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일 제주서 열린 비대위 현장회의서 언급
“터무니없는 이야기” 총선 앞둬 조기 진화

13일 오전 11시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JDC) 4층 대회의실에서 열린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회 현장 회의. 허용진 제주도당위원장(왼쪽)의 발언을 정진석 비상대책위원장(오른쪽)이 청취하고 있다. ⓒ제주의소리 [김정호 기자]
13일 오전 11시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JDC) 4층 대회의실에서 열린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회 현장 회의. 허용진 제주도당위원장(왼쪽)의 발언을 정진석 비상대책위원장(오른쪽)이 청취하고 있다. ⓒ제주의소리 [김정호 기자]

국민의힘 지도부가 당 내부에서 촉발된 제주 군사공항 논란과 관련해 “터무니없는 이야기”라며 총선을 앞두고 조기 진화에 나섰다.

정진석 비상대책위원장은 13일 오전 11시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JDC) 4층 대회의실에서 열린 현장 회의에서 제2공항은 순수 민간공항이라고 강조했다.

당 지도부의 제2공항 발언은 현장에 동석한 허용진 제주도당위원장이 조속한 사업 추진을 요청하면서 더불어민주당의 발목잡기식 의혹을 주장했기 때문이다.

허 위원장은 “제주 제2공항 추진은 반드시 필요하다. 순수민간 공항이라는 정부 입장에도 불구하고 더불어민주당이 군사공항을 내세워 정쟁으로 몰고 가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당 차원에서 군사공항이 아니라는 것을 명확히 하면 야당 주장은 설 자리를 잃을 것이다. 대신 순수공항 추진은 더욱 힘을 얻게 된다”며 당 지도부의 지원사격을 요청했다.

이를 의식한 듯 정 위원장은 비상대책위원들의 모두발언이 끝난 후 추가 발언을 통해 제2공항에 대해 재차 언급했다.

정 위원장은 “제주 제2공항이 군사공항이라는 얘기는 터무니없고 악의적이다. 전혀 근거가 없다. 제2공항은 민간공항”이라며 제주도당위원장의 발언에 힘을 실었다.

그러면서 “군사공항 이야기가 왜 나오냐. 갑툭튀(갑자기 툭 튀어나오다)다. 정치적 의도가 있다”며 “집권여당 책임자로서 제2공항은 순수 민간공항임을 공언한다”고 말했다.

군사공항 논란은 지난해 12월26일 국민의힘 북핵위기대응특별위원회(위원장 한기호)가 북한 핵무기 임박시 제주도를 전략도서화하는 내용을 검토하면서 촉발됐다.

북핵특위 ‘보고 및 건의사항’에 따르면 북핵 위기가 임박해 상황이 악화될 경우 동맹국인 미국의 핵전력을 한국에 전진배치하는 내용이 담겼다. 그 최적지로 제주도가 논의됐다.

제주 신공항 건설시 미국의 전략폭격기의 이착륙이 가능한 활주로를 만들고 핵무기 임시 저장시설의 구축도 고려해야 한다는 내용까지 알려지면서 군사공항 논란에 불을 지폈다.

문제가 불거지자, 한기호 위원장은 “제주도의 전략도서화는 보고서에 포함되지 않았다. 다만 제주에 공항을 만든다면 전시에 북한 핵을 억제하는데 필요하다는 내용이었다”고 해명했다.

결국 최종 보고서에 채택되지 않았지만 더불어민주당 소속 오영훈 제주도지사와 지역 국회의원들은 “세계평화의 섬을 전략 핵 배치 요충지로 만들겠다는 것이냐”며 강하게 반발했다.

정의당 제주도당도 논평을 내고 “집권 여당의 특위보고서는 제주도를 한낱 군사적 전략기지로 대상화하고 있다는 점에서 충격적”이라며 국민의힘을 강하게 몰아세웠다.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