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제주지역본부(이하 민주노총 제주)는 14일 성명을 발표하고 “4.3 망언을 저지른 국민의힘 태영호는 국회의원직을 사퇴하라”고 촉구했다.

태영호 국회의원은 지난 13일 보도자료는 내고 “제주4.3사건은 명백히 북한 김일성 지시에 의해 촉발됐다”고 주장했다. 13일은 국민의힘 당대표, 최고위원 후보들이 제주에서 전당대회 합동연설회를 가진 날이다. 최고위원 후보 중 하나인 태영호 의원도 제주를 찾아 당원들 앞에서 지지를 호소했다.

민주노총 제주는 “태영호는 이승만 정권의 후계인 국민의힘 소속 의원으로서 책임을 통감하고 진정어린 사과를 하기는커녕, ‘제주4.3 사건은 명백히 김일성에 의해 촉발’되었다는 망발로 4.3 희생자와 유족, 제주도민들에게 상처를 줬다”며 “4.3의 원인이 ‘북한의 지령’이라는 케케묵은 색깔론을 다시 꺼내들고 희생자의 영령을 모욕한 것”이라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전당대회를 앞두고 이뤄진 발언임을 고려했을 때, 4.3의 아픈 역사를 강성지지층 결집을 위해 이용한 것으로 의심된다”고 꼬집었다.

민주노총 제주는 “4.3에 대한 역사적 진실은 다음과 같다. 1947년 3월 1일 관덕정에서 열린 3.1절 기념대회에서 한 어린이가 기마경찰의 말굽에 치여 다쳤다. 이에 도민들이 항의하자 경찰을 도민들을 향해 발포했고, 이 과정에서 민간인 6명이 죽고 8명이 중상을 입었다. 도민들은 ‘책임자 처벌’을 요구하며 거리로 나섰지만 경찰은 2500여명의 사람들을 체포했다”며 “대한민국 정부와 미군정은 제주도를 ‘빨갱이 섬’으로 매도했으며 서북청년단을 제주로 파견했다. 비로소 ‘빨갱이 사냥’이 시작된 것이다. 최소 3만5000여명이 매카시즘 광풍에 휩쓸려 목숨을 잃었다. 이후에도 수십 년 간 제주도민들은 차별과 낙인 속에서 ‘속솜’하며 살았다. 태영호가 모르는 4.3의 전말”이라고 설명했다.

민주노총 제주는 “태영호는 지금이라도 4.3 희생자와 유족에게 사과하라. 또한 국회의원직에서도 사퇴하라. 국민의 아픔을 자신의 정치적 이익을 위해 멋대로 왜곡하는 자는 민의의 대표자로서 자격이 없다”면서 “더 이상 터무니없는 주장으로 4.3의 진상을 왜곡한다면 도민들이 좌시하지 않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다음은 성명서 전문

‘4‧3 망언’국민의힘 태영호는 국회의원직 사퇴하라

-“4‧3 명백히 김일성 지시”? 왜곡된 역사관 드러내
-강성지지층 결집 위해 4‧3 이용한 것…민의의 대표자 자격 없어

제주에서 국민의힘 전당대회가 열렸던 지난 13일, 국민의힘 태영호 의원(이하 존칭 생략)이 제주4‧3평화공원을 찾아 위령탑 앞에 무릎을 꿇었다. “무고한 희생을 당하신 분들의 넋을 기리며 민족 분단의 아픔을 다시 체험했다”고 했다. 하지만 태영호는 이승만정권의 후계인 국민의힘 소속 의원으로서 책임을 통감하고 진정어린 사과를 하기는커녕,“제주 4‧3 사건은 명백히 김일성에 의해 촉발”되었다는 망발로 4‧3 희생자와 유족, 제주도민들에게 상처를 주었다. 태영호는 4‧3의 원인이‘북한의 지령’이라는 케케묵은 색깔론을 다시 꺼내들고 희생자의 영령을 모욕한 것이다. 전당대회를 앞두고 이뤄진 발언임을 고려했을 때, 4‧3의 아픈 역사를 강성지지층 결집을 위해 이용한 것으로 의심된다. 해당 망언에 대한 도민사회의 비판이 쏟아졌지만 태영호는 끝내 왜곡된 역사 해석을 옹호하고 나섰다. “북한에서 배웠고 지금도 그렇게 생각하고 있다”는 어설픈 핑계를 들이밀더라도, 역사는 태영호의 발언이 명백히 거짓임을 가리키고 있다.

4‧3에 대한 역사적 진실은 다음과 같다. 1947년 3월 1일 관덕정에서 열린 3‧1절 기념대회에서 한 어린이가 기마경찰의 말굽에 치여 다쳤다. 이에 도민들이 항의하자 경찰을 도민들을 향해 발포했고, 이 과정에서 민간인 6명이 죽고 8명이 중상을 입었다. 도민들은 ‘책임자 처벌’을 요구하며 거리로 나섰지만 경찰은 2500여명의 사람들을 체포했다. 대한민국 정부와 미군정은 제주도를‘빨갱이 섬’으로 매도하였으며 서북청년단을 제주로 파견했다. 비로소‘빨갱이 사냥’이 시작된 것이다. 최소 3만5천여명이 매카시즘 광풍에 휩쓸려 목숨을 잃었다. 이후에도 수십년 간 제주도민들은 차별과 낙인 속에서 ‘속솜’하며 살았다. 태영호가 모르는 4‧3의 전말이다.

태영호는 지금이라도 4‧3 희생자와 유족에게 사과하라. 또한 국회의원직에서도 사퇴하라. 국민의 아픔을 자신의 정치적 이익을 위해 멋대로 왜곡하는 자는 민의의 대표자로서 자격이 없다. 더 이상 터무니없는 주장으로 4‧3의 진상을 왜곡한다면 도민들이 좌시하지 않을 것이다.

2023년 2월 14일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제주지역본부

관련기사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