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화예술칼럼 Peace Art Column] (112) 리춘펑

제주도는 평화의 섬입니다. 항쟁과 학살의 역사를 가지고 있기에 평화를 염원하는 마음은 더욱 간절할 수 밖에 없습니다. 제주4.3이 그렇듯이 비극적 전쟁을 겪은 오키나와, 2.28 이래 40년간 독재체제를 겪어온 타이완도, 우산혁명으로 알려진 홍콩도 예술을 통해 평화를 갈구하는 ‘평화예술’이 역사와 함께 현실 속에 자리 잡고 있습니다. 이들 네 지역 예술가들이 연대해 평화예술운동을 벌이고 있습니다. 이들의 평화예술운동에 대한 창작과 비평, 이론과 실천의 공진화(共進化)도 매우 중요합니다. 독립언론 [제주의소리]가 네 나라 예술가들의 활동을 ‘평화예술칼럼(Peace Art Column)’을 통해 매주 소개합니다. 필자 국적에 따른 언어가 제각각 달라 영어 일어 중국어 번역 원고도 함께 게재합니다. [편집자 글]

'YMT Self-Rescue Project' 전시 장면 / 사진=리춘펑, CC BY-SA 3.0HK
'YMT Self-Rescue Project' 전시 장면 / 사진=리춘펑, CC BY-SA 3.0HK

얼마 전 홍콩 침례대 시각예술원 량메이핑(梁美坪) 교수는 <포스트 콜로니얼 홍콩 동남아시아에서의 사회적 참여 예술>이라는 제목의 전시회와 심포지엄을 기획하고, 홍콩과 동남아시아 사회예술 실천의 21개 사례를 초청해 활동 기록과 문서 자료를 전시했다.

나는 커뮤니티 아트 스페이스 ‘우퍼텐’(2009-2015)의 코어 멤버였기 때문에 주최자로부터 우리의 프로젝트 중 하나인 <YMT 셀프·레스큐·프로젝트와 데모전>의 자료를 대여하도록 초대받았다. 그래서 창고를 뒤지다 보니 회의 원고와 사진, 초기 포스터와 전단지 등 오랫동안 보관돼 있던 자료들이 산더미처럼 쏟아져 나와 몇 년 동안 묻혀 있던 타임캡슐을 뜯은 기분이 들었다.

이 프로젝트는 아티스트 멤버 롤랜드 입(Roland Yip)과 오션 레온(Ocean Leung)이 큐레이션했다. <YMT 셀프레스큐 프로젝트>의 주제는 도시개발과 그 모순에 관한 것이다. 대규모 재개발 프로젝트가 야오마테이(YMT)라는 오래된 커뮤니티에 다가오면서 주민들의 삶도 크게 바뀌었다. 프로젝트의 목적은 주민들의 셀프 레스큐(self-rescue, 자구)를 통해 주민들에게 위기의식을 불러일으키도록 하는 것이다.

YMT 셀프레스큐 프로젝트는 주로 실험적 시도를 거듭하는 전시회다. 이 프로젝트는 아티스트와 주민 사이의 상호작용에 관련된다. 예를 들어 아티스트에게 근처 가게의 간판을 써주는 ‘지역의 광고 공간’, 수십 년 동안 길거리에서 캐리커처를 팔고 있던 화가 펑히로를 소개하는 ‘누가 화가를 쫓아냈는가’가 있다.

그의 포장마차는 전시회 전날 철거되었지만 큐레이터는 그것을 전시회장에서 다시 지었다. 당시 ‘우퍼텐’이 YMT에 들어간 지 2년, 이들 프로젝트는 아티스트와 인근 주민의 협업이었고, 탄탄한 신뢰관계가 없었다면 실현되기 어려웠을 것이다.

'YMT Self-Rescue Project' 전시 장면 / 사진=리춘펑,&nbsp;CC BY-SA 3.0HK
'YMT Self-Rescue Project' 전시 장면 / 사진=리춘펑, CC BY-SA 3.0HK
'YMT Self-Rescue Project' 전시 장면 / 사진=리춘펑,&nbsp;CC BY-SA 3.0HK
'YMT Self-Rescue Project' 전시 장면 / 사진=리춘펑, CC BY-SA 3.0HK

또 다른 프로젝트는 롤랜드 주민자조모임이다. 당초 전시회 토크라는 통상적인 설정이었지만, 그는 이 형식으로는 풀뿌리 인근 주민의 참가를 얻을 수 없다고 생각해 미팅으로 변경했다. 이 행사를 위해 롤랜드는 인근 주민들로부터 의견을 수렴하기 위한 전단지를 만들었다. 또 행사장 외벽에 배너를 달아 그의 서예 실력이 번화가 일각에서 더욱 두드러지게 만들었다. 이런 미학은 크리스토나 잔=클로드가 건물을 감싸는 방식과 어딘가 비슷했다.

