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 행정동 조정 TF 구성...과대동 노형동은 분동 가능성

40년만에 제주지역 행정동 통폐합이 추진된다.
제주도는 '불합리한 행정구역 조정을 위한 정책연구' 과제를 제주연구원에 의뢰, 본적적인 행정동 개편에 나섰다.
제주도 행정동 개편은 1985년 이후 한번도 이뤄지지 않고 있다. 이번 행정동 개편은 40년 만에 추진되는 것이다.
행정동 개편은 지난 1월31일 오영훈 제주지사가 '도정현안 및 정책 공유회의'에서 꺼내들면서 시작됐다.
1980년대 이후 연동과 노형동, 이도2동, 삼화지구, 아라동 지역 택지개발 이뤄지면서 제주시의 경우 원도심에서 택지개발이 이뤄진 곳으로 인구가 쏠렸다.
오 지사가 행정동 조정 검토를 자치행정과에 주문했고, 제주도 자치행정과는 행정시와 읍면동이 참여하는 TF를 5월안에 구성, 운영할 예정이다.
행정안전부의 행정동 조정 기준에는 인구 5만명 이상 및 1만명 미만이다. 또한 면적으로는 3㎢ 미만이면 조정 대상이 된다.
현재 5만명 이상 되는 과대동(洞)은 노형동(5만7725명) 뿐이다. 노형동의 경우 분동이 될 가능성이 높다.
반면 인구 1만명 이하 동의 경우는 제주시와 서귀포시 원도심과 도심 외곽 동이 대부분이다.
제주시의 경우 건입동(9092명), 이도1동(7806명), 일도1동(2386명), 삼도2동(8066명), 용담1동(6925명), 봉개동(5367명), 이호동(4566명), 도두동(3387명) 등 8개 동이 있다.
서귀포시는 천지동(3591명), 중앙동(3269명), 정방동(2262명), 송산동(4280명), 효돈동(5380명), 영천동(5439명), 예래동(4043명) 등 7개 동이다.
면적 기준으로 3㎢ 미만 동은 건입·일도1·이도1·삼도1·용담1·이호·정방·중앙·천지동이 조정 대상이다.
행정동 조정은 행정서비스와 선거구, 역사와 문화 등과도 밀접하게 맞물려 있어 쉽지 않다. 지난 2008년에도 과소동 통폐합이 추진됐다가 무산된 바 있다.
제주도는 올해 하반기 제주연구원에서 정책연구과제 안이 나오면 지역주민 수용성, 역사성. 동 명칭 등을 내부적으로 검토하고, 2024년부터 주민설명회 등 의견수렴 절차를 거친다는 방침이다.
김경학 제주도의회 의장은 "1985년 이후 40년 가까이 유지돼 온 제주의 행정동은 택지개발지구 증가와 구도심 인구 감소 등으로 동 지역 간 인구 불균형이 갈수록 심화되고 있다"며 "이번에 추진되는 행정동 조정 논의는 행정동을 둘러싸고 있는 경계에 매몰되지 않고, 주민생활 편의에 입각해 구역 조정까지 포함한 최적이 안이 되출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제주도 관계자는 "일단 정책연구과제 안이 나오면 내부적 검토를 거쳐 주민의견수렴 과정을 거칠 것"이라며 "과소동의 경우 통폐합 과정에서 이해관계가 첨예하게 나올 수 있기 때문에 신중하게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