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일 서귀포시 연두방문 자리서 언급
송악산 ‘부지 매입’-알뜨르 ‘무상 사용’
![15일 서귀포시 너른마당에서 열린 ‘시민들과의 대화’에서 오영훈 제주도지사(왼쪽)가 발언하고 있다. 오른쪽은 이종우 서귀포시장. [사진제공-서귀포시]](https://cdn.jejusori.net/news/photo/202302/412078_420545_5728.jpg)
민선 8기 제주도정이 송악산 일대 사유지 매입을 결정하면서 알뜨르 비행장의 평화대공원 조성 움직임과 더불어 사업 범위가 한층 넓어질 전망이다.
오영훈 제주도지사는 15일 서귀포시 연두방문 자리에서 대정읍에 위치한 알뜨르비행장과 송악산 일대를 벨트화하는 방안을 구상하고 있다고 밝혔다.
오 지사는 “알뜨르비행장에 평화대공원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관련법 2개가 국회에서 처리돼야 한다”며 “상반기 법률이 통과되면 정부의 동의를 얻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송악산 부지 매입과 알뜨르비행장 무상 사용은 연계해서 진행돼야 한다”며 “변화된 상황이 생겼고 파이가 더 커진 만큼 담대한 구상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송악산은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일본이 중국 침략을 위해 군을 주둔시킨 역사를 품고 있다. 현재도 해안 절벽 아래에 15호의 해안참호가 남아 있다.
![15일 서귀포시 너른마당에서 오영훈 제주도지사의 연두방문의 일환인 ‘시민들과의 대화’가 열리고 있다. [사진제공-서귀포시]](https://cdn.jejusori.net/news/photo/202302/412078_420549_2926.jpg)
1995년 송악산 일대가 유원지로 지정되면서 중국자본이 2013년부터 토지를 매입해 대규모 호텔과 콘도를 짓는 뉴오션타운 조성사업을 추진했다.
민선 7기 원희룡 도정은 송악선언을 통해 개발사업을 중단시키고 문화재 지정을 선언했다. 반면 오 지사는 현실적인 어려움을 고려해 부지 매입 계획을 전격 발표했다.
이에 개발사업시행자인 신해원 유한회사를 상대로 토지 매입을 위한 협약서를 체결하고 협상이 진행 중이다. 토지매매를 위한 기본합의서 체결 동의안은 이미 제주도의회를 통과했다.
알뜨르 비행장도 일제강점기 일본군이 중국 침략을 위한 전초기지로 이용됐다. 당시 대정읍 주민들의 농지를 강제수용해 조성했지만 광복후 국방부로 소유권이 넘어갔다.
제주도는 세계평화의 섬 선포에 맞춰 2007년부터 평화대공원 조성사업을 추진했지만 선결 과제인 국방부의 무상 양여 문제가 해결되지 않았다.
![15일 서귀포시 너른마당에서 오영훈 제주도지사의 연두방문의 일환인 ‘시민들과의 대화’가 열리고 있다. [사진제공-서귀포시]](https://cdn.jejusori.net/news/photo/202302/412078_420550_2926.jpg)
이후 소유권 이전이 아닌 무상 사용으로 대화의 방향이 바뀌었다. 위성곤 국회의원은 2021년 제주특별법과 국유재산특례제한법 개정안을 대표 발의하면서 법제화로 힘을 보탰다.
국방부가 무상 사용에 사실상 동의하면서 큰 장애물도 사라졌다. 다만 법안이 국회 상임위에 계류되면서 법제화에는 시간이 걸리고 있다.
평화대공원 조성은 윤석열 대통령의 제주지역 공약에도 포함됐다. 올해 법안이 국회를 통과하면 알뜨르비행장을 포함해 송악산 일대 평화공원 벨트화에도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대정읍 주민들도 최근 ‘알뜨르·송악산 평화대공원 추진위원회’을 출범시키고 주민 수용성을 높이고 미래종합발전계획을 수립하는 등 미래세대를 위한 평화 비전을 제시하기로 했다.
오 지사는 “송악산 매입은 내년까지 추진하고 평화대공원 조성도 종합적으로 검토하겠다”며 “담대하고 큰 구상을 담아내는 과정에서 서귀포시민들의 의견을 듣겠다”고 말했다.
