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해양환경단체 핫핑크돌핀스와 환경운동연합이 해양수산부 ‘제주남방큰돌고래 비봉이 방류 결정’에 논평을 내고 환영의 뜻을 밝혔다. 

비봉이는 2005년 제주시 한림읍 비양도 앞바다에서 포획돼 17년간 제주 퍼시픽랜드 수족관에 갇혀 돌고래쇼에 이용된 바 있다.

비봉이처럼 수족관에 갇힌 제돌이와 춘삼이, 삼팔이는 2013년 일찌감치 바다로 돌아갔고 2015년에는 태산이와 복순이, 2017년에는 금등이와 대포가 방류됐다. 

야생 훈련을 받고 있는 남방큰돌고래 비봉이. / 해양수산부 제공. ⓒ제주의소리
야생 훈련을 받고 있는 남방큰돌고래 비봉이. / 해양수산부 제공. ⓒ제주의소리

비봉이만 남은 상태에서 해양수산부는 제주도와 ㈜호반호텔앤리조트, 핫핑크돌핀스, 제주대학교와 전문가 등이 포함된 방류협의체와 기술위원회를 구성, 비봉이 방류를 논의해왔다. 

지난달 비봉이 방류를 위한 협약이 체결된 이후 이들은 5단계로 구성된 세부 방류 계획을 마련했다. 계획은 사육수조 적응훈련, 바다 가두리 야생적응 훈련, 방류 및 사후모니터링 등으로 구성됐다. 

4일 비봉이는 제주 서귀포시 대정읍 앞바다에 설치된 가두리 훈련장으로 옮겨졌으며, 훈련을 받은 뒤 바다로 방류될 예정이다. 

핫핑크돌핀스는 논평을 통해 “비봉이는 제주남방큰돌고래 주요 서식처인 서귀포시 대정읍 앞바다 야생훈련장에서 충분히 적응기간을 거친다면 야생성 회복과 야생무리 결합에 문제가 없을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이어 “비봉이 방류 협의체는 안전하고 성공적인 야생방류를 위해 일정과 장소를 공개하지 않으며, 야생적응훈련을 거친 뒤 GPS 추적 장치를 통해 비봉이 위치와 상태를 지속 모니터링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또 “방류가 성공적으로 이뤄지고 그 의미를 갖기 위해서는 무리한 근접 운항으로 돌고래들의 사교활동을 방해하고 먹이활동과 휴식시간을 빼앗는 무분별한 선박 관광에 대한 금지가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남방큰돌고래 주요 서식처 일대를 해양생물보호구역으로 지정, 돌고래 서식처가 교란되거나 파괴되지 않도록 제도적 보호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핫핑크돌핀스는 “돌고래쇼 종식과 비봉이 야생방류는 모든 존재의 고유함과 존엄성을 존중하는 사회로 나아가기 위한 결연한 선언이자 고귀한 실천”이라며 “방류 결정을 크게 환영하며 안전하고 성공적인 바다 복귀와 야생 무리 합류를 위해 온 힘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이번 비봉이 방류를 계기로 해수부가 앞장서 모든 고래류의 전시와 공연, 체험을 금지하고 바다로 돌아가지 못한 국내 수족관 감금 고래류 21개체를 위한 바다쉼터 조성에도 속도를 내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2005년 제주 비양도에서 불법포획된 제주남방큰돌고래 비봉이. 사진=핫핑크돌핀스.
2005년 제주 비양도에서 불법포획된 제주남방큰돌고래 비봉이. 사진=핫핑크돌핀스.

환경운동연합 역시 논평을 통해 “불법으로 포획돼 17년을 수족관에 갇혀있었던 비봉이 방류를 환영하며 남은 고래류의 자연 방류도 이뤄지길 촉구한다”고 피력했다. 

환경운동연합은 비봉이 방류에 대한 환영 입장을 밝히면서도 추적 모니터링을 위한 지느러미 번호 낙인을 반대했다. 

이 단체는 “비봉이를 방류할 때 계획한 낙인은 다시 살펴봐야 한다. 해수부는 지느러미에 큰 번호를 찍어 방류한 뒤 육안으로 추적, 관찰하겠다고 했지만 이는 돌고래를 조사대상으로만 여기는 불필요한 조치”라고 주장했다. 

이어 “돌고래 식별은 위치추적장치와 지느러미로 가능하다. 사람들의 호기심을 충족시키기 위한 동결 낙인은 필요하지 않다”며 “오래전 노예주인들이 자신들의 노예를 관리하기 위해 낙인을 찍었던 것과 다름없다”고 말했다. 

또 “수족관에 남은 16마리 큰돌고래와 벨루가 5마리를 풀어줘야 한다. 마지막 남방큰돌고래 비봉이 방류에도 아직 좁은 수족관에는 21마리의 고래류가 감금돼 있다”며 “매해 약 5마리씩 수족관 폐사가 이뤄지고 있어 빠르게 조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정부는 남은 수족관 돌고래 방류 준비를 위한 예산을 책정하고 계획을 세워야 한다”며 “방류 준비를 도울 수 있는 고래 쉼터에 대한 예산을 배정하고 모든 수족관 돌고래를 자연으로 돌려보내야 한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