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시 노형동 5만7000명-일도1동 2400명, 조정안 '주민갈등' 우려 커

제주지역 동(洞)과 동 사이의 인구 편차가 23배에 달하며 행정효율의 문제가 대두되고 있지만, 정작 주민들은 행정구역 개편에 대해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적인 불편도 문제지만, '주민갈등'에 대한 우려가 컸다.

제주특별자치도는 도내 31개 동 지역의 주민과 공무원을 대상으로 행정서비스 실태 및 도민 인식조사를 실시하고 23일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제주연구원에 의뢰해 도민 727명 및 동주민센터에서 근무하는 공무원 451명 등 총 1178명을 대상으로 1대1 개별 면접조사 방식으로 진행됐다.

도민을 대상으로 생활서비스 만족도를 묻는 질문에 만족도가 가장 높게 나타는 분야는 클린하우스로 평균 3.69점이었다. 상하수도 3.66점, 위생 3.55점, 시내버스 3.54점, 보안시설 3.51점, 공원 3.47점 등 차순을 기록했고 가장 낮은 만족도를 보인 것은 도로시설로 3.44점에 그쳤다.

공공시설서비스를 묻는 질문에는 동주민센터 접근성이 3.55점, 복지관 4.47점, 도서관 3.39점, 공공체육시설 3.35점, 문화시설 3.25점 순으로 답했다. 거주 동지역 삶의 만족도를 묻는 질문에는 만족한다는 응답이 63.5%, 보통 30%, 불만족 6.5%로 평균 3.66점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에서는 거주 동지역 행정구역 조정의 필요성을 묻는 질문도 포함됐다. 현재 제주도의 행정구역은 1985년 43개 읍면동으로 조정된 이후 37년째 유지중이다. 지난 2008년 과소동 통폐합을 추진했지만, 주민 반대로 무산된 바 있다.

문제는 그간 지역 환경이 급변하면서 동지역 간 인구편차가 심각해졌다는 점이다. 지난 2월말 기준 제주시에서 인구가 가장 적은 동지역은 일도1동으로 총 2463명으로 집계됐다. 인구수가 가장 많은 노형동의 5만7425명과 무려 23배가 차이나는 수치다.

서귀포시의 경우도 상황은 별반 다르지 않다. 인구수가 가장 적은 정방동(2248명)과 동홍동(2만4095명)의 인구가 10배 이상 차이가 났다.

현실적 문제와는 별개로 응답자들은 행정구역 조정에 대한 우려를 표했다. '필요하다'는 응답은 21.9%에 그친 반면 '불필요하다'는 응답은 50.9%에 달했다. 나머지 27.2%는 '보통'이라고 답했다.

거주 동지역의 행정구역 조정 형태를 묻는 질문에도 '동 분리'라고 답한 응답은 12.5%, '동 통합' 12.0%에 그친 반면 '현행유지'로 응답한 비율은 75.5%에 달했다.

행정구역 조정 시 대두되는 문제점으로는 '주민갈등'이 31.5%로 가장 높았다. 그 외에도 '개인공부정리' 21.9%, '자산가치 하락' 19.4%, '학군변경' 13.9%, '도의원 정수' 12.0% 순으로 답변이 나왔다.

이와 관련 오임수 제주도 자치행정과장은 "도의회 등에서 지속적으로 문제가 제기되다보니 주민들이 어떤 생각을 갖고 있는지를 파악해야 해 조사를 실시했지만, 예상보다 부정적인 견해가 높게 나타났다. 동을 분리하는 것보다 통폐합하는데 대한 반발이 더욱 컸다"고 설명했다.

오 과장은 "동지역 행정구역 조정의 경우 읍면동을 관할하는 각 행정시에 최종 권한이 있는 사안"이라면서도 "제주도 입장에서는 현 체제를 유지한다고 하더라도 주민자치기능을 강화하는 방안과 중간 행정단계에서의 복지를 강화하는 방안 등을 폭 넓게 검토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