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선화 “해양산업과 만으로는 역부족”...좌남수 “생업이 있어야 문화도 있어”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지정된 ‘제주해녀문화’의 보존과 전승을 위해 어느 부서가 담당해야 하느냐를 두고 제주도의원간 설전이 벌어졌다. 문화적으로 전승해야 하는 역할을 해양산업과가 수행하기 어렵다는 주장과, 생업적인 부분을 무시할 수 없다는 주장이 팽팽하게 맞섰다. 

‘제주도 해녀문화 보존 및 전승위원회’(이하 해녀전승위)는 14일 오후 3시 제주도청 2청사에서 올해 첫 번째 회의를 개최했다.

이날 회의는 지난해 해녀문화 전승·보존 사업 성과와 올해 추진계획을 보고하는 자리였다. 전성태 위원장(제주도 행정부지사), 김순이 부위원장(제주도문화재 위원), 이기우(제주도 해양산업과장), 양홍식(제주도 수산정책과 수산자원담당), 좌남수·이선화(도의원), 강애심(현직 해녀), 강창협(제주해녀항일운동기념사업회 위원장), 김귀배(유네스코 한국위원회 팀장) 위원이 참석했다. 

IMG_9204.JPG
▲ 제주도 해녀문화 보존 및 전승위원회는 14일 올해 첫 번째 회의를 개최했다. ⓒ제주의소리

이기우 과장의 보고가 끝나고 위원들의 토론이 시작되면서 이선화, 좌남수 의원은 제주해녀문화를 담당할 부서를 두고 이견을 보였다.

이 의원은 해양산업과가 주도하면 문화적인 부분이 취약해진다며 세계유산본부 등과 연계하는 방안을 제시했고, 좌 의원은 생업 문제를 고려하면 해양산업과의 역할이 여전히 유효하다는 입장이다.

이 의원은 “해양산업과는 크루즈, 레포츠 같은 업무가 주된 업무 아니냐. 해녀 업무를 떠맡아서 부담되지 않은지 걱정이다. 엄밀히 말하면 유네스코에서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지정한 것은 해녀가 아니라 ‘제주해녀문화(Culture of Jeju Haenyeo-Women Divers)’다. 해양산업과는 해녀의 생애사 같은 문화적 가치를 제대로 다루지 못할 가능성이 높다”며 “도정 차원에서 업무 조정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현재 제주도는 제주해녀문화 업무를 해양산업과 직원과 해녀박물관 직원 4명(5급, 6급, 학예사, 무기계약직)으로 구성된 ‘제주해녀문화 세계화 TF팀’을 중심으로 추진하고 있다. 

이에 이 과장은 “살아있는 해녀 공동체가 무형문화유산인 만큼 해녀의 생업을 책임지는 우리(해양산업과)가 업무를 맡아야 한다”고 맞섰다. 그러자 이 의원은 “제주해녀문화 보존 및 전승을 위한 5개년 기본계획도 한국문화관광연구원이 용역을 맡아서 수행중이지 않냐. 국가무형문화재 지정도 추진 중인데, 문화재청과의 교류는 누가 하느냐. 내부 혼돈이 우려되지 않냐”면서 "해녀 정책과 업무를 ‘문화·생업’ 두 방향으로 가야 한다"고 밝혔다.

그러자 좌 의원이 마이크를 잡고서 “해녀문화는 해녀가 유지돼야 문화로서 유지될 수 있다. 해녀를 어떻게 보존하며 육성할 것인가 여부가 해녀문화를 이어가는데 중추적인 역할이기 때문에 해양산업과에 해녀 담당 부서가 있는 것”이라며 “문화만 떼놓는다면 관광·문화 부서로 가라는 말이냐. 해녀의 생업과 물질 자체가 문화”라고 반박했다.

이 의원은 도의회에서 문화관광스포츠위원회, 좌 의원은 농수축경제위원회 소속이다.

IMG_9214.JPG
▲ 좌남수 의원(가운데)과 이선화 의원(오른쪽). ⓒ제주의소리

이 의원이 “언젠가는 이야기해야 할 부분 아니냐”고 맞서자, 김순이 부위원장은 “이 문제는 오늘 당장 답이 나오는 문제가 아니다. 앞으로 지사 차원에서 고민해야 할 테니 과장님이 문제 제기를 받아달라”고 중재를 시도했다.

다른 위원들은 ▲해녀협회 창설을 위한 조속한 준비작업 착수 ▲문화재청, 해양수산부와 함께하는 발 빠른 후속조치 진행 ▲올해 12월 제주에서 열리는 유네스코 정부간위원회와 연계한 행사 ▲실질적인 해녀 위상 존중 등의 의견을 내놓았다.

제주도 해녀문화 보존 및 전승위원회는 해녀문화보존 및 전승계획 수립, 해녀문화교육 및 전수생 육성, 해녀문화전수생 선발, 연구기관 위탁, 그 밖의 해녀문화전승에 대한 사항을 심의한다. 위원회 2차 회의는 4월에 열릴 예정이다.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