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YMCA전국연맹이 고(故) 김봉학 제주YMCA 이사장의 부지 출연과 재일제주인 모금을 통해 지어진 제주국제청소년의집을 민간에 장기 임대하면서 지역사회 반발이 터져 나왔다.
제주YMCA는 25일 성명을 내고 “한국YMCA전국연맹은 제주국제청소년의집의 본래 목적과 취지를 훼손하는 계획을 즉각 철회하라”고 요구했다.
제주YMCA에 따르면 한국YMCA전국연맹은 한라산 1100도로 입구에 있는 ‘제주국제청소년의집’ 운영을 서울 민간 사기업에 20년간 임대하는 내용의 장기 계약을 체결했다.
이에 제주YMCA는 성명을 통해 “심각한 우려와 분노를 표한다”며 “이는 건물의 본래 건립 목적과 취지를 정면으로 훼손하는 행위로 계획을 당장 중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제주국제청소년의집은 1985년 제주YMCA 이사장 겸 연맹 이사장이었던 김봉학 이사장이 본인 소유 목장 부지 약 4000평을 출연하면서 지어졌다.
오사카YMCA와 제주 출신 오사카 재일제주인들은 약 3000만엔을 모금하면서 힘을 보탰다.
청소년 리더십을 키우고 제주 청소년들과의 교류 장을 마련하기 위해 설립됐으며, 1985년 당시 제주YMCA가 오사카YMCA와 형제 관계를 맺고 지금까지 교류 사업을 이어오고 있다.
제주YMCA는 “제주국제청소년의집을 유스호스텔로 용도 변경하고 민간 사기업에 20년간 요식업 영업을 포함한 임대 운영하는 계약을 체결한 것은 Y정신과 목적을 왜곡시켜 문화적 정체성을 훼손시키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이는 김봉학 이사장의 기증 취지와 제주도민의 아픔인 4.3를 피해 일본 오사카로 피난 간 재일제주도민들의 고향 사랑 모금의 취지를 심각하게 훼손하는 행위”라며 “전국YMCA 공동 자산이자 제주도민의 정신적 자산을 훼손하는 계획에 우려와 분노를 표한다”고 비판했다.
또 “김봉학 이사장과 기증자들의 숭고한 뜻과 제주 출신 재일교포들과 제주도민들이 모금해 건립한 제주국제청소년의집의 목적과 취지를 훼손하는 상업화 시도를 즉각 중단하라”며 “제주YMCA 및 지역사회와 소통 없는 일방적 민간 위탁 계획도 즉각 철회하라”고 쏘아붙였다.
그러면서 “민간기업은 제주 지역사회 강력한 반대 여론을 직시, 모든 영업 계획을 중단해야 한다. 국제청소년의집은 전국YMCA 공동자산으로 건립 취지에 맞게 운영해야 한다”며 “정당한 요구를 받아들이지 않을 경우 제주 시민사회와 연대해 행동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제주YMCA는 “제주도민들과 함께 반대 운동을 펼치고 전국YMCA 네트워크에 이 문제의 심각성을 공유, 제주국제청소년의집이 본래의 정체성을 되찾을 때까지 강력한 행동을 이어갈 것임을 엄중히 천명한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