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한라산 1900m 돌무덤...신혼부부의 가슴 아픈 이야기
김정호 기자
newss@hanmail.net
2018년 11월 28일 수요일
08:35
0면
<소리多>는 독자 여러분의 다양한 이야기를 담아내겠다는 뜻을 담고 있습니다. 연말까지 잘 끌고 갈수 있을까 걱정했지만 다행히 30편을 향해 순항하고 있습니다. 소통을 위해 글도 딱딱하지 않은 대화 형식의 입말체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독자 여러분들이 <제주의소리> 카카오톡이나 페이스북 등을 통해 질문을 남기시면 정성껏 취재해 궁금증을 해소해 드리겠습니다. <편집자 주>
[소리多] (28) 대한민국서 가장 높은 무덤 확인...1982년 신혼여행 등반 중 20대 부부 동사
![]() |
▲ 제주도 한라산 백록담 남벽 정상 부근에 만들어진 돌무덤. 해발 1900m로 대한민국에서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한 무덤이다. 이곳은 1982년 4월 등반 도중 숨진 20대 신혼부부가 잠들어 있다. ⓒ제주의소리 |
현장을 봐야 하니 후손들을 따라 무조건 한라산 어리목으로 향했습니다. 건장한 성인 5명이 호미(낫)와 지팡이를 들고 산행을 시작했습니다.
2시간 넘게 오르니 해발 1608m의 만세동산이 눈 앞에 펼쳐졌습니다. 여기서 부터였습니다. 우거진 숲과 가시넝쿨, 거친 언덕을 넘어 '진짜 산행'이 시작됐습니다.
다시 생각해보니 그분들에겐 성묫길이었죠. 방향도 모른채 가다보니 민대가리오름 앞에 거대한 묘를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묘 너머로 제주시내가 한눈에 펼쳐졌습니다.
묘의 주인은 장흥 마씨(長興 馬氏) 강진파 입도조인 故 마희문(馬喜文)씨. 일단 크기부터 달랐습니다. 봉분은 일반 묘의 갑절 이상이고 산담 둘레만 40m에 이를 만큼 거대했습니다.
![]() |
▲ 한라산 1600m고지 만세동산 옆 이른바 돗트멍에 위치한 무덤. 장흥 마씨(長興 馬氏) 강진파 입도조인 故 마희문(馬喜文)씨의 묘다. 일반묘의 3~4배에 이를 정도로 거대하다. ⓒ제주의소리 |
그리고 마지막 장소가 바로 이곳인 한라산 1600m 고지의 돗트멍입니다. 돗트멍은 어미돼지가 누워서 새끼를 젖먹이는 형상을 하고 있다고 전해지는 명당 중의 명당으로 꼽힙니다.
실제 이장 후 가족들에게 좋은 일이 많았다고 하는데 사적인 부분이어서 더 이야기하지 않겠습니다. 어쨌든 힘들었지만 개인적으로 뜻 깊은 취재였습니다. 근데 이게 끝이 아니었습니다.
기사가 나간 후 더 높은 곳에 무덤이 있다는 제보가 이어졌습니다. 1700m 고지에 대한 제보가 있었고, 백록담 바로 밑에 예사롭지 않은 묘가 있다는 이야기도 있었습니다.
실제 취재 과정에서 1800m 고지에 원주 원씨(原州 元氏)씨의 묘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확인했습니다. 10여년 만에 '한라산 최고(最高) 묘지'에 대한 동행 취재까지 준비를 했습니다.
![]() |
▲ 제주도 한라산 백록담 남벽 정상 부근에 만들어진 돌무덤. 해발 1900m로 대한민국에서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한 무덤이다. 이곳은 1982년 4월 등반 도중 숨진 20대 신혼부부가 잠들어 있다. ⓒ제주의소리 |
이 무덤은 한라산 정상 남벽 인근에 위치해 있습니다. 한라산 남벽이 수 십 년간 폐쇄되면서 이 무덤도 자연스럽게 일반인들에게 알려지지 않는 요새(?)가 된 것이죠.
비석에는 ‘김00(마가렛) 김00(요셉)의 묘. 一九八二. 四.二六. 신혼의 아름다움 속에 하느님 곁으로 가다’라고 적혀 있었습니다.
당시 상황이 너무 궁금했습니다. 도서관으로 가서 1982년 4월 신문을 뒤졌습니다. 그리고 1982년 4월29일자 濟州新聞(제주신문) 사회면에서 이들의 아픈 사연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보도에 따르면 이들은 당시 홍익대에 다니는 대학생 부부였습니다. 1982년 4월5일 서울에서 결혼을 하고 4월24일 제주로 신혼여행을 왔습니다.
입도 이튿날인 4월25일 아침에 이들은 성판악 코스를 따라 정상으로 향했습니다. 이후 연락은 끊겼고 사흘 뒤인 4월28일 오전 10시 한 등반객이 남벽 등산로에서 시신을 발견합니다.
![]() |
▲ 1982년 4월29일자 濟州新聞(제주신문) 사회면에 보도된 한라산 신혼부부 사망 소식. 제목도 '대학생 신혼부부 등산길 변사'로 소개 돼 있다. <출처:제주신문> ⓒ제주의소리 |
한라산국립공원에서 40년간 일했던 관계자에 따르면 당시는 헬기도 없어 시신 수습이 어려웠다고 합니다. 결국 유족의 동의를 얻어 현장 관계자들이 돌무덤을 만들었다고 합니다.
일반인들의 접근이 쉽지 않아 한라산국립공원 관계자들이 30년 전부터 돌무덤 보호에 많은 관심과 노력을 기울였다고 하네요.
처음에는 제주에서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한 무덤이 대한민국 최고 높이의 산소가 된다는 아이디어에서 취재를 시작했습니다. 실제 이를 궁금해 하는 독자들도 적지 않았습니다.
결국 가장 높은 무덤은 찾았지만 신혼부부의 안타까운 소식에 마음이 오히려 숙연해집니다. 비석의 문구처럼 한라산의 품 속에서 고인들이 좋은 곳에 머무르며 기억되길 바랍니다.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http://www.jejusori.ne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12개의 의견이 있습니다.

