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근민지사 첫 공식언급 "갈등 일으키지 않겠다"...여론-정부 움직임 '발목' 

 

   

제주도가 우근민 지사의 핵심 공약인 노면전차(트램) 도입을 사실상 포기한 것으로 보인다.

우 지사가 직접 공개 석상에서 그럴 가능성을 강하게 내비쳤다.

우 지사는 7일 열린 '2012 水(수) 페스티벌' 개회식에서 인삿말을 하다 별안간 트램에 대해 언급했다.

그는 "트램 도입을 놓고 우려의 목소리가 많다"면서 "많은 분들이 우려하는 것을 해서 (괜한)갈등을 일으키지 않겠다"고 말했다. 막대한 재정부담을 걱정하는 각계 반대를 무릅쓰면서까지 무리하게 트램 도입을 추진하지 않겠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우회적인 표현을 썼지만, 우 지사가 트램 도입에 대해 비교적 뚜렷하게 자신의 입장을 밝힌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우 지사는 지난4월 도의회 도정질문에서 일부 의원이 트램에 대해 집요하게 물고 늘어지자 "기획재정부의 예비타당성 조사(예타)까지는 받아보겠다"며 한발 물러섰지만, 여전히 포기는 없다는 입장을 고수했다.

한달여 만에 우 지사가 이처럼 태도를 바꾼 것은 제주 안팎의 여건이 불리하게 돌아가는 것과 무관치 않아 보인다.

우선 도내 여론이 싸늘하다는 점이 부담이다. 가뜩이나 재정난이 심각한데 효과도 불투명한 신규사업을 왜 벌이느냐는 반대 여론이 시민사회단체를 중심으로 급속히 퍼졌다. 의회 역시 우호적이지 않았다.

여기에다 다른지방 자치단체들이 앞다퉈 경전철 등 도입에 나서면서 막대한 혈세를 까먹는 사례가 속출하자 정부가 도시철도법 개정안을 국회에 제출하는 지경에 이르렀다. 

개정안은 자치단체가 무분별하게 새로운 교통수단을 도입하지 못하도록 억제하는게 골자다.

문경진 교통항공과장은 8일, 전날 우 지사의 언급에 대해 "도민 다수가 원하지 않는다면 트램을 도입하지 않겠다는 의미가 아니겠느냐"고 풀이했다.

기재부 예타까지는 갈 것이냐는 질문에 문 과장은 즉답을 피하면서도 "전반적으로 검토해보겠다"고 말해, 내부 방침이 이미 포기로 돌아선게 아니냐는 관측을 낳았다.

노면전차는 제주시 옛 도심 재생과, 이를위한 인구유동성 확보, 친환경적 교통수단 확보 등의 목적에서 출발했다.

예산 1억5000만원을 들여 '제주형 신(新) 교통수단 도입 사전 타당성 조사' 연구용역까지 마쳤다. 하지만 용역 과정이 순탄치 않았다. 용역 도중에 교통수단 자체와 노선이 바뀌는가 하면 경제성이 부풀려졌다는 논란이 일기도 했다.

무엇보다 제주도가 계획한 11km를 설치하는데 무려 2000억원이 들고, 연간 운영비로 64억원이 필요하다는 점이 여론 악화를 부채질했다. <제주의소리>

<김성진 기자 / 저작권자ⓒ제주의소리. 무단전재_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