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 국무총리실 산하 '제주4.3사건 진상규명 및 희생자 명예회복위원회(이하 4.3중앙위원회)'가 발족 22년만에 처음으로 제주에서 회의를 가졌다.
4.3중앙위원회는 20일 오후 2시 제주도청 본관 4층 탐라홀에서 제30차 회의를 갖고 △추가 희생자 및 유족 결정안 △희생자 가족관계등록부 작성 및 정정안 △희생자 실종신고 청구안 등을 심의했다.
이 자리에는 위원장인 한덕수 국무총리를 비롯해 오영훈 제주도지사, 이종섭 국방부 장관, 이완규 법제처장, 기획재정부·법무부·행정안전부 차관 등 20여명이 참석했다.
이날 회의는 한 총리와 오영훈 도지사 모두발언까지만 언론에 공개했다.
한 총리는 모두발언을 통해 "제주4.3사건이 비극의 역사에서 벗어나 통합과 화해의 역사로 우리 사회에 기억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한 총리는 "그간 우리 정부는 비극의 역사를 바로잡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여 왔다. 정부는 2000년 1월 제주4.3특별법을 제정하고 진상조사를 실시했으며, 2003년에는 희생자의 넋을 기리기 위해 제주4.3평화공원 조성을 위한 첫 삽을 떴다. 특히 제주4.3위원회는 그간 일곱 차례에 걸쳐 희생자 및 유족 신고를 접수해 현재까지 총 1만4577명의 희생자와 8만4506명의 유족을 확인했다"고 되돌아봤다.
이어 "정부의 노력은 현재도 계속되고 있다. 지난 6월부터 희생자에 대한 보상금 지급 신청을 받기 시작했고, 2026년까지 모든 희생자에게 보상금을 지급할 예정"이라며 "희생자 한 분의 누락도 없도록 내년 1월부터는 제8차 희생자·유족 신고를 받아 아직까지 확인되지 않은 희생자를 찾을 계획"이라고 밝혔다.
특히 한 총리는 "지난 4월 3일 제74주년 제주4.3사건 희생자 추념식에 당선인 신분으로는 처음으로 윤석열 대통령이 참석했다. 그 자리에서 대통령은 제주4.3의 아픔을 치유하고 희생자들과 유가족들의 온전한 명예회복을 위해 국가가 책임있게 노력할 것을 약속했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한 총리는 "오랜 세월 아픔을 안고 살아오신 제주4.3사건 희생자와 유족 여러분께 깊은 위로와 심심한 애도를 전한다"며 "정부는 여러분의 응어리를 조금이라도 더 덜어드릴 수 있도록 계속 노력하겠다"고 약속했다.

이어 오영훈 지사는 "오늘 제주4.3위원회 회의는 지난 2000년 1차 회의를 시작한 이후, 22년만에 처음으로 제주에서 열렸다. 뜻깊은 자리를 만들어주신 한덕수 총리께 다시 한번 감사의 말씀을 드린다"며 "4.3위원회 구성 이후 최초로 제주에서 열린 회의에 제주도지사로서 참석하게 돼 가슴이 매우 벅차다"고 말했다.
오 지사는 "모든 과정마다 위대한 도민 여러분의 큰 응원과4.3위원회의 적극적인 협력이 있었기에 4.3의 정의로운 해결이 시작될 수 있었다"며 "앞으로도 4.3위원회와 함께 화해와 상생의 물결 속에 새로운 제주의 미래를 만들어 나가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어 "오늘 심의하는 3가지 안건은 또 다른 역사의 시작이다. 4191명에 대한 희생자와 유족 여부를 결정하고, 4.3희생자 13명에 대한 가족관계를 정정하며, 행방불명 희생자 42명에 대해 법원에 실종선고를 청구한다"며 "4.3의 아픔을 치유하고 갈등을 극복하려는 노력들이 결실을 맺을 수 있도록 심도 있는 논의를 부탁드린다"고 당부했다.
이날 회의는 위원장 모두발언과 제주도지사 인사말에 이어 비공개로 진행됐다.
한편, 지난 2000년 발족한 4.3중앙위원회가 제주에서 열리는 것은 처음이다. 4.3중앙위원회는 국무총리 산하 위원회로 4.3특별법에 근거해 희생자 및 유족을 결정하고, 명예회복과 국가 보상 등에 관한 사항을 심의하는 권한을 갖고 있다.
4.3중앙위원회는 이날 회의 종료 직후 제주4.3평화공원을 참배할 예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