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jpg

1990년 정부의 '제주권 신국제공항 개발 타당성 조사 계획' 발표 이후 25년만에 제2공항 건설이 확정됐다. 제주도로서는 기존 공항 확장이냐, 새 공항 건설이냐는 지리한 논쟁을 끝내고 한길로 매진할 수 있게 됐지만, 일방적 부지 선정에 따른 주민 반발 등 갈등의 불씨가 남아있다. 4조원이 넘는 막대한 사업비 조달방안과 기존 공항과의 관계 설정, 24시간 공항 운영여부, 에어시티 조성 등 과제도 산적해 있다. <제주의소리>가 제2공항 건설에 따른 과제 등을 연속적으로 짚어본다. [편집자주]

[백년대계 제주 제2공항] ⓶ 국토부 "제주, 1년 빠를수도...재원조달방법은 미정"

제주 제2공항과 영남권 신공항 모두 2025년 개항을 목표로 사업이 추진되면서 향후 두 사업의 우선 순위와 예산 지원 등을 놓고 경합하는 상황이 벌어질지 주목된다.

국토교통부는 10일 제주 공항인프라 확충 사전타당성 검토 연구용역 최종보고회에서 2025년까지 서귀포시 성산읍에 제2공항을 건설하는 계획안을 발표했다.

같은 시각 영남권 신공항 유치에 나선 지방자치단체들도 제주 제2공항 계획에 촉각을 곤두세웠다. 제주 제2공항 건설이 영남권 신공항 부지 선정 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생각에서다.

제주 제2공항(제주 공항 인프라확충)과 영남권 신공항은 모두 박근혜 대통령의 공약이다. 영남권 신공항은 2008년 이명박 대통령 시절 비용편익비율(B/C)이 낮아 백지화 됐지만 박근혜 정부에서 재추진되고 있다.

관심은 막대한 사회간접자본(SOC)이 들어가는 공항건설 사업이 동시에 진행되면서 국비 확보 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이다.

제주 제2공항은 11월28일까지 제주 공항인프라 확충 사전타당성 검토 연구용역을 마무리하고 이르면 12월말까지 기획재정부의 예비타당성 조사대상에 포함시키기로 했다.

영남권 신공항은 올해 6월 사전 타당성 검토 연구용역을 발주해 내년 6월 말 입지 발표를 앞두고 있다. 연구용역은 국토부가 발주하고, 파리공항공단 엔지니어링 컨소시엄이 맡았다.

두 사업 모두 내년 1월 제5차 공항 개발 중장기 종합계획(2016~2020년)에 반영될 전망이다. 공항 개발 중장기 종합계획은 항공법 제2조에 의해 5년마다 수립되는 법정계획이다.

공항을 건설하기 위해서는 기재부의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해야 한다. 제주 제2공항은 내년초를 점치고 있다. 종합계획 반영과 예비타당성 조사에만 2년 가까이 소요될 전망이다.

영남권 신공항은 내년 6월 후보지가 결정되면 곧바로 예비타당성 조사에 착수하기로 했다. 제주보다 최소 6개월 늦은 시점이다.

두 공항계획 모두 2016년 예비타당성 검토의 문턱을 넘으면 국토부는 제주공항 개발 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용역에 착수한다. 이후 설계작업을 거쳐 공항 건설을 위한 첫 삽을 뜬다.

공교롭게도 두 공항의 개항 목표시점은 2025년이다. 제주 제2공항 건설에 필요한 사업비는 4조1000억원이다. 이는 길이 3.2km, 폭 60m의 활주로 1본을 기준으로 산정한 금액이다.

영남권 신공항 후보지인 가덕도는 5조900억원, 밀양은 4조6000억원을 공사비로 추정하고 있다. 가덕도는 길이 3.5km 활주로 1본, 밀양은 3.8km, 3.2km 활주로 2본을 기준으로 했다.

2개 사업이 동시에 진행되면 9조원에 달하는 사업비가 들어가지만 정부는 제주 제2공항이 최대 1년 앞서 진행될 것으로 내다봤다.

국토부 관계자는 11일 <제주의소리>와 전화 통화에서  “다음달(부터) 예비타당성 조사를 벌이면 영남권 보다 1년 정도를 앞서 진행할 수 있다”며 “제5차 공항개발 중장기 종합계획에는 내년 1월 곧바로 반영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영남권은 진행중인 사전타당성 용역 결과에 따라 추진 일정이 달라질 수 있다”며 “양측 모두 재원조달 방식 등은 정해진 바가 없고 기본계획 수립단계에서 결정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