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 문화재청 '세계기록유산' 공모 신청 예고...3만여건 기록 선별

&nbsp;4.3 관련 토지대장 등 관련 공문서부터 집기류에 이르기까지 5456점을 보관하고 있는 제주4.3평화재단 수장고. ⓒ 제주의소리 자료사진<br>
 4.3 관련 토지대장 등 관련 공문서부터 집기류에 이르기까지 5456점을 보관하고 있는 제주4.3평화재단 수장고. ⓒ 제주의소리 자료사진

근 5년째 진전을 보이지 못했던 제주4.3사건 기록물의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가 재차 추진된다.

제주특별자치도는 이달 17일부터 다음달 28일까지 문화재청 주관으로 진행되는 '2024년 세계기록유산 국제목록 등재' 공모에 4.3기록물을 신청한다고 밝혔다.

4.3 당시 기록물은 1947년부터 1954년까지 무장대와 토벌대의 무력 충돌 과정에서 생산된 각종 기록 문서 및 시청각 자료로 정부 자료, 군인.경찰 자료, 무장대 자료, 국가판결문 수형인 명부 등 행형자료, 미국, 러시아, 일본 등 외국 소장 자료 등이 있다.

후대 기록물은 4·3 이후 진상규명을 위한 노력 과정에서 생성된 기록물로 국회와 도의회, 4.3위원회에 제출된 희생자 신고자료, 4.3연구소, 도민연대, 유족회 등에 의해 작성된 진상규명 운동 자료, 정부진상조사보고서, 언론사 4.3 보도 등이 포함된다.

세계기록유산에 포함될 자료는 1만4000여건에 달하는 희생자 결정기록을 비롯해 군·경 기록 400여건, 미군정 기록 700여건, 재판기록 100여건 등이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제주도는 이를 3만620건으로 추리는 목록화 작업을 진행중에 있다.

제주 사회에서는 4.3기록물의 세계기록유산 등재의 필요성과 가능성이 꾸준하게 언급돼 왔다. 제주4.3은 2차세계대전 이후 냉전, 이념 대결, 국가폭력, 민간인학살 등을 한눈에 보여주는 세계적으로 매우 희귀하고 고유한 기록 자료라는 평가다.

오영훈 제주도지사도 "4.3기록물의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 여정을 시작해, 화해와 상생이라는 4.3의 평화적 가치를 세계에 알리면서 제주를 평화인권을 상징하는 섬으로 만들어 나가겠다"고 공약을 제시한 바 있다.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되기 위해서는 인류문화의 중요기록을 담고 있어야 한다. 유네스코는 진정성·독창성·비대체성·세계적 영향성·희귀성·원형여부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해 세계기록유산 등재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등재 결정은 격년제로 홀수 해에 하게 된다. 국가마다 2건 이내로만 신청할 수 있어 우선 문화재청 심사의 문턱을 넘어서야 한다.

실제 제주도는 지난 2018년에도 4.3기록물의 세계기록유산 등재를 추진하기도 했다. 그러나 당시 '일본국 위안부 기록' 등재 추진과 관련한 일본의 문제제기로 유네스코 본부 차원의 행정절차가 멈춰서며 첫 발도 떼지 못했다.

2021년 말에 심사가 재개됐지만, 이미 국내 사전심사를 통과한 '4.19혁명', '동학농민운동' 기록물 등이 우선 대상에 오르며 도전의 여지가 없었다. 다시 2년이 지나서야 제주4.3기록도 재차 기회를 맞게 됐다.

제주도는 신청서 작성이 마무리되는대로 2월 중순께 신청서를 제출할 계획이다. 4월께 문화재청에서 세계기록유산 등재 대상 선정이 이뤄지며, 2024년 3월까지 유네스코 사무국에 해당 서류가 제출된다.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국제자문위원회(IAC) 심의 등을 거쳐 이르면 2025년 하반기쯤 등재 여부가 결정된다.

한편,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MoW, Memory of the World) 프로그램은 세계적으로 가치가 있는 기록유산을 체계적으로 보존하고 그 활용을 진흥하기 위해 1992년부터 시행중이다.

문화재청은 '문화재보호법'에 따라 유네스코 한국위원회와 우수한 기록유산을 발굴해 국내 기록유산이 인류 공동의 유산으로 보존·활용될 수 있도록 하기 우이해 세계기록유산 공모를 실시하고 있다.

세계기록유산은 전세계 84개국 432건으로, 우리나라의 경우 훈민정음, 조선왕조실록, 직지심체요절, 해인사대장경판, 동의보감, 난중일기, 5.18민주화운동기록물, 새마을운동기록물, KBS생방송 이산가족을 찾습니다 등 16건이 등재돼 있다.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