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민주화운동사료연구소, 8월25일까지 피해자 실태조사

대한민국 1%에 불과한 제주, 하지만 간첩조작사건 피해자의 3분의 1은 제주 출신이다.

한국 현대사의 비극 제주4.3 이후 박정희, 전두환 군사독재정부에선 제주도민을 4.3과 간첩으로 연결하면서 조작간첩사건을 만들어냈다.

제주도와 (사)제주민주화운동사료연구소는 '2022년 간첩조작사건 피해자 실태조사'의 일환으로 간첩 조작사건 피해자를 찾고 있다.  피해자 접수기간은 6월13일부터 8월25일까지다. 

현재 제주도에 주민등록을 두고 거주하는 사람으로서 간첩조작사건의 피고인으로 사망·행방불명 또는 신체적·정신적으로 피해를 입은 사람과 그 유족(1세대 한정)이 조사 대상이다. 

제주도의 간첩 조작사건 피해자 실태조사는 지난해 7월 제주도의회가 공포한 ‘제주도 간첩 조작사건 피해자 등의 명예회복 및 지원에 관한 조례’에 따른 것이다.

천주교인권위원회가 지난 2006년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대한민국 조작 간첩 사건 109건 가운데 약 34%인 37건이 제주 출신이 피해자다. 제주 출신으로 ‘간첩 조작사건’에 연루돼 불법 구금과 고문을 당했거나 수형 생활을 한 피해자들이다.

과거 군사독재정부에서 제주4.3을 공산폭동이라고 오랫동안 규정했고, 일제강점기와 4·3 등을 거치면서 일본으로 밀항해 간 제주 출신들이 많았던 것이 타깃이 됐다.

일제강점기와 해방공간 이후로 1980년대까지만 하더라도 일본으로 건너간 제주도민들은 일본 내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총련) 소속의 친척이나 지인을 만난 것만으로도 공안기관에 불법 구금되거나 고문을 받고 간첩으로 조작되는 일이 비일비재 했다.

국정원과 기무사, 경찰청 대공분실의 고문과 조작, 날조를 통해 무고한 민간인들이 조작간첩이 됐고, 수년에서 수십년 동안 억울한 옥살이를 한 경우가 다수다. 

조작간첩으로 만들어지는 과정에서 가정이 풍비박산이 나고, 고문 후유증은 물론 간첩이라는 주홍글씨까지 새겨져 고향을 떠나 살아야 했다. 

제주특별자치도와 제주민주화운동사료연구소에 따르면 조사 대상은 간첩조작사건의 피고인으로서 사망·행방불명 또는 신체적·정신적으로 피해를 입은 사람과 그 유족(1세대 한정)으로 제주도에 주민등록을 두고 거주하는 사람이다. 

피해자 신고는 (사)제주민주화운동사료연구소(064-724-2777)로 전화 상담하거나, 직접 방문(평일 오전 9시~오후 6시)하면 된다.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