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운동연합 “일본정부 신뢰할 수 없고, 농축된 방사능 위험 여전”

10년 뒤 방류된 삼중수소 농도 분포. 이미자=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한국원자력연구원 공동연구팀.
10년 뒤 방류된 삼중수소 농도 분포. 이미자=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한국원자력연구원 공동연구팀.

일본이 북태평양에 내보낼 예정인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내 삼중수소가 국내 바다에 유입돼도 자연에 있는 농도보다 낮을 것이라는 연구 결과에 대해 환경단체가 반발하고 나섰다. 

시민방사능감시센터·환경운동연합은 16일 성명을 내고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에 의한 해양확산 시뮬레이션만으로는 국민 안전을 보장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한국해양과학기술원(KIOST)과 한국원자력연구원(KAERI) 공동연구팀은 일본 오염수 방류에 의한 삼중수소 확산 시뮬레이션 결과를 16일 한국방재학회 학술대회 포스터 세션을 통해 발표했다. 

일본 정부는 오염수 중 ‘다핵종제거설비(ALPS)’로 제거되지 않는 삼중수소를 바닷물과 섞은 뒤 1km 떨어진 바다로 배출하겠다는 계획을 세운 바 있다. 

KIOST-KAERI 공동연구팀 발표에 따르면 일본 정부 계획에 따라 배출되는 원전 오염수 내 삼중수소는 4~5년 뒤 제주를 비롯한 우리나라 해역에 본격 유입돼 10년 후 ㎥당 약 0.001Bq(베크렐) 내외 평균 농도를 나타낼 것으로 예측됐다.

공동연구팀은 예측 농도는 국내 해역의 평균 삼중수소 농도인 ㎥ 당 172Bq에 한참 미치지 못하는 수치며, 기존 해양에 존재하는 삼중수소 농도의 10만분의 1 수준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시뮬레이션 연구에 활용된 일본의 ‘후쿠시마 오염수 해양방출 시설 설계운용 관련 실시계획’에 대한 신뢰성 문제로 영향 유무를 판단하기엔 어려움이 따른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지점에서의 시간별 삼중수소 농도 (Bq/m3) 변화를 나타낸 자료. 사진 속 빨간 선(C)이 우리나라 관할 해역에 유입될 것으로 예상되는 삼중수소 농도다. 이미자=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한국원자력연구원 공동연구팀.
지점에서의 시간별 삼중수소 농도 (Bq/m3) 변화를 나타낸 자료. 사진 속 빨간 선(C)이 우리나라 관할 해역에 유입될 것으로 예상되는 삼중수소 농도다. 이미자=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한국원자력연구원 공동연구팀.

환경운동연합 역시 일본 정부의 자료를 신뢰할 수 없다는 점을 지적했다.

환경운동연합은 “100여 개 해양연구소가 소속된 전미해양연구소협회를 비롯한 많은 전문가는 ‘일본 자료에는 오염수가 보관된 각 탱크의 방사성 핵종 함량에 대한 중요 데이터가 없다. 또 다핵종제거설비 성능이 부족하다’는 등 이유로 자료와 계획을 신뢰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관련해 일본 정부는 다핵종제거설비를 통해 삼중수소를 제외한 62개 방사성 핵종은 기준치 이하로 처리할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환경운동연합은 또 방사성 물질의 생물학적 농축을 전혀 고려하지 않았다며 바다에 버려질 오염수에 포함된 많은 방사성 핵종은 수십 년에서 수백 년의 반감기를 가진다고 강조했다. 

이어 “방사성 물질이 갯지렁이 등 저서생물을 오염시키게 되면 결국 먹이사슬의 고리를 거쳐 꼭대기에 있는 사람에게까지 영향을 주게 될 것”이라며 “오염수 방류 안전성을 바닷물 방사성 물질 농도만으로 평가해서는 안 된다”고 피력했다. 

또 “오염수 확산 모델에 매달리는 것은 미련하다. 국민 안전을 지키기 위해 노력하는 것이 더 중요한 일”이라고 일갈한 뒤 “미국이 아무런 반응이 없는 것 같지만 이미 알래스카 수산물에 대한 방사능 모니터링을 수년째 실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지난 7일 후쿠시마현에서 잡힌 농어에는 방사성 물질인 세슘이 1kg당 8.85Bq이 검출되는 등 이미 오염됐다”며 “일본 정부가 제공한 자료를 통해 연구한 결과는 국민을 안심시킬 수 없다”고 꼬집었다. 

환경운동연합은 “일본은 오염수를 바다에 버리지 않고 장기간 보관해 위험도를 낮추는 등 대안을 고려해야 한다”며 “한국 정부는 국민 안전을 지키고 인류의 자산인 태평양 오염을 막기 위한 대책을 하루빨리 마련해야 한다”고 밝혔다. 

한편, 공동연구팀은 일본 실시계획 상 연간 최대 22조Bq의 삼중수소가 방출될 것으로 가정해 연구를 진행했으며, 그 결과 방출된 삼중수소는 10년 뒤 북태평양 전체로 확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에 미치는 영향 등은 전혀 고려하지 않고 일본 실시계획 자료만을 가지고 시뮬레이션 체계를 구축한 것이라고 밝힌 공동연구팀은 생태계 영향 등은 추후 연구를 통해 파악할 문제라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