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4건) 리스트형 웹진형 타일형 제주 대표하는 역사유적 '제주 항몽유적' 제주 대표하는 역사유적 '제주 항몽유적' 제주는 고려시대 삼별초에 의한 마지막 항몽(抗蒙) 유적지다. 몽골은 고려 삼별초의 활동거점이었던 항파두리를 고려 원종 14년(1273년)에 점령한 후, 1374년(공민왕 23년) 최영(崔瑩)장군의 정예군이 원나라 목호(牧胡)군을 서귀포 앞바다의 범섬 전투에서 전멸시키면서 제주는 100년간의 긴 수렁에서 벗어난 역사적 아픔이 남아있다. 최근 항몽유적의 문화콘텐츠화라는 주제로 한국몽골학회에 논문을 발표한 김일우 박사의 논문을 매주 2회(수·토), 총 6차례 연재한다. #표시된 각주 내용은 원고 하단에 별도의 설명을 달았다. [편집... 제주 항몽유적의 문화자원화 | 김일우 | 2016-02-17 08:55 제주 고소리술에 몽골 역사가 담겨있다? 제주 고소리술에 몽골 역사가 담겨있다? 제주는 고려시대 삼별초에 의한 마지막 항몽(抗蒙) 유적지다. 몽골은 고려 삼별초의 활동거점이었던 항파두리를 고려 원종 14년(1273년)에 점령한 후, 1374년(공민왕 23년) 최영(崔瑩)장군의 정예군이 원나라 목호(牧胡)군을 서귀포 앞바다의 범섬 전투에서 전멸시키면서 제주는 100년간의 긴 수렁에서 벗어난 역사적 아픔이 남아있다. 최근 항몽유적의 문화콘텐츠화라는 주제로 한국몽골학회에 논문을 발표한 김일우 박사의 논 제주 항몽유적의 문화자원화 | 김일우 | 2016-02-03 11:32 삼별초 대몽항쟁 없었다면 동아시아 역사는? 삼별초 대몽항쟁 없었다면 동아시아 역사는? 제주는 고려시대 삼별초에 의한 마지막 항몽(抗蒙) 유적지다. 몽골은 고려 삼별초의 활동거점이었던 항파두리를 고려 원종 14년(1273년)에 점령한 후, 1374년(공민왕 23년) 최영(崔瑩)장군의 정예군이 원나라 목호(牧胡)군을 서귀포 앞바다의 범섬 전투에서 전멸시키면서 제주는 100년간의 긴 수렁에서 벗어난 역사적 아픔이 남아있다. 최근 항몽유적의 문화콘텐츠화라는 주제로 한국몽골학회에 논문을 발표한 김일우 박사의 논문을 매주 2회(수·토), 총 6차례 연재한다. #표시된 각주 내용은 원고 하단에 별도의 설명을 달았다. [편집... 제주 항몽유적의 문화자원화 | 김일우 | 2016-01-30 14:00 제주땅에 잠든 항몽유적...문화로 깨우다 제주땅에 잠든 항몽유적...문화로 깨우다 [제주 항몽유적의 문화자원화] ①머리말 / 김일우 (사)제주역사문화나눔연구소장. 우리나라는 2000여 년에 걸쳐 수많은 외세의 침략을 받아왔었다. 이 가운데 침략이 가장 장기적으로 지속되고 끈질긴 항쟁을 벌였던 것이 고려의 대몽항쟁이다. 이는 40여 년 동안이나 지속되었거니와, 우리나라의 외세항쟁에서 가장 주목되는 역사라 하겠다.특히, 제주는 고려 대몽항쟁의 마지막 종착지였다. 이렇게 된 데는 제주의 지정학적 위치가 크게 작용했다. 제주가 동북아를 잇는 바닷길의 요충지에 위치했던지라, 삼별초와 고려의 개경정부 및 몽골세력이 모두 선점하려고 경쟁을 벌였던 것이다. 그래서 고려의 개경정부 및 삼별초... 제주 항몽유적의 문화자원화 | 김일우 | 2016-01-27 09:16 처음처음1끝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