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2839명 지난해만 238명 은퇴
박호형 의원 “신규 양성 대책 세워야”

세계적으로 어업의 가치를 인정받고 있는 해녀 문화가 소멸 위기에 놓였다. 은퇴 행렬이 이어지고 있지만 신규 양성은 더디게 진행되면서 대책 마련이 시급해졌다.

다만, 한창 물질에 나서는 30~40대 해녀수가 늘어난 점은 주목된다. 30~40대 해녀 수는 2021년 80명에서 2022년 87명, 2023년에는 93명까지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제주특별자치도에 따르면 2023년 말 기준 제주에서 조업 중인 현직 해녀는 2839명으로 관련 통계가 작성된 이후 처음으로 3000명 선이 무너졌다.

제주 해녀는 1970년 1만4143명에 달할 정도로 성황을 이뤘다. 이후 조업 방식이 발전하면서 1980년 7804명으로 줄어든 데 이어 2020년에는 3613명으로 급감했다.

은퇴 행렬은 고령화와 직결된다. 현직 해녀 중 90.3%가 60세 이상이다. 70세 이상은 1711명으로 전체의 60.3%를 차지한다. 이에 해녀 고령화로 인한 안전사고도 덩달아 늘고 있다.

실제 최근 5년간 도내 해녀 안전사고는 104건에 달한다. 이중 37건은 심정지 사고다. 연령별로는 70세 이상 사고 비율이 전체의 76%를 차지했다.

제주도는 고령자의 조업 중 사고를 줄이기 위해 지난해부터 은퇴수당을 올렸다. 지급 대상도 기존 80세에서 75세로 낮추고 수당도 3년간 매월 30만원에서 50만원으로 늘렸다.

그 여파로 2022년 76명이던 은퇴자 수가 지난해에는 238명으로 3배 이상 폭등했다. 지역별로는 제주시 148명, 서귀포시 90명이다.

해녀 소멸 위기에도 불구하고 신규 양성은 더딘 상황이다. 지난해 해녀에 가입한 인원은 23명에 불과하다. 2021년 40명에서 2년 사이 절반 수준으로 쪼그라들었다.

최근 서귀포시 모 어촌계에서는 내부 갈등을 이유로 신규 해녀 6명 ‘마을어장 행사자 재계약’ 불가를 통보받았다. 이 경우 입어 활동이 제한돼 물질을 할 수 없게 된다.

이와 관련해 해녀 문제를 꾸준히 제기해 온 제주특별자치도의회 농수축경제위원회 소속 박호형 의원(일도1동, 더불어민주당)은 신규 해녀 양성에 대한 정책 재검토를 주문했다.

박 의원은 “해녀어업 및 해녀문화는 지난해 세계중요농어업유산 등재로 전대미문 4관왕을 달성했다”며 “반면 행정에서는 신규 해녀 양성에 대한 의지가 전혀 없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신규해녀 양성을 위한 정책수립과 어촌계 가입 절차 간소화 등에 대한 정책이 마련돼야 한다”며 “세대와 지역 간 갈등 완화를 위한 프로그램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