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민선8기 제주도정이 역점 추진하는 '차 없는 거리 걷기 축제'가 주말 1만여명이 모여드는 성과를 거뒀다. 차량통행이 제한되면서 대중교통 이용객이 증가하고, 탄소 저감 효과까지 거뒀다는게 제주도의 자체 평가다.
다만, 구체적인 행사 운영이나 범도민적인 분위기 조성에 있어서는 보완 과제도 남겼다.
오영훈 제주도지사는 28일 오전 도청 탐라홀에서 열린 월간정책공유회의에서 '차 없는 거리' 행사에 대해 "대중교통 이용 급증은 탄소중립을 향한 도민들의 실천 의지를 확인하는 계기가 됐다"고 말했다.
실제 지난 26일 원도심에서 열린 차 없는 거리 걷기 행사와 맞물려 대중교통 이용객은 평소 주말 평균보다 27% 증가한 것으로 전해졌다. 행사 당일 대중교통 이용객은 13만4152명으로, 주말 평균 10만5248명보다 약 3만명 가까이 증가했다는 설명이다.
오전 7시부터 오후 1시까지 6시간 동안 차량 통제로 인한 이산화탄소 저감효과가 1085kg에 달했다는 설명도 덧붙였다.
이는 차량 통제구간인 5.5km에서 대형차량과 소형차량의 연간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6시간으로 환산한 수치로, 스마트교차로시스템을 통해 측정된 교통량과 평균속도 35㎞/h를 기준으로 산출된 값이다. 평상시 이 구간의 차량통행량은 시간당 대형차 129.3대, 소형차 2428.4대인 것으로 집계됐다.

제주도는 행사 참여자 704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는 94.6%가 만족했고 참여자 중 50%가 가족과 함께 참여를 했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오 지사는 "차 없는 거리 걷기 행사의 성과는 우리가 가야 할 길을 명확히 보여줬다"고 평가하기도 했다.
반면, 현장에서는 아쉬움의 목소리가 새어나오며 보완의 필요성이 감지됐다.
우선 '차 없는 거리'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되지 못한데 따른 실랑이가 곳곳에서 벌어졌다. 지난해 같은 행사가 치러졌던 연북로와는 달리 원도심 일대는 생활의 터전이기도 했다. 사전에 행사 소식을 알지 못한 주민들은 도로가 막히자 여과없이 불만을 터뜨렸다.
우회로가 마땅치 않은 구간의 경우 차량을 통제하는 자원봉사자들도 마지못해 길을 열어줘야 했고, 차 없는 거리의 취지가 무색케 되는 장면이 종종 눈에 띄었다. 칠성로 상권과 연계된 차량이나 오토바이의 통행도 온전히 막아낼 수 없었다.
자녀와 함께 행사장을 찾은 아라동 주민 신모씨는 "아이가 앞질러 달려가는데 오토바이가 불쑥 튀어나오더라. 마음껏 뛰어놀라고 했다가 깜짝 놀라 조심스러워지더라"고 토로했다.
행사 구간에 배치된 프로그램에 대해서는 평이 갈렸다. 도남동 주민 김해윤씨는 "옛 제주도의 모습을 전시한 사진이 흥미로웠다. 마침 '폭싹 속았수다'를 본 후여서 신기하기도 하고 기억에 남았다"며 "원도심을 행사장으로 선택한 것이 부담 없이 좋았던 것 같다"고 호평했다.

이에 반해 간헐적인 프로그램 구성에 대한 아쉬움의 목소리도 전해졌다. 프로그램의 배치 구간이 너무 이격돼 있고, 그마저도 특별할 것이 없었다는 평이다.
3대가 함께 행사장을 찾은 시민 조모(63)씨는 "어린이를 위한 놀이터며, 에어바운스를 설치했다고 했는데, 한 기구에 20명 이상씩 올라탄 것을 보고 저러다 사고가 나지 않을까 조마조마했다"고 전했다.
전체적인 행사의 무게가 오전 9시를 기점으로 한 개막식에 집중돼 있어 후반부엔 힘이 실리지 않았다는 점도 다음 행사 때는 고려돼야 할 대목이다.
올해 차 없는 거리 행사는 총 세 차례 열릴 예정이다. 11월 11일 '보행자의 날'을 기념한 행사도 미리 예정됐다. 제주도는 대중교통 연계와 지역상권 활성화 방안 등을 고려해 추후 일정을 확정할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