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문화정상회의] 문화 권리와 거버넌스 사례 발표

우주선을 떠올리게 하는 화려한 건물 안에 여러 문화행사가 열리는 서울시 DDP(동대문 디지털 플라자), 그리고 무장집단의 침입으로 문화유산이 파괴당한 아프리카 말리. 이처럼 문화를 누리는 세계인들의 권리는 천차만별이다. 세계 각국의 문화·예술 종사자들은 이러한 차이를 극복하는 문화 권리와 거버넌스(governance, 협치)의 기준이 최대한 많은 사회 구성원을 아우르는 포용력이라고 꼽았다.

전 세계 100여개 도시 문화·예술 관련 인사들이 제주에 모이는 제2회 UCLG(United Cities and Local Governments, 세계지방정부연합) 세계문화정상회의가 10일 개막해 3박 4일 간의 일정에 돌입했다. 

10일 오후 5시 제주문예회관 대극장에서는 ‘문화 권리와 문화 거버넌스’ 세션이 운영됐다. 모든 사람이 문화생활에 접근하고 참여할 수 있는 문화 권리와 다양한 목소리를 통합하고 그들을 정책입안에 참여하도록 허용하는 협치 방식이 문화 거버넌스다.

세션은 로버트 만친 유럽문화행동 대표가 진행을 맡았고 디디에 코이린 프랑스 생데니스 문화국장, 신경구 광주광역시 국제관계 수석정책자문, 마리아나 페르코비치 몬테비데오 문화위원, 펠리페 아후마다 맥시코 메리다 문화국장, 이회승 서울시 기획조정실 국제협력관, 라사나 시쎄 말리 전통·지역개발 분야 전문가, 박경훈 제주문화예술재단 이사장이 연사로 참여했다.

IMG_7270.JPG
▲ 10일 열린 ‘문화 권리와 문화 거버넌스’ 세션. ⓒ제주의소리

연사들은 각 지역에서 겪는 문화 권리, 거버넌스 사례를 발표하면서 두 가지를 실현하기 위한 중요한 가치가 무엇인지 공유했다.

라사나 시쎄는 2012년부터 시작된 무장집단의 점령으로 말리는 유무형 문화유산이 심각한 피해를 입었다고 밝혔다. 그는 “프랑스군이 개입해 상황이 마무리된 2013년 2월까지 말리 전통문화와 옛 아카이브, 나아가 무형 유산까지 파괴됐다. 나는 당시 국립문화유산센터장을 역임하면서 경제·문화적으로 황폐화된 지역을 어떻게 해결할지 고민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국제기구의 지원을 받아 문화유산을 복원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했고, 문화유산과 함께 관광업에 종사했던 이들을 도왔다. 미리 예방하는 차원에서 40만개의 고문서를 남쪽으로 옮겼다”고 아픈 경험을 밝혔다.

이회승 국제협력관은 민간 거버넌스로 운영되는 서울시 동대문디자인플라자 사례를 소개했다. 

서울시는 낙후된 섬유 산업 구역에 거대한 건축물을 세우고 디자인·전시·상업 시설을 유치했다. 그는 “DDP 운영에는 지방정부, 시민사회, 산업·수출단체가 참여한다”며 “세 가지 집단이 참여하는 거버넌스를 통해 운영과 여러 가지 문제를 해결해 나간다”고 소개했다.

디디에 코이린 문화국장은 문화 권리를 위한 중요한 요소를 꼽았다. ▲모든 사람이 문화정책에 참여해 의견을 반영하는 ‘문화 민주주의’ ▲다양한 정체성을 존중하고 모두가 함께 향유하는 ‘문화 자원·연결성의 다양성’ ▲주민과 함께 유·무형 유산을 만드는 ‘공동유산’ ▲중앙에 집중하는 문화프로젝트가 아닌 동네마다 찾아가는 다양성 ▲장애인, 노인, 소외·취약계층 생활리듬에 맞춘 문화생활 ▲단순한 정보 전달이 아닌 문화예술적 능력을 향상시키는 ‘정보공유 ▲최대한 모든 구성원이 참여하는 '실천 교육'이다.

그는 “사회 구성원 모두가 참여하는 문화예술 생활은 공동체의 힘을 기르는 영양분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