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청 30일 4.3기록물-산림녹화기록 등 유네스코 기록유산 신청
내년 국제자문위원회 심사 거쳐 2025년 5월 등재 여부 최종 결정

4.3 관련 토지대장 등 관련 공문서부터 집기류에 이르기까지 5456점을 보관하고 있는 제주4.3평화재단 수장고. ⓒ 제주의소리 자료사진<br>
4.3 관련 토지대장 등 관련 공문서부터 집기류에 이르기까지 5456점을 보관하고 있는 제주4.3평화재단 수장고. ⓒ 제주의소리 자료사진

제주4.3 70여년의 역사가 담긴 4.3기록물이 전 세계인의 유산이 되기 위한 본격적인 여정에 돌입한다.

문화재청은 세계기록유산 한국위원회 심의를 거쳐 2025년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제주4.3사건기록물과 산림녹화기록물 등 2건에 대한 등재신청서를 제출했다고 30일 밝혔다.

2건의 세계기록유산 신청서는 제출기한인 11월 30일(현지시간)에 맞춰 유네스코에 제출됐다. 이들 기록유산은 2025년 5월 유네스코 집행이사회에서 최종 등재여부가 결정된다.

등재 신청된 제주4.3기록물의 공식 명칭은 '진실을 밝히다: 제주4.3아카이브(Revealing Truth : Jeju 4.3 Archives)'다.

제주4.3은 2차세계대전 이후 냉전, 이념 대결, 국가폭력, 민간인학살 등을 한눈에 보여주는 세계적으로 매우 희귀하고 고유한 기록 자료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신청된 기록물은 4.3이 발발했던 당시부터 최근까지 축적된 공공기관 생산기록, 군·사법기관 재판기록, 미국 생산기록 등이다. 민간과 정부의 진상규명을 담은 문서, 편지, 오디오(비디오)테이프, 영상, 도서 등이 포함됐다.

총 1만4673건으로, 문서 1만3976건, 도서 19건, 엽서 25건, 소책자 20건, 비문 1건, 비디오 538건, 오디오 94건 등이다.

두 파트로 나뉘어진 기록물은 '억압된 기억에 대한 기록물' 분류를 통해 오랜 탄압에도 4.3 희생자와 유족들이 끊임없이 이어간 증언, 아래로부터의 진상규명 운동, 2003년 정부 공식 보고서에 이르기까지의 노력을 담았다.

'화해와 상생의 기록물' 분류에는 제주인들이 가해자와 피해자 구분 없이 모두를 포용하고 공동체 회복에 힘을 쏟았던 내용이 포함됐다.

4.3기록물은 냉전과 분단 정세 속에 국가폭력으로 인한 집단 희생의 아픔을 딛고 '진실·화해·상생'을 이뤄낸 역사의 기록으로, 과거사 해결 사례로서의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에 도전하는 제주4.3기록물. ⓒ제주의소리<br>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에 도전하는 제주4.3기록물. ⓒ제주의소리

유네스코에 신청된 4.3기록물은 2024년 상반기 중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국제자문위원회 등재심사소위원회에서 사전심사를 거쳐 같은해 하반기 국제자문위원회(IAC)에서 최종 심사를 받는다.

이후 2025년 상반기 중 유네스코 사무총장의 승인을 받아 집행이사회에서 세계기록유산 등재 최종 결정이 이뤄진다. 

제주도와 제주4.3평화재단은 지난 2018년부터 4.3기록물의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를 위한 노려을 이어왔다. 6년여간 4.3기록물 수집 및 목록화, 심포지엄, 전문가 검토 등을 진행했고, 세계기록유산 한국위원회의 세 차례 심의를 거쳤다.

조상범 제주도 특별자치행정국장은 "4.3기록물이 세계인의 역사이자 기록이 될 수 있도록 문화재청 및 4.3평화재단과 협력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MoW, Memory of the World)은 세계적인 가치가 있는 기록유산을 체계적으로 보존하고 그 활용을 진흥하기 위해 1992년부터 시행중인 프로그램이다.

전 세계적으로 가치가 있는 서적(책), 고문서, 편지, 사진 등 귀중한 기록물을 후보로 두고 1997년부터 2년마다 등재를 이어가고 있다.

세계기록유산은 현 기준 전세계 84개국 496건으로, 우리나라의 경우 1997년 훈민정음(해례본)과 조선왕조실록을 시작으로 직지심체요절, 승정원일기, 해인사 대장경판, 조선왕조의궤, 동의보감, 5.18민주화운동기록물, 새마을운동기록물, 국채보상운동 기록물 등 18건이 등재돼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