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전과 활용 위한 특성화 사업, 올해 5개 목장에 2억 2400만원 지원

서귀포시 서광동리공동목장에서 풀을 뜯어 먹고 휴식을 취하고 있는 소들. ⓒ제주의소리 자료사진
서귀포시 서광동리공동목장에서 풀을 뜯어 먹고 휴식을 취하고 있는 소들. ⓒ제주의소리 자료사진

서귀포시가 대한민국에서 유일한 제주도 고유의 목축문화 ‘마을공동목장’을 보전하고 활용하기 위한 특성화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서귀포시는 올해 5개 마을공동목장에 2억 2400만원을 투입, 초지보완, 방목용 울타리 설치, 목도 개설 등 가축 방목에 필요한 축산기반을 지원하고 있다고 16일 밝혔다.

마을공동목장 특성화 사업은 선대로부터 물려받은 마을 공동체의 자산이자 제주도에만 있는 목축문화 ‘마을공동목장’을 보전하면서도 활용성을 높이기 위해 마련된 사업이다.

서귀포시 마을공동목장은 총 18곳으로 전체 규모는 2594헥타르(ha)에 달한다. 이 중 서귀포시는 지난 2021년 2곳-4200만원을 시작으로 2022년에는 8곳-2억 9300만원을 지원했다. 

3년간 특성화 사업 결과 가축 방목시설 설치 지원을 통해 마을공동목장 방목 가축은 402마리가 늘어났다. 또 하급 초지 대상 잡목제거 및 목초 파종 지원을 통해 38.6ha의 상급 초지로 확대됐다.

마을공동목장은 고려 말기부터 이어져 온 제주도 고유의 목축문화다. 조선시대에는 중산간 지역에 국영목장 형태로 운영됐으며, 일제강점기 들어서는 마을마다 조합이 설립되면서 지금의 마을공동목장 체계가 갖춰졌다. 

목축 자원을 수탈하기 위해 일제가 마을공동목장을 만들던 1940년대 당시 조합은 120여 곳에 달했지만, 개발 붐과 목축환경의 변화가 맞물리면서 현재는 50여 곳만 남아있는 상태다. 팔려나간 마을공동목장은 대부분 골프장이나 리조트 등으로 개발됐다. 

마을공동목장은 동식물 서식처 제공, 토양 유실 방지, 목축 유산 유지, 탄소 저장 등 다양한 공공재를 산출하기도 한다. 특히 초지는 빼어난 경관을 제공한다. 서귀포시 마을공동목장의 초지는 모두 1233ha며, 이는 서귀포시 전체 초지의 18.1%를 차지할 만큼 크다.

서귀포시 관계자는 “마을공동목장은 가축 생산비를 절감하면서 동물복지를 실현하는 환경친화적 축산기반”이라며 “여기에 제주만의 목가적 경관을 활용해 지역경제에 이바지할 수 있는 마을공동목장을 만들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제주특별자치도는 마을공동목장 관련 제도를 개선하고 정책적인 지원책을 마련하기 위해 2024년 6월까지 ‘마을공동목장 보존과 지원방안 연구’ 용역을 추진 중이다. 용역은 마을공동목장을 비롯해 공동자원 연구를 꾸준히 해 온 제주대학교산학협력단이 맡았다.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