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운동연합, 후쿠시마 방사성 오염수 현황과 대책 토론회…“일본 신뢰할 수 없어” 비판

사진=환경운동연합. ⓒ제주의소리
환경운동연합 ‘후쿠시마 방사성 오염수 현황과 대책은 무엇인가’ 토론회에 발표자로 나선 최경숙 시민방사능감시센터 활동가는 일본 방사성 오염수 방출 7개월 만에 제주에 도달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사진=환경운동연합. ⓒ제주의소리

일본 정부가 후쿠시마 방사성 오염수를 바다에 방출하겠다고 결정한 가운데 실제 방류가 이뤄질 경우 해류를 타고 7개월 만에 제주에 도달할 것이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대한민국 최남단 제주가 방사성 오염수 직격탄을 맞을 것으로 예상됨에도 우리나라 정부의 대응이 안일하다는 지적도 잇따랐다. 

환경운동연합은 25일 오후 2시부터 ‘후쿠시마 방사성 오염수 현황과 대책은 무엇인가’를 주제로 유튜브 생중계 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날 토론회에서 발제를 맡은 최경숙 시민방사능감시센터 활동가는 “독일 킬 해양과학연구소 자료에 따르면 방사성 오염수 방출 7개월 만에 제주, 8개월 만에 동해가 오염될 것”이라며 “이같은 상황에서도 한국 정부는 사후약방문 형태로 소극적이고 안일하게 대응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최 활동가 발표에 앞서 미츠다 칸나 일본 지구의 벗 사무국장은 “도쿄전력이 2023년 4월부터 오염수를 30년 이상에 걸쳐 방출하겠다고 했다”며 “도쿄전력은 방사성 물질 총량이 얼마나 되는지, 2차 처리로 모두 제거 가능한지 밝히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기준치 농도를 맞추더라도 방사성 물질의 총량은 방대하다. 더 이상의 바다 오염은 절대 이뤄져선 안 된다. 국제적인 시민연대의 힘으로 막아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 활동가는 “일본 후쿠시마 원전 시설에 녹아내린 핵원료는 1~3호기 총 880톤(t)에 달한다. 일본 정부는 사람이 접근할 수 없어 로봇팔로 제거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는데 하루에 제거 가능한 양은 1그램(g)에 불과하다”고 주장했다. 

이어 “지금까지 저장된 방사성 오염수는 128만9000여 톤으로 녹아내린 핵원료를 완전히 제거하지 않는 이상 오염수는 계속해서 나올 수밖에 없다”며 “일본 정부는 30년만 버리면 끝날 것처럼 말하지만 계속 오염수가 만들어지는 이상 이게 시작이 될 것”이라고 피력했다. 

또 “당초 일본 정부는 지하 지층 주입, 수증기 배출, 수소 환원 배출, 시멘트 혼합 매장, 해양방류 등 다양한 방법을 고민했다”며 “그럼에도 가장 돈이 덜 들고 손쉬운 해양방류를 택한 것이다. 가장 안전한 방법은 지상에 보관하는 방법”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일본 정부가 보관할 부지가 없어 어쩔 수 없다고 주장하지만, 도쿄전력 지도를 보면 원전 부지 내부 빈공간이 있다”며 “공간을 활용하고 제2원전을 이용한다면 충분히 지상에 저장할 수 있음에도 비용 문제로 바다에 버리겠다는 것”이라고 꼬집었다. 

사진=환경운동연합. ⓒ제주의소리
오염수 방류에 대한 우리나라 정부의 문제점과 정책 요구안을 주제로 발표에 나선 최경숙 시민방사능감시센터 활동가. 사진=환경운동연합 유튜브 갈무리. ⓒ제주의소리
사진=환경운동연합. ⓒ제주의소리
최 활동가는 현재 일본은 냉각수와 지하수가 만나 방사성 오염수로 변해 낮은 지면으로 내려오면 퍼낸 뒤 ALPS로 방사성 물질 일부를 처리한 뒤 저장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때문에 일본은 방사능 오염수를 '오염수'로 부르지 않고 '처리수'로 부르고 있다고 했다. 사진=환경운동연합. ⓒ제주의소리

일본 정부가 오염수를 처리 설비인 ‘ALPS’를 통해 2차 처리한 뒤 내보낼 것이라 문제 없다고 주장한 것에 대해서는 “주요 7개 핵종만 발표한 데다 불검출이 아닌 기준치 대비 농도만 낮아진 것”이라고 지적했다. 

최 활동가는 “ALPS 설비는 제대로 정화작업을 하지 못해 성능 지적을 여러번 받아온 것”이라며 “필터 76기 중 32기가 파손됐으며, 도쿄전력이 2018년 10월 작성한 보고서에는 첫 번째 ALPS가 방사성 물질 제거 성능이 부족하다는 지적도 나왔다”고 밝혔다. 

또 일본 정부가 1km 해저터널을 지어 방류하겠다고 밝힌 데 대해선 “이는 오염이 덜한 것처럼 보이게 하는 민심 달래기에 불과하다”며 “류종성 안양대 해양바이오시스템공학과 교수는 해양생태계에는 그냥 방류하는 것과 별 차이 없다고 밝혔다”고 했다. 

이어 “오염수를 바다에 버려도 희석돼 괜찮다지만 이는 버리는 양을 평균으로 계산해서 발표한 것”이라며 “방사성 물질은 바다에 버릴 때 평균적으로 희석되는 것이 아니라 해류와 지형, 강우 등에 따라 가변적이다”라고 주장했다. 

지점에 따라 농도가 짙어 기준치를 넘길 수 있다는 지적이다. 더군다나 이런 지점에서 바다 생물들이 방사능에 오염될 경우 먹이사슬 구조에 따라 수산물을 먹는 사람에게 가장 큰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최 활동가는 “일본 정부는 지역주민 반대를 무마하기 위해 수산물을 수매하겠다는 등 당근을 제공함과 동시에 국제사회를 상대로 외교력을 발휘해 해양방류의 정당성을 계속해서 주장, 다져나가고 있다”고 피력했다. 

이어 “그럼에도 한국 정부는 국내 유입 방사성 물질 감시를 강화하고 영향을 분석하겠다고만 한다. 더군다나 일본 정부가 정보를 제공하지 않아 대응이 어렵다는 변명도 했다”며 “대처도 사후약방문식인 데다 정보는 도쿄전력 홈페이지에만 가도 알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인접국 협력 통한 일본 정부 압박 △환경 영향평가 주도 △적극적인 정보 수집 △해양방류 문제 제기 및 오염수 방류 저지 위한 외교 대책 마련 △정보 공개 투명성과 국민 소통 개선 △민관합동기구 설치 등을 제안했다. 

더불어 △원산지 표기 강화 △일본산 수산물 검역강화 및 수입 금지 확대 △모니터링 강화 △환경 영향평가 비교 연구 △오염수 유입에 따른 피해 구제를 위한 일본 정부 구상권 청구 등도 요구했다. 

최 활동가는 “차기 정부가 들어섰을 때 이 문제에 대해 제대로 대응할 수 있을지 의구심이 든다”며 “일부 대선 후보들이 원전을 부흥하자면서 후쿠시마 방사성 오염수 방류를 반대한다는 것은 말이 안 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일본 정부가 해양방류에 대한 정당성 확보를 위해 증거를 쌓고 노력하듯 한국 정부도 꼼꼼한 대응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