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유발 1조783억원, 부가가치유발 4812억원, 취업유발 9288명
관광객 증가로 인한 간접효과는 인천과 경북보다 2~4배 이상 커

2025년 아시아태평양 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제주 유치를 위한 움직임이 본격화되고 있는 가운데, 유치에 성공할 경우 제주에만 7천억원 이상의 생산유발 효과가 있을 것이라는 연구결과가 제시됐다. 

제주연구원(원장 양덕순)은 23일 ‘2025 APEC 정상회의 제주유치에 따른 지역경제 효과분석’ 연구 결과(연구진 강영준·고경민)를 발표했다.

APEC은 환태평양 국가들의 경제협력을 위해 결성된 국제기구로, 2023년 현재 21개의 회원국이 참여하고 있으며, 정상회의는 1993년을 시작으로 2022년까지 29번 개최됐다.

대한민국은 2005년 부산에서 정상회의를 개최한 이후 20년이 지난 2025년에 개최국으로 재선정됐고, 외교부는 국내 개최도시를 내년 상반기 내로 결정할 예정이다.

2023년 8월 현재 제주도를 비롯해 경상북도 경주시, 인천광역시, 부산광역시 등 4개 지자체가 치열한 유치전을 벌이고 있다.

이번 연구는 2025년 APEC 정상회의의 성공적인 제주 유치를 위해 수행되었고, 경제파급 효과를 직접-간접 효과로 나눠 추계했다.

APEC 정상회의 제주 유치 시 인프라 투자, 회의운영 수입, 회의기간 증가, 관광객 지출 등 직접 효과에 의해 국가 전체에 파급되는 경제효과는 △생산유발 1조783억원 △부가가치 유발 4812억원 △취업유발 9288명으로 추계됐다. 이 중 제주지역에 파급되는 효과는 △생산유발 7256억원 △부가가치유발 3463억원 △취업유발 7244명으로 추계됐다.

간접효과는 2025년 APEC 정상회의 개최로 인해 회의기간을 제외하고, 1년 동안 증가하는 제주방문 관광객의 지출에 의한 경제파급 효과로, 경북 경주시와 인천광역시와의 비교를 위해 추계했다. 추계결과, 제주도의 간접효과는 경북 경주시보다 4배 이상, 인천광역시보다 2배 이상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제주를 방문하는 관광객의 수가 많고, 상대적으로 긴 체류 기간에 따라 1인당 지출액도 더 많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됐다.

이번 연구보고서에서는 경제파급 효과 분석과 함께 APEC 정상회의 제주 유치를 위한 전략도 함께 제시됐다.

연구진은 첫째 전략으로 “제주의 차별성을 강조하기 위해 생태와 평화의 키워드 강조가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또 “제주 유치의 강점을 보다 적극적으로 부각하고, 이를 정부 설득 논리로 제시할 것”과 “APEC 정상회의 개최도시의 지방 선정 추세와 지자체가 지역발전을 주도하는 현 정부의 정책 방향을 제주 유치 설득 논리로 주장할 것”을 제안했다.

이와 함께 △친환경 산업과 제주만의 특색을 강조한 다양한 홍보 전략 마련 △공항 접근성 향상에 대한 대안 마련 △제주도민들에게 APEC 정상회의 제주 유치가 갖는 의미에 대한 공감대 형성 및 유치 경쟁에 대한 도민들의 참여 독려를 제안했다.

한편 제주도는 일각에서 “20년 만에 APEC 정상회의 유치에 재도전하고 있지만, 정작 행사 유치에 대한 범도민적 관심은 부족하다”는 지적이 제기됨에 따라 7월부터 ‘APEC 정상회의 제주 유치 추진준비단’ 단장을 행정부지사로 격상하는 등 총력전 체제로 전환했다.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