Gita
2018-12-05 21:32:11
I have been browsing online more than three hours today, yet I never found any interesting article like yours.
It is pretty worth enough for me. In my view, if all webmasters and bloggers made good content
as you did, the web will be much more useful than ever before.
Howdy just wanted to give you a quick heads up. The words in your article seem to
be running off the screen in Firefox. I...
It is pretty worth enough for me. In my view, if all webmasters and bloggers made good content
as you did, the web will be much more useful than ever before.
Howdy just wanted to give you a quick heads up. The words in your article seem to
be running off the screen in Firefox. I...
196.***.***.81

이 숙자
2018-12-04 21:40:32
국립공원에 묘가 쓸수있었다는 것이 이해가 안가고 어떤기준을 정해서 이장하고 다지 묘쓸수없게 관련법조항이 있어야될것 같습니다. 사람출입이없는곳에 또 묘가발견될수도있고 또쓸수도 있을것같아서 단단히 금지령이 필요해요.
59.***.***.123

이 숙자병신
2019-02-09 00:01:49
ㅉㅉㅉㅉ인생 그따구로 살지 마라 이 아줌마야
211.***.***.202

제주도민
2018-11-29 03:11:58
저 부부 유족들은 묘 한번 오려면 제주도 비행기 타고 남벽정상까지 등산도 해야되네
연고도 없는 곳에서 죽어서 추운데서 저리 방치되는것보다
이장하거나 화장해서 유족들 접근 편한곳에 가서 벌초도 받고 유족도 자주보는게 맞음
연고도 없는 곳에서 죽어서 추운데서 저리 방치되는것보다
이장하거나 화장해서 유족들 접근 편한곳에 가서 벌초도 받고 유족도 자주보는게 맞음
121.***.***.115

