로 했다.

제주특별자치도는 지난 14일 오후 4시 제주도청 한라홀에서 '15분 도시 제주플랜 워킹그룹' 제2차 회의를 열고, 15분 도시 제주 조성을 위한 기본구상 및 시범지구 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용역 과업지시서 추진 내용 및 실천방안 등을 협의했다.

15분 도시 제주플랜 워킹그룹은 도시계획, 도시재생, 균형발전, 지역계획 등 관계 전문가·공무원 등 총 18명으로 구성됐으며, 내실있는 계획실현을 위해 용역 전반에 걸쳐 자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위원장은 김형준 제주대학교 교수가 맡고 있다.

이날 회의에서는 교육, 의료, 녹지공간, 문화시설, 쇼핑 등 도민의 주요 일상생활이 15분 거리 내 생활권에서 가능하도록 하는 '제주형 15분 도시'를 구체화할 과업지시서에 대한 검토가 이뤄졌다.

민선8기 핵심 과제인 '15분 도시 제주'의 마스타 플랜을 수립하기 위해 수행되는 이번 용역에서는 △제주형 15분 도시 개념 및 비전 △제주지역 생활 서비스 현황 및 접근성 분석 △15분 도시 기본구상 및 생활권 계획 가이드라인 △제도 개선 방안 △시범지구 기본계획 수립 및 활성화 계획 등이 제시된다.

용역을 통해 2024년부터 2033년까지 향후 10년간의 15분 도시 제주 기본구상 중장기계획을 비롯해 2024년부터 2026년까지 15분 도시 시범지구 기본계획을 수립하는 단기적계획을 모색하는 내용이 포함될 예정이다. 사업비는 5억원이다.

워킹그룹 위원들은 과업지시서를 통해 제주형 15분 도시가 지향하는 가치와 개념을 정립하는 기본 바탕이 되는 만큼 목표와 전략·계획 지표를 재설계하고, 주민 참여 활성화 등을 통한 단계적 실천 방향을 구체적으로 설정해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또 '제주형 15분 도시'의 생활권을 정의하고 권역별 및 생활권 내 접근성, 생활편의시설 등 기본구조, 유형과 확충 기준 등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이날 회의에 참석한 오영훈 제주지사는 "이번 프로젝트는 제주지역 전체의 미래를 재설계하고 구조화함으로써 시민들의 삶을 자연과 어우러지면서 사람답게 살아갈 수 있는 그런 시스템을 만드는 일"이라며 "섬 지역 특성을 살린 제주만의 15분 도시 모델 구축에 노력해달라"고 당부했다.

'15분 도시'란 단어 그대로 15분 이내에 이동이 가능한 범위를 하나의 생활권으로 정하고, 주민들이 그 안에서 삶을 영위하는데 필요한 교육, 의료, 공원, 문화 등의 기능을 제공하는 도시를 의미한다. 모레노 교수가 처음 제창한 뒤 2020년 프랑스 파리의 안 이달고(Anne Hidalgo) 시장이 '내일의 도시 파리' 정책 공약으로 도입하면서 구체화됐다.

'15분 도시'는 도시생활의 관점을 건물 위주의 시스템에서 사람 위주의 환경을 고려한 삶으로 바꾸는 것에 핵심이 있다. 철학적·생태적 관점에서 인간의 개인적 삶의 욕구를 15분 내에 해결할 수 있어야 한다는 개념이다. 오영훈 지사는 지난 6.1지방선거 국면에서 15분 도시 조성을 핵심 공약으로 제시했다.

다만, 제주의 경우 국내 다른 도시와 다르게 면적이 상당히 넓어 모든 읍면지역에서 15분 내로 서비스 이용이 가능할지에 대한 고민이 뒤따른다. 접근성과 삶의 질 향상을 목표로 하고 있지만, 개념이 모호하다는 지적도 있다.

제주도는 워킹그룹의 최종 의견과 내부 검토 등의 절차를 거쳐 용역을 발주할 계획이다. 용역 계약 후에는 15일 이내 착수보고회를 개최해 과업 수행계획을 보고할 예정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