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성민 의원, 26일 ‘제주 간첩조작사건 피해자 지원’ 위한 정책간담회…조례제정 추진

과거 군사정권 시절 간첩 조작사건으로 고통을 겪고 있는 피해자와 유족들의 한(恨)을 풀어주기 위한 공론의 장이 제주에서도 마련된다. 피해자들에 대한 명예회복과 지원을 위한 조례 제정 등 제도화로 이어질지 주목된다.

강성민 의원. ⓒ제주의소리
강성민 의원. ⓒ제주의소리

제주특별자치도의회 강성민 의원(이도2동을, 더불어민주당)은 오는 26일 오전 10시30분 의사당 소회의실에서 과거 군사정권시절 간첩조작사건으로 현재까지 고통을 겪고 있는 도내 피해자 및 유족들의 명예회복과 지원을 위한 정책간담회를 개최한다.

강성민 의원은 “4.3사건 이후 생존을 위해 제주를 떠나 일본에서 교포사회를 형성하며 거주하는 제주도민들이 많았다”면서 “그런데 이들 중 상당수가 60년대부터 80년대까지 공안기관에 의해 조총련과 연관된 간첩으로 조작돼 인권침해를 당한 분들이 많다. 이들의 명예회복과 지원을 위한 제도마련이 시급하다”고 정책간담회 개최 취지를 밝혔다.

2006년 천주교인권위원회 자료에 따르면 전체 조작간첩사건 109건 가운데 34%인 37건의 당사자가 제주 출신으로 나타났다.

강 의원은 “간첩조작사건의 피해자들은 당시 인권침해의 희생자로 현재까지 후유증이 남아있다. 이제 우리가 이들의 상처를 치유하고 지원함으로써 인권신장과 민주발전에 기여할 때”라고 강조했다.

본격적인 정책간담회에 앞서 간첩조작사건을 다룬 다큐멘터리 ‘수상한 섬 이야기’를 시청한 후, 강성민 의원의 진행으로 변상철 수상한 집 사무국장과 임문철 신부(전 천주교제주교구 정의구현사제단 대표), 양동윤 4.3도민연대 대표, 오승국 제주4.3트라우마센터 부센터장 등이 참여한 가운데 토론이 진행된다.

한편 강 의원은 이날 정책간담회에 앞서 25일 오후에 열리는 제393회 임시회 제2차 본회의에서 5분 자유발언을 통해 과거 제주에서 이뤄진 간첩조작사건의 실상을 알리고, 피해자들의 명예회복과 지원 필요성을 강조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