지금 이 프로젝트를 돌아보며 롤랜드는 주민 의견을 모았지만 (자원이나 용량이 부족해) 실질적인 후속 조치를 하지 못했다고 반성한다. 그러나 나는 이 행사를 지역 활동으로 생각할 때 단점도 있겠지만 미적으로 말하면 그것은 시대를 앞서간 뛰어난 것이라고 생각한다.

예컨대 롤랜드는 ‘커뮤니티 참여형’을 극한까지 밀어붙이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해왔다. 일반적으로 전시회 토크는 보잘 것 없지만 그는 아티스트와 인근 주민의 진정한 대화를 만들어내기 위해 따로 전시회를 개최해 커뮤니티 행사로 만들기에 충분한 시간과 노력을 들여왔다.

그 ‘진심도’가, 실제로 다음과 같은 선언을 낳았다. 

“(커뮤니티)아트는 반향실(反響室) 안에 갇혀서는 안됩니다. 그것은 '커뮤니티에 아트를 들여온다'는 식의 클리셰가 아니라 아티스트와 이웃의 경계를 모호하게 하고 진정으로 새로운 인식을 구축하는 것입니다.”

그 무렵 일련의 도시 운동은 ‘커뮤니티 참여’라는 개념을 도입하면서 점차 도시의 권리 의식으로 변화하였고, 예술가들이 예술 참여를 어떻게 사회적, 지역적 참여로 번역해야 하는지 생각하게 하는 영향을 미쳤다. 이른바 관계성의 미학이 연결고리를 구축하는 것을 강조하는(그러나 달라진 것은 없다) 것과 달리 이런 실천의 핵심은 아티스트/운동가들이 (현실 자체를 미화하는 것이 아니라) 아트를 현실로 어떻게 번역하는지 탐구하는 진정성의 현현에 있는 것이다.


#리춘펑

리춘펑(李俊峰, LEE Chun-Fung)은 홍콩에 거주하는 예술가이자 큐레이터이다. 그의 작품들은 공간적, 역사적, 정치적 맥락에서 공동의 관계를 탐구한다. 그는 <Can We Live Together?>(2014) 등과 같은 큐레이터 프로젝트를 비롯해 <Cycling to the Square>(2010~), <Pitt Street Riot>(2014) 등의 프로젝트에서 참여적인 예술 활동을 하고 있다. 게다가 그는 홍콩의 풀뿌리 동네인 야우마테이(Yau Ma Tei)에 기반을 둔 커뮤니티-예술 공간인 우퍼텐(Woofer Ten, 2009-2015)을 포함한 여러 예술 이니셔티브의 공동 창립자였다. 한편, 그는 동아시아 멀티미팅(Multiple Meeting, 2012-2013)과 <Art/Activist-in-Residence>(2011-2015)와 같은 프로젝트와 함께 지역 간 예술/활동가 교류에 힘쓰고 있다. 


不止「關係美學」--再:殺到油麻地

前陣子,香港浸會大學視覺藝術院的梁美萍教授策劃了一檔名為「Socially Engaged Art in Post-Colonial Hong Kong and Southeast Asia」的展覽及研討會,邀請香港和東南亞共21個社會藝術實踐的個案展出其活動紀錄和文獻。

由於我曾參與社區藝術空間「活化廳」,主辦單位於是邀請我借出一個2012年於「活化廳」舉行,名為《殺到油麻地!地區自救計劃展覽示範》的文獻。接著,我從倉庫裡翻箱倒籠,找出一大堆封存己久的文獻,包括活動早期構思的會議草稿、圖片、海報、傳單等,感覺有點像打開埋藏多年的時間囊。

《殺到油麻地》由藝術家成員葉浩麟(Roland) 和梁御東(Ocean)策劃,計劃取名為「殺到油麻地」,意指大型重建計劃即將來到油麻地此一舊社區,街坊們的生活將面臨重大變化,而這計劃正期望藉此召喚街坊們的「自救意識」。

在策展手法上,《殺到油麻地》以展覽為主軸,另配合一系列的藝術計劃。展覽主要展出藝術家的「生活自救方式」及回應創作。另些項目則涉及藝術家與街坊的互動,例如「社區廣告位」找來藝術家為附近小店繪畫廣告牌,並掛在空間的外牆。「誰迫走了碳筆素描馮畫師?」展示馮畫師的畫檔,他在街上售賣碳筆人像畫多年,展覽前夕檔口剛被強拆,策展人於是在展場將檔口重建。當時「活化廳」已進駐油麻地兩年,以上計劃都涉及藝術家與街坊的合作,若沒有足夠的信任基礎很難做成。

