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동형 비례대표제의 장점과 뉴질랜드의 사례 전 세계에는 온갖 다양한 선거제도가 존재한다. 그런 선거제도 중에서 가장 두드러지는 것은 두 가지이다. 하나는 미국, 영국, 캐나다 등이 택하고 있는 소선거구제이다. 지역구에서 1등을 하면 당선되는 이 제도에서는 득표율과 의석비율간의 불일치(불비례성)이 발생하고, 자연스럽게 거대 정당중심의 양당제 구조가 형성되기 쉽다. 지역구에서 1등을 하려면 거대정당의 공천을 받아야 하기 때문에, 돈, 권력, 인맥 등에서 유리한 사람들로 국회가 채워지기 쉽다. 다른 하나는 정당득표율과 의석을 최...
[특별기고] 개헌보다 선거제도 개혁이 먼저다 / 하승수 변호사(비례민주주의 공동대표) 1000만 촛불의 함성과 함께 정유년 새해를 열었다. 세계가 대한민국 국민의 위대한 위력을 주목하고 있다. 촛불민심이 원하는 바가 아바타 대통령을 몰아내고 그 부역자들을 처벌하는 것이 전부일까. 촛불민심은 그보다 민의를 제대로 반영하기 위한 정치개혁, 선거개혁이 우선이라는 것이 중론일 것이다. 또, 국가권력이 아닌 국민권리를 강화하는데 있을 것이다. 30년 만에 가동한 개헌논의가 생산적이어야 하는 이유다. 여기에 대통령 탄핵이 구체화되면서 국...
지금 모델론 제주미래를 밝힐 수 없다 예정대로라면, 행정체제개편 도민설명회가 20일 추자도를 끝으로 마무리합니다. 도민들은 어떤 의견들을 전달했을까. 개인적으로 우리 동네 설명회에 참석했던 소감을 기고합니다. # 다녀온 소감은 한마디로 공포영화를 본 느낌.6월 11일, 우리동네에서 행정체제개편 주민설명회를 했다. 우여곡절 끝에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