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라도를 찾는 철새 뿔쇠오리가 고양이로 인해 위협받고 있다는 문제가 제기되면서 문화재청과 제주세계자연유산본부가 고양이 반출 계획을 세운 것 관련 동물단체가 반발하고 나섰다.

동물단체로 구성된 철새와 고양이 보호 대책 촉구 전국행동은 21일 오전 10시 30분 제주도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문화재청과 제주도는 마라도 고양이 몰살 위협 중단하고 보호 대책을 마련하라”고 촉구했다.

철새와 고양이 보호 대책 촉구 전국행동은 21일 오전 10시 30분 제주도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문화재청과 제주도는 마라도 고양이 몰살 위협 중단하고 보호 대책을 마련하라”고 촉구했다. ⓒ제주의소리
철새와 고양이 보호 대책 촉구 전국행동은 21일 오전 10시 30분 제주도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문화재청과 제주도는 마라도 고양이 몰살 위협 중단하고 보호 대책을 마련하라”고 촉구했다. ⓒ제주의소리

최근 문화재청과 제주도는 마라도 길고양이를 포획해 외부로 반출한 뒤 입양과 육지 방사, 타 지자체 양도하는 등 계획을 발표했다. 이는 매해 2월쯤 마라도를 찾는 철새 뿔쇠오리를 보호하기 위함이다.

관련해 전국행동은 뿔쇠오리를 비롯한 야생 생물 보호 조치 필요성과 위협이 되는 여러 요인을 조사, 분석해 대책을 마련하는 일이 신속해야 한다는 점 등을 공감했다. 하지만 대책으로 내놓은 마라도 고양이 반출 과정 중 실현 가능한 보호 대책이 없다고 지적했다.

더군다나 고양이가 뿔쇠오리 개체 수 감소에 심각한 영향을 미친다는 명확한 근거를 제시하지 못한 채 밀어붙이기식으로 반출을 강행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전국행동은 “반출한 고양이를 다른 가정에 입양시키는 등 안전하게 보호하겠다고 밝혔지만, 실행을 위한 구체적 대안은 전혀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며 “결국 안전을 보장하겠다는 주장은 믿을 수 없고 고양이 반출이 몰살로 이어질 우려를 깊게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전문가들은 뿔쇠오리가 일반적으로 접근이 힘든 바위절벽 틈에 번식하기 때문에 정확한 번식지 및 번식상 파악이 어렵다고 발표한 바 있다”며 “즉 고양이 보다는 까치나 매, 쥐 등 공격에 더 취약한 것이라는 주장이 설득력있다”고 피력했다. 

또 “문화재청은 마라도 쥐도 박멸할 것이라 했지만 자연에 서식하는 쥐를 인위적으로 박멸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다”며 “쥐를 잡기 위해 고양이를 들여온 만큼 고양이가 사라진다면 쥐 문제가 심각해질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뿔쇠오리 보호를 위한 근본적인 연구와 체계 없이 주먹구구식으로 펼치는 조치는 결국 고양이를 몰살하는 결과를 초래할 우려가 있다”며 “더군다나 섬에 남겨지거나 유입되는 고양이 관리 대책도 없어 비극이 되풀이될 가능성도 있다”고 밝혔다. 

이 단체는 “2019년 서울대 연구팀 조사에 따르면 여러 차례의 중성화 수술을 거쳐 마라도 고양이 개체 수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며 “올해 2월 제주대 연구팀 조사 결과 49마리가 서식 중인 것으로 파악됐으며, 많아도 70마리 정도”라고 주장했다. 

또 “고양이가 직접적인 위협을 가한다는 명확한 연구 자료가 충분하지 않음에도 고양이에게 책임을 묻는 것은 부당하다”며 “그럼에도 일말의 위협을 낮추기 위해 반출을 결정한다면 도의적 책임을 다하는 것이 생명 존중을 위한 최소한의 의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뿔쇠오리 등 야생 생물 개체 수 감소 대책 수립 ▲뿔쇠오리 개체 수 감소 위협 요인 분석 및 근거 자료 제시 ▲반출 예정 고양이 관련 실행 가능한 안전한 보호 방안 수립 등을 요구했다.

이어 “영역 동물인 고양이를 반출하는 것은 생명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위협적 조치”라면서 “더군다나 구체적 방안이 없는 상태에서 적절한 가정에 입양 보낸다는 것은 묻지마 입양을 통해 열악한 곳으로 보내질 수도 있는 것”이라고 우려했다. 

이 단체는 “타 지자체 보호소에 보내거나 육지부에 방사하는 일은 오랫동안 마라도 주민들의 보호를 받고 살아온 고양이를 몰살하는 것과 다름없다”며 “생명에는 크고 작음이 없기에 위협을 받고 고통에 처할 위험이 있다면 지나쳐선 안 된다”고 힘줘 말했다. 

또 “편가르기 식 접근으로 특정 동물을 혐오하고 이를 정당화하려는 시도에 심각한 우려를 표한다”며 “문화재청과 제주도는 생명 존중을 기반으로 진정한 공존의 사회를 만드는 데 책임을 다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