另一印象蠻深的項目,是Roland主理的「街坊傾計會」。這活動原設定為藝術家講座,一般屬展覽的慣常配套,但Roland有感藝術家講座這型式不容易吸引區內的草根街坊參與,因此將活動改為「街坊傾計會」。為籌備這活動,他特製作收集街坊意見的單張,並在區內派發。此外,他又在空間外牆掛滿宣傳橫額,配合Roland的書法功力,傾計會的訊息在繁忙的街角上挺為突出,美學上的呈現則有點像Christo and Jeanne-Claude把建築物包裹起來的手法。

今天回頭再看這計劃,Roland的檢討是,當時這活動雖然引來街坊到來分享意見, 但我們其實沒法作出實質跟進(因這涉及資源和能力問題)。另外,他認為當天會議大家輪流發言,氣氛有點沉悶,亦沒有足夠主持技巧。不過,我的看法是,若將「街坊傾計會」視為社區活動,它可能尚有不足之處,不過在美學上這事情卻有其突出、超前之處。

例如,其實Roland花了不少力氣嘗試將「參與」這事情推至極致。一般而言,藝術家講座是一個不起眼的活動,但他為了讓藝術家與街坊真的發生對話,投入了或足夠多攪另一個展覽的時間和力氣去將這事變成一次社區事件,其認真投入投射出一種宣言性質的效果--社區藝術不是圍爐取暖,不應是姿態式的陳腔濫調,而是致力將藝術家與街坊,兩者邊界模糊起來,建構一種嶄新的感知。

在那年頭,連串城市運動提出「社區參與」此一觀念,並漸漸在行動者之間轉化為一種權利意識,影響到藝術家們思考怎樣將「藝術的參與」落實到「社會/社區的參與」。與一些所謂「喚起關注」(但實際上沒嘗試去改變什麼事情)的「關係美學」作品不同,這類實踐的關鍵並非其議題,而是一種「本真性」的展現;在此,藝術家/行動者探討如何將美學轉化為現實(而非現實的美學化);回看這計劃,《殺到油麻地》正是這一命題的絕佳示範。

圖1,2,3:《殺到油麻地》展覽現場 Fig 1: Exhibition view of "YMT Self-Rescue Project"(©LCF,CC BY-SA 3.0 HK)

 


「関係性の美学」を超えるもの - YMT セルフ・レスキュー・プロジェクト
リー・チュンフォン

先日、香港バプテスト大学視覚芸術院の梁美坪教授は「ポストコロニアル香港・東南アジアにおけるソーシャル・エンゲージド・アート」と題する展覧会とシンポジウムを企画し、香港と東南アジアにおける社会芸術実践の21例を招いて、その活動記録と文書資料を展示した。

私はコミュニティ・アート・スペース「ウーファー・テン」(2009-2015)のコア・メンバーだったので、主催者からわれわれのプロジェクトの一つである「YMT セルフ・レスキュー・プロジェクトとデモンストレーション展」の資料を貸与するよう招かれた。それで倉庫をあさると、会議の原稿や写真、初期のポスターやチラシなど、長い間保管されていた資料が山のように出てきて、何年も埋もれていたタイムカプセルを開けたような気持ちになった。

このプロジェクトは、アーティストメンバーのローランド・イップとオーシャン・レオンがキュレーションした。YMT セルフ・レスキュー・プロジェクトのテーマは、都市開発とその矛盾に関するものだ。それは大規模な再開発プロジェクトが油麻地(YMT)という古いコミュニティに迫り、住民の生活も大きく変わることになる。プロジェクトの目的は、住民の「自助」によって、住民に危機意識を呼び起こさせることだ。

YMT セルフ・レスキュー・プロジェクトは、主に実験的な試みを重ねる展覧会だ。このプロジェクトは、アーティストと住民の間の相互作用に関わる。たとえばアーティストに近所の店の看板を書いてもらう「地域の広告スペース」、何十年も路上で似顔絵を売っていた画家・馮博を紹介する「誰が画家を追い出したのか」がある。彼の屋台は展覧会の前日に取り壊されたが、キュレーターはそれを展覧会場で建て直した。当時、「ウーファー・テン」がYMTに入って2年、これらのプロジェクトはアーティストと近隣住民のコラボレーションであり、強固な信頼関係がなければ実現は困難だっただろう。

もうひとつのプロジェクトは、ローランドによる「住民自助ミーティング」だ。当初は展覧会トークという通常の設定だったものの、彼はこの形式では草の根の近隣住民の参加は得られないと考えて、ミーティングに変更した。このイベントのために、ローランドは近隣の住民から意見を集めるためのチラシを作った。また、会場の外壁にバナーを掲げ、彼の書道の腕前はそれを繁華街の一角でひときわ目立つものにさせた。こうした美学は、クリストやジャンヌ=クロードが建物を包む方法とどこか似ていた。

