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까운 산에라도 오를까? 단지 휴대전화 하나만을 들고 집을 나섰다. 종종 지나치는 마을 안길, 어느 집 담벼락에 희끄무레하니 대롱대롱 매달린 그 무엇인가가 나의 눈길을 잡아끌었다. 먼지가 저렇게 앉을 리도 없고, 그렇다고 쓰레기도 아닌 것 같다. 무엇일까? 호기심을 잔뜩 안고 가까이 다가가 보았다. 마치도 자벌레 한 마리가 기어가는 것 같았다. 하지만 가까이서 본 물체는 분명히 벌레가 아니다. 버섯의 한 종류라고 나름의 판단을 내렸다. 무슨 버섯일까?
![]() |
||
참으로 희한하게 생긴 녀석이다. 꼭 좀벌레도 같아 보이고, 어찌 보면 막 돋아나는 무 순 같기도 하다. 아니, 인디언들의 치레걸이 같기도 하다.
![]() |
||
외줄 타기를 하다가 힘이 들었을까? 마주하고 서로에게 힘을 불어넣어 주는 것처럼 보이기도 하고, 잠시 쉬고 있는 것처럼도 보인다.
![]() |
||
도대체 이 녀석의 이름은 무엇일까? 아무리 인터넷을 뒤져도 알 수 없다. 혹여라도 하는 마음으로 즐겨 다니는 야생화 동호회 사이트에 들어갔다. 버섯 전문가가 있는 걸로 아는데 물어보아도 대답해주는 이 아무도 없다. 내가 한동안 그 카페에 들어가지 못했듯이 그 사람도 로그인하지 않는 것일까?
![]() |
||
담쟁이 줄기에서 태어나 동그랗게 몸을 말고선 부지런히 기어오르는 것도 같고, 반대로 정상을 정복하고 난 뒤 부지런히 내려오는 것도 같다. 분명히 외나무다리와도 같은 하나의 길인데 방향은 달리하고 있으면서도 추락했던 흔적조차도 없다.
![]() |
||
가만히 보아하니 담쟁이에겐 그리 썩 달가운 녀석들은 아닌 것 같다. 이들이 자리하는 곳마다 담쟁이 이파리 끝은 한결같이 말라가고 있었으며, 심지어는 몸에 버짐이라도 번진 것처럼 주변의 담쟁이들은 아예 줄기만 앙상하게 드러나 있었다.
![]() |
||
식물들에도 기생충이 있다면 바로 이 같은 녀석들은 아닐까?
![]() |
||
보기만 해도 마음이 푸르러지는 담벼락을 이네들이 점령하며 차지하며 고달픈 담쟁이는 죽어가고 있었다. 이 고통스러운 담쟁이들의 신음을 지나가는 바람은 듣고 있을까?
![]() |
||
기생버섯? 담쟁이버섯? 좀벌레버섯? 치레걸이버섯? 자벌레버섯? 좀비버섯? 그야말로 내 머릿속에서 쥐어짤 수 있는 것은 다 짜내고 버섯이란 낱말을 뒤에 붙여 이름을 만들고 검색해 보았다. 끝끝내 내 궁금증은 풀리지 않았다.
![]() |
||
이후 부터 나의 신경은 온통 이들에게로 쏠렸다. 위 사진을 찍고 난 뒤 20일쯤이나 흘렀을까? 처음 찍었을 때와 달리 늙어가고 있음인지 몸의 수분도 많이 빠져나가 있었다. 길이도 한층 더 자라 있고 말이다.
![]() |
||
아마도 이네들은 담쟁이의 수액을 빨아먹고 자라는 듯싶다. 그래도 담쟁이의 수액이 불로초가 아닌 이상 수명은 정해있을 것이다. 수명이 다하고 나면 내년에나 돋아날까? 아니면 연이어 새끼들이 나타날까도 몹시 궁금했다.
![]() |
||
어떤 것들은 보면 하나하나 뜯어내어 사슬을 엮어 놀잇거리로 삼았으면 좋게도 생겼다.
![]() |
||
얘네들은 또 뭐야? 머리를 치고받으며 다투는 것도 같다. 분쟁이라도 일어난 것일까?
![]() |
||
오만 가지 생각이 머리를 스친다.
![]() |
||
그때, 모두 동그랗게 몸을 말아쥔 버섯들 가운데 하나가 유독 눈에 띈다. 길게 몸을 뻗어 다리는 이쪽에 팔은 저쪽에 걸치고 제발 우리 동맹을 맺고 살자고 사정하는 것도 같다.
![]() |
||
버섯의 모습은 갖추고 있지만 진짜 버섯인지는 모르겠다. 이들이 무리지어 자라는 곳엔 간혹 작고 초라한 이파리가 있을 뿐, 그야말로 황량한 담벼락일 뿐이었다.
![]() |
||
왜 이렇게 가슴이 답답할까? 어쩌면 그것은 내 마음 한편에 '오염 내지는 지구 온난화로 말미암은 변이 현상은 아닐까?'라는 잠재의식이 있음 때문인지도 모르겠다. / 고봉선 시민기자
<제주의소리/ 저작권자ⓒ제주의소리. 무단전재_재배포 금지>
안녕하십니까.
제주의 소리에 선생님께서 실린 기사를 보고 메일을 보냅니다.
사진은 "줄솜깍지벌레"라는 곤충입니다. 주로 산림해충으로 알려져 있으며,
하얀 것은 깍지벌레의 알주머니입니다.
수고하십시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