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청 예산 52.6%→56.8% 급증
읍면동 예산 무더기 감액 편성

민선 8기 제주도정 출범 이후 도청의 예산 쏠림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재정 확대에도 불구하고 행정시와 읍·면·동 예산이 줄줄이 감액 편성되면서 논란이 예상된다.

15일 제주특별자치도가 의회에 제출한 ‘2025년도 예산안’에 따르면 세출예산 7조5782억원 중 56.8%인 4조3063억원을 도청 사업으로 편성했다.

전임 원희룡 도정 말기에 편성된 3조3661조원과 비교하면 3년 만에 1조원 가량 늘었다. 도청 예산 편성 비율도 2022년 52.6%에서 해마다 증가해 57%에 육박했다.

반대로 제주시 예산은 2조282억원으로 역성장했다. 올해 본예산 2조1344억원과 비교하면 1062억원이 감액 편성됐다. 비율도 2022년 29.3%에서 26.8%로 쪼그라들었다.

서귀포시도 마찬가지다. 2022년 17.7%를 차지했던 예산 비율이 16.4%로 내려앉았다. 새해 예산안은 1조2437억원으로 3년 내내 제자리 수준에 그치고 있다.

예산 편성과정에서 제주시는 2조5899억원을 요청했지만 반영률은 78.3%에 그쳤다. 1조5763억원을 요청한 서귀포시도 78.9%였다. 반면 도청의 예산 반영률은 86.0%에 달했다.

읍면동은 상황이 더 심각하다. 제주시 관내 26개 읍면동 예산은 2023년 처음 1000억원을 넘어섰다. 반면 새해는 937억원으로 무려 13.0%(139억원)나 삭감됐다.

서귀포시 관내 17개 읍면동 예산도 661억원에서 600억원으로 9.2%(61억원)나 잘려나갔다. 전체 예산 대비 편성 비율도 0.8%로 떨어지며 여전히 1% 벽을 넘지 못하고 있다.

제주시 26개 읍면동은 1490억원을 요청했지만 반영률은 62.0%에 그쳤다. 서귀포시 17개 읍면동 역시 881억원을 요청했지만 반영률은 68.1%에 불과했다.

읍면동 삭감 예산은 대부분 주민불편해소사업과 소규모 주민숙원사업이다. 대신 늘어난 도청 예산은 공기관위탁사업 등에 편성됐다.

박호형 제주도의회 행정자치위원장은 “대폭 줄어든 주민자치 예산이 결국 도 본청 사업에 쏠리고 있다”며 “재정이 어려워도 포기하지 말아야 할 정책적 가치가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제주형 기초자치단체 도입을 역점적으로 추진하면서 읍면동 예산이 줄어드는 것은 심각하다”며 “풀뿌리 주민자치와 민생예산에 결코 소홀히 해서는 안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