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 밖에 내지도 못했던 제주4.3이 국가추념일이 되고, 어느덧 70주기를 바라보고 있다. 자유롭게 4.3을 이야기할 수 있기까지 예술가들의 역할은 실로 컸다. 온갖 탄압과 손가락질, ‘빨갱이’라는 붉은 낙인에도 굴하지 않고 진실을 밝히려는 의지 하나로 붓과 펜, 노래를 멈추지 않았다. 그렇게 4.3은 양지로 나왔지만, 4.3예술 앞에는 또 다른 과제가 남아있다. 시대의 변화 앞에 아픈 역사인 4.3이 과연 어떻게 기억되고 전승돼야 하는지 고민해야 한다. 는 4.3 68주기를 맞아 4.3을 세상에 드러내는데 선구자적...
[제주4.3과 예술] 소설·시·미술·노래·영화로 4.3에 다가가다 ① '강요된 침묵' 깨뜨린 4.3예술② 70주기 앞둔 4.3예술, 현주소는?③ 4.3예술, 어디로 가야 하나? # 거대한 '금기의 벽'에 균열 낸 오늘날 많은 사람들이 제주4.3을 이야기하고, 4.3의 진실을 깨닫기까지 예술이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는 것은 제주도민 누구나 공감하는 사실이다. 초창기 4.3진실규명에 앞장선 학술연구, 언론과 함께 예술은 단순히 4.3의 상처를 보듬는데 그치지 않았다. 진실을 막아선 권위, 이념의 벽에 균열을 일으킨 것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