김나경
2018-11-29 00:38:31
이장하는 게 맞다고 봅니다. 저들이 저기서 죽고 싶어 죽은 게 아니라 안타까운 사고사인데 굳이 저 높은 곳에 무덤을 만들어 끝끝내 혼마저 내려가지 못하게 하는 게 옳은가요?! 지금이라도 지상에 내려 가족들과 만나게 해주는 게 죽은 이들은 편안하게 해주는 것이고 생각되네요..
115.***.***.59

도민
2018-11-28 20:55:35
강제이장? 법도 모르고..분묘기지권이라고 아나? 매장하지 20년이 지나서 저부부는 한라산에서 편히 쉴수있다..
39.***.***.68

신간도
2018-11-28 15:06:39
이장에 반대합니다
그들은 사랑해서 결혼해서 그곳에 마지막을 보냈습니다 그들의 영혼이 그곳에 잠들어 있습니다
비바람, 눈보라 속에서 그곳에 있기에 우리는 이렇게 기억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계속 그런 일이 있는 것도 아니고, 유족이 이장하려고 하지 않는다면
그것도 역사요 이야기라고 생각합니다
그들은 사랑해서 결혼해서 그곳에 마지막을 보냈습니다 그들의 영혼이 그곳에 잠들어 있습니다
비바람, 눈보라 속에서 그곳에 있기에 우리는 이렇게 기억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계속 그런 일이 있는 것도 아니고, 유족이 이장하려고 하지 않는다면
그것도 역사요 이야기라고 생각합니다
121.***.***.110

제주도민
2018-11-28 17:47:25
한라산 등반중 사망자 나오면 전부 거기 묻을겁니까..
에베레스트산도 아니고
에베레스트산도 아니고
121.***.***.115

신간도
2018-11-29 22:39:19
이제는 그런 일 없죠
실제로 그 이후로 없고
그때는 옮기지 못한 거 아니우꽈
한 가지에서 꼬리를 물어 오류를 보이시네요
그리고 닉네임으로 제주도민, 도민이라는 건 쓰지 맙시다
닉네임은 한 사람의 의견인데 이러면 도민의 의견을 대변하는 듯하게 되잖아요
실제로 그 이후로 없고
그때는 옮기지 못한 거 아니우꽈
한 가지에서 꼬리를 물어 오류를 보이시네요
그리고 닉네임으로 제주도민, 도민이라는 건 쓰지 맙시다
닉네임은 한 사람의 의견인데 이러면 도민의 의견을 대변하는 듯하게 되잖아요
121.***.***.110

oo
2018-11-28 13:38:45
먼저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아주 오랜된 일이기도 하지만 지금은 유족들의 합의하에 고향으로 옮기는게 맞다 여겨집니다
더구나 제주가 고향도 아니고 "한라산은 우리 제주인에 어머니 같은 곳이며 세계유산으로 보호받고
있으며 전설의 깃든 곳입니다
우리나라 유교상 강제 이장은 안되고 유족과 합의하에 이장함이 마땅한줄 압니다
아주 오랜된 일이기도 하지만 지금은 유족들의 합의하에 고향으로 옮기는게 맞다 여겨집니다
더구나 제주가 고향도 아니고 "한라산은 우리 제주인에 어머니 같은 곳이며 세계유산으로 보호받고
있으며 전설의 깃든 곳입니다
우리나라 유교상 강제 이장은 안되고 유족과 합의하에 이장함이 마땅한줄 압니다
112.***.***.115

제주도민
2018-11-28 11:35:13
정상 부근의 무덤은 관청에서 강제 이장조치를 시켜야 맞다고 봅니다.
사유지가 아닌 이상.
유족 동의 얻어서 시신을 그대로 묻은거 같은데
이제는 수습해서 데리고 내려온 다음 이장하거나 화장.
사유지가 아닌 이상.
유족 동의 얻어서 시신을 그대로 묻은거 같은데
이제는 수습해서 데리고 내려온 다음 이장하거나 화장.
121.***.***.115

도민
2018-11-28 09:26:01
안타까운 일이지만 이젠 이장해라.
49.***.***.237
삭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