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거되지 않는 삼중수소 확산 시뮬레이션…10년 뒤 ‘10만분의 1’ 수준
일본 도쿄전력 발표 자료 신뢰성 문제는 여전히 남아있어 추후 연구 시급

16일 라마다프라자제주호텔에서 열린 한국방재학회 세미나에서 '일본 후쿠시마 원자력발전소 오염수 방류에 의한 해양확산 시뮬레이션'을 발표하고 있는 김경옥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책임연구원. ⓒ제주의소리
16일 라마다프라자제주호텔에서 열린 한국방재학회 세미나에서 '일본 후쿠시마 원자력발전소 오염수 방류에 의한 해양확산 시뮬레이션'을 발표하고 있는 김경옥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책임연구원. ⓒ제주의소리

일본이 ‘후쿠시마 오염수 해양방출 시설 설계운용 관련 실시계획’에 따라 배출하는 원전 오염수 내 삼중수소(트리튬)가 2년 뒤 일시적으로 제주 해역에 도달할 것이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한국해양과학기술원(KIOST)과 한국원자력연구원(KAERI) 공동연구팀은 일본 오염수 방류에 의한 삼중수소 확산 시뮬레이션 결과를 16일 한국방재학회 세미나 포스터 세션을 통해 발표했다. 

발표에 따르면 삼중수소는 쿠로시오 해류를 따라 일본 규슈 서쪽 해역을 지난 뒤 2년 뒤쯤 제주와 남해안 등 우리나라 해역에 일시적으로 들어오게 될 것으로 예측된다. 농도는 ㎥ 당 0.0001Bq(베크렐) 수준이다. 

4~5년 뒤부터는 본격적으로 우리나라에 해역으로 유입, 10년 뒤에는 ㎥ 당 약 0.001Bq 내외 평균 농도를 나타낼 것으로 예측됐다. 

공동연구팀은 10년 뒤 평균 농도는 국내 해역의 평균 삼중수소 농도인 ㎥ 당 172Bq에 한참 미치지 못하는 수치며, 기존 해양에 존재하는 삼중수소 농도의 10만분의 1 수준이라고 밝혔다.

지점에서의 시간별 삼중수소 농도 (Bq/m3) 변화를 나타낸 자료. 사진 속 빨간 선(C)이 우리나라 관할 해역에 유입될 것으로 예상되는 삼중수소 농도다. 이미자=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한국원자력연구원 공동연구팀.
지점에서의 시간별 삼중수소 농도 (Bq/m3) 변화를 나타낸 자료. 사진 속 빨간 선(C)이 우리나라 관할 해역에 유입될 것으로 예상되는 삼중수소 농도다. 이미자=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한국원자력연구원 공동연구팀.
2년 뒤 방류된 삼중수소 농도 분포. 연구 결과 2년 뒤 일시적으로 제주를 비롯한 우리나라 해역에 삼중수소가 유입될 것으로 전망됐다.  이미자=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한국원자력연구원 공동연구팀.
2년 뒤 방류된 삼중수소 농도 분포. 연구 결과 2년 뒤 일시적으로 제주를 비롯한 우리나라 해역에 삼중수소가 유입될 것으로 전망됐다.  이미자=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한국원자력연구원 공동연구팀.

그러나 기초자료로 활용된 일본의 실시계획을 얼마나 신뢰할 수 있는지에 대한 문제는 여전히 남아있어 해양생태계에 미칠 영향과 다른 방사성 물질의 배출량 등을 분석하는 추후 연구가 절실한 실정이다. 

이번 연구는 ‘다핵종제거설비(ALPS)’로 제거되지 않고 바닷물과 섞어 배출되는 삼중수소 한 종류만 대상으로 진행됐다. 일본 측은 ALPS를 통해 삼중수소를 제외한 62개 방사성 핵종은 기준치 이하로 처리할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에 공동연구팀은 정화시설로 걸러지지 않는 원전 오염수 내 삼중수소를 분석 대상으로 선정, 일본 측 실시계획 데이터를 기초로 확산 시뮬레이션 연구를 수행했다. 

연구팀은 일본 실시계획 상 오염수가 해저터널을 이용해 1km 떨어진 후쿠시마 앞바다에 방류될 경우 연간 최대 22조Bq의 삼중수소가 방출될 것으로 가정했다.

분석 결과 방출된 삼중수소는 10년 뒤 북태평양 전체로 확산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중국 제1해양연구소와 칭화대의 연구 결과와도 비슷한 결과를 보인 것으로 파악됐다.

김경옥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책임연구원은 이날 발표를 통해 “이번 연구는 일본 원전 오염수 관련 어떤 상황이 발생해도 시뮬레이션을 돌릴 수 있는 객관적 체계를 구축한 데 의의가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국내에 미치는 영향 등은 전혀 고려하지 않고 일본 실시계획 자료만을 가지고 시뮬레이션 체계를 구축한 것”이라며 “실제로 얼마나 영향을 미치게 될지에 대한 판단은 추후 이어질 연구를 통해 밝힐 문제”라고 설명했다. 

오염수가 어디로 가장 먼저 유입될 것으로 보냐는 취재진 질문에는 “특정 지역에 먼저 도착할 것이라는 구분은 크게 의미가 없다”며 “대한해협쪽으로 해수가 올라와 동시에 확산될 것으로 예상되며, 굳이 따지자면 제주와 남해안이 우선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시뮬레이션 결과 해류의 속도에 따라 상황이 변할 수는 있지만 큰 변화는 없을 것으로 파악된다”며 “자연에 있는 농도보다는 낮은 수준으로 삼중수소가 유입될 것으로 예측된 상황”이라고 부연했다. 

김 연구원은 “앞으로 해수 순환에 대한 연구가 중요하다. 해수가 어떻게 순환할 것인지 정확히 예측하는 배경 자료가 필요하다”며 “정확한 해수 순환 정보를 가지게 된다면 정밀한 연구를 수행하는 데 도움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10년 뒤 방류된 삼중수소 농도 분포. 이미자=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한국원자력연구원 공동연구팀.<br>
10년 뒤 방류된 삼중수소 농도 분포. 이미자=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한국원자력연구원 공동연구팀.

 

관련기사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