今、このプロジェクトを振り返ってローランドは「住民の意見を集めたものの、(リソースやキャパシティが足りず)実質的なフォローアップができなかった」と反省する。しかし私は、このイベントを地域活動として考えた場合、欠点もあるかもしれないが、美的に言えばそれは時代を先取りした優れたものだと思う。

例えば、ローランドは「コミュニティ参加型」を極限まで推し進めるために多大な努力をしてきた。一般的に言って展覧会のトークは取るに足らないものだが、彼はアーティストと近隣住民の真の対話を生み出すため、別に展覧会を開催して、コミュニティのイベントとするのに十分な時間と努力を費やしてきた。

その「本気度」が、実際に次のような宣言を生んだ。「(コミュニティ)アートはエコー・チェンバーの中に閉じ込められるべきではありません。それは「コミュニティにアートを持ち込む」というようなクリシェでなく、アーティストと隣人の境界を曖昧にし、真に新しい認識を構築することです。」

その頃、一連の都市運動は「コミュニティ参加」という概念を導入し、次第に都市の権利意識へと変化し、芸術家たちが芸術参加をいかにして社会的、地域的参加へと翻訳するべきかを考えるような影響を与えた。いわゆる「関係性の美学」が「つながりを築く」ことを強調する(しかし何も変わらない)のとは異なり、こうした実践の核心は、アーティスト/活動家が(現実そのものを美化するのではなく)アートを現実にどう翻訳するかを探求する「真正性」の顕現にあるのだ。

図1,2,3:"YMT Self-Rescue Project"《殺到油麻地》の展示会場(©LCF,CC BY-SA 3.0 HK)


More than “Relational Aesthetics” — Re: YMT Self-Rescue Project

Recently, School of Visual Arts of Hong Kong Baptist University has organized an exhibition entitled "Socially Engaged Art in Post-Colonial Hong Kong and Southeast Asia", inviting 21 cases of social art practices in Hong Kong and Southeast Asia to exhibit their vivid records and documents.

As I am the core member of community art space "Woofer Ten" (2009-2015), the organizers invited me to lend them the documents of one of our projects called "YMT Self-Rescue Project & Demonstration Exhibition". 

This project is curated by our artist members Roland Yip and Ocean Leung. The theme of  "YMT Self-Rescue Project" is about urban development and its contradictions. With huge redevelopment projects coming to this old neighborhood called Yau Ma Tei (YMT) , the living of the residents will have a big change. The goal of this project is hence to call the residents' awareness of the crisis by “self-rescue”.

"YMT Self-Rescue Project" is mainly an exhibition with a series of experimental attempts. The project mainly showcases the artist's lifestyle as “demonstration of self-rescue”. Other projects involve the interaction between the artists and the neighbors, such as "Advertising Space for Neighbors" in which artists were invited to draw billboards for stores nearby, "Who forced out Painter Fung?”  showcases the stories of Painter Fung, who has been selling portrait painting on the street for decades, while his stall was demolished on the eve of the exhibition, so the curators rebuilt it in the exhibition space.
 
Another project is the "Neighborhood Self-Rescue Meeting" organized by Roland. The event was originally the exhibition talk, which is a usual setting, but as Roland felt this format would not be enough to attract the participation of our grassroots neighbors, so he changed the event to  "Neighborhood Meeting". To prepare for this event, he produced leaflets to collect the opinions from the neighbors. In addition, he hung banners on the exterior of our space, and with his calligraphy skills, the message of this event stands out on the busy street corners, such aesthetics are somewhat like the way Christo and Jeanne-Claude wrapped the buildings.

Looking back at the project today, Roland's review was that, although the event had brought in residents to share their views, we were not able to follow up on it substantively (because of a lack of resources and capacity). Yet, my opinion is that if we consider the event as a community activity, it may have some shortcomings, but aesthetically,  it is outstanding and ahead of its time.

For example, Roland has put a lot of effort to push "community participation" to the extreme. Generally speaking, exhibition talk is usually an insignificant part, but he has invested much time and effort  which may be enough to create another exhibition, to turn it into a community event, in order to generate a real dialogue between artists and the neighbors.

The “seriousness” of his commitment in fact has made a declarative statement: “(Community) Art should not be limited in its echo chamber, It is not just a clichés slogan as “bringing art into the community”, but about blurring the boundaries between artists and neighbors, constructing a brand new perception.”

In those years, a series of urban movements introduced the concept of "community participation", which gradually transformed into a sense of urban rights that influenced artists to think about how to translate artistic participation into social and community participation. Unlike some so-called "relational aesthetics"  that emphasize on "building connection" (but nothing is changed), the crux of such practices is a manifestation of "authenticity", where the artist/activists explores how to translate art into reality (rather than aestheticize reality itself).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