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역생활자원회수센터 위탁 운영 용역
2023년 준공 동복리마을회 운영권 요구

제주환경자원순환센터가 들어선 제주시 구좌읍 동복리 산56-62 일대 4만9488㎡ 규모로 추진되는 광역생활자원회수센터 조감도. 2023년 4월말 준공이 목표다. ⓒ제주의소리
제주환경자원순환센터가 들어선 제주시 구좌읍 동복리 산56-62 일대 4만9488㎡ 규모로 추진되는 광역생활자원회수센터 조감도. 2023년 4월말 준공이 목표다. ⓒ제주의소리

제주도가 건설하는 도내 최대 재활용품 처리시설을 마을 주민들이 직접 운영할 수 있는지를 타진하기 위한 용역이 시작됐다.

13일 제주도에 따르면 제주 광역생활자원회수센터 위탁 운영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최근 한국지식산업연구원에 연구 용역을 의뢰했다.

광역생활자원회수센터는 제주시 구좌읍 동복리 산56-62 일대 4만9488㎡ 부지에 총사업비 267억8000만원을 투입해 추진 중인 폐기물 처리시설이다.

2021년 7월 착공해 현재도 공사가 한창이다. 당초 올해 말까지 공사를 마무리하려 했지만 자재 공급난과 파업 등의 여파로 준공일이 2023년 4월로 늦춰졌다. 

동복리 주민들은 시설이 들어서면 운영권은 마을에 위탁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그 근거로 2014년 8월 마을회와 제주도가 체결한 ‘협약서’를 내세우고 있다.

실제 협약서에는 ‘제주환경자원순환센터 내 신규 자원재활용 선별시설을 설치하는 경우 그 운영권은 동복리 청년회에 위탁운영 할 수 있다’고 명시돼 있다.

제주도는 전문성이 없는 주민들이 맡기는 어렵다는 입장이다. 이에 마을회가 공사 현장을 막아서면서 2021년 8월 당시 구만섭 도지사 권행대행이 사태 해결을 위한 용역을 약속했다.

이번 용역을 통해 제주도는 광역생활자원회수센터 운영 과정에서 필요한 인원과 예산, 수익 등을 산출하기로 했다.

주민들의 요구대로 마을기업 등이 실제 운영할 경우 필요한 자격 조건도 검토하게 된다. 이 경우 법령 저촉 여부와 법률 개정 가능성에 대한 조사도 이뤄진다.

제주도는 최근 동복리사무소를 직접 찾아 이장과 개발위원장 등에 용역 추진에 대한 내용도 직접 설명했다. 현장에서 주민들의 애로사항도 청취했다.

2023년 4월 광역생활자원회수센터가 준공되면 시공사가 하자보수 차원에서 2년간 운영을 맡게 된다. 마을 위탁시 운영 가능 시점은 2025년 4월 이후다.  

제주도 관계자는 “당초 연초 용역 발주를 계획했지만 비용 추계가 가능한 용역진을 찾는데 시간이 걸렸다”며 “결과는 11월 나온다. 용역 과정은 주민들과 공유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