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소방-제주도-제주시-건설기술사 합동점검...지반 약해 전도 가능성 ‘시민들 피해 우려’

안전사고에 대한 책임론을 주장하며 진행 중인 제주시내 고공 차량 시위가 정작 안전에 취약해 자칫 대형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제주지방경찰청 안전진단팀과 제주소방서 구조구급과, 제주도 안전정책과, 제주시 안전총괄과, 토질·시공 기술사, 건설안전기술사 등 17명은 20일 고공시위 현장에서 안전점검을 진행했다.

전국건설인노동조합 제주지역본부장 A씨는 7월8일 B업체 임시야적장에서 발생한 크레인 전도사고에 대한 업체와 제주도의 안전책임 문제를 제기하며 19일 새벽부터 농성을 벌이고 있다.

A씨는 제주시 신광사거리에서 크레인에 차량을 묶어 지상으로 끌어 올려 사흘째 고공 농성을 벌이고 있다. 이 과정에서 새벽에 주택가를 향해 투쟁가요를 방송해 시민들이 밤잠을 설쳤다.

토질 및 시공 기술사가 시위 현장을 확인한 결과 비가 내릴 경우 배수가 원활하지 않아 침하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차량 밑에 현수막이 매달려 있어, 크레인 하중이 한쪽에 몰린 상태에서 바람까지 불면 한순간에 한계치를 넘어 전도 가능성이 높다고 평가했다.

산업안전보건공단 관계자는 차량을 매단 실링벨트의 사용감이 있어 안전도를 확신할 수 없다는 의견을 냈다. 물에 젖은 상태로 장시간 매달리면 강도가 약해서 추락위험이 있다고 밝혔다.

더욱이 실링벨트는 애초 안전고리를 결속해야 하지만 A씨의 경우 실링벨트에 안전고리를 연결하지 않아 바람에 더욱 취약한 것으로 알려졌다.

산업안전협회 관계자는 크레인의 무게중심이 도로 쪽으로 향해 있어 전도되는 경우, 차량 내부 탑승자는 물론 바로 옆 도로 통행차량까지 대형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며 우려를 표했다.

경찰은 전문가들의 의견을 토대로 전국건설인노동조합에 안전진단 결과 공문서를 전달했다. 이어 현장을 방문한 건설인노조 관계자들에게 안전사고의 위험성도 알렸다.

이에 전국건설인노조는 전문가들의 의견에 따라 크레인 4개 지지대에 가로100cm, 세로 70cm, 두께 3~4cm의 철판을 덧대는 보강작업을 진행했다.

경찰은 “크레인이 넘어질 경우 도로를 덮쳐 통행중인 차량까지 피해가 생길 수 있다”며 “상황을 보면서 크레인 주변 인도까지 모두 통제하는 방안을